한국여성연구원 니키 설리반Nikki Sullivan 특강 및 미팅 후기

2006년 말인가 2007년 초, 처음으로 니키 설리반Nikki Sullivan을 알았다. 정확하게는 소마테크닉somatechnic 개념을 먼저 접했다고 할까. 2004년 즈음 소마테크닉이란 용어를 만들었다고 하니 정말 몇 년 안 된 시기였다. 나는 이 개념이 내가 고민하는 내용을 잘 설명한다고 판단했고 석사학위 논문에서도 짧게나마 사용했다(직접 인용은 짧지만 인식론으로는 석삭학위 논문의 한 축이기도 하다). 이후에도 니키 설리반이나 소마테크닉 개념은 늘 내 관심이었고 종종 검색하며 새로운 논문을 찾곤 한다.
애호하지만 한국에서 볼 수 있을 거란 상상을 한 적은 없었다. 그럴리가. 한국에서 워낙 논의가 안 되는 이슈인데다 관심 있는 사람이 적으니까. 부를 만한 단체도 마땅하지 않고. 그래서 한국여성학회에서 부른다고 했을 때 무척 기뻤다. 더구나 같이 발표까지 한다니..!!! 그런 니키 설리반을 한국에서 두 번이나 만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는 건 정말 기쁜 일이다. 기쁘다라는 표현으로는 충분하지 않은 그런 느낌이다.
한국여성연구원에서 진행한 니키 설리반 특강은 BIID(Body Identity Integrity Disorder몸 정체성 완결성 장애)를 중심으로 이 사회가 인간의 몸을 어떻게 사유하는지를 탐문하는 시간이었다. 자신의 몸을 스스로 절단하는 사람을 통해, 그를 끔찍하다고 여기며 특이 현상을 조사할 것인가, 그를 끔찍하다고 여기는 사회적 인식을 탐문할 것인가. 니키는 후자에서 작업한다. 어떤 실천을 끔찍하다고 여기는 태도가 반영하는 사회적 규범을 탐문하고 그것이 어떻게 인간의 삶과 몸을 규율하는지를 묻는다. 이번 발표는 이런 니키의 인식론의 연장 선상에 있고, 익숙하지만 직접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좋았다.
좋았던 것은 특강 만이 아니었다. 특강이 끝나고 책에 싸인을 받았을 뿐만 아니라(!) 다른 몇 명과 함께 얘기를 나누는 시간을 가졌다는 점이다. 장애이슈와 소마테크닉의 교차점을 얘기했고, 트랜스젠더의 GID와 BIID 그리고 소마테크닉을 얘기했다. 자리를 함께한 사람들이 서로를 소개하기도 했고 등록금과 장학금 문제, 거주 문제 등도 얘기했다.
얘기를 나누면서 깨달은바, 니키의 인품이 참 좋다는 점이다. 묘하게 사람을 보살피고 보듬는 느낌이다. 그것이 참 좋았다. 유명하고 실력있는 학자로서 거들먹거릴 수도 있고 까칠할 수도 있는데 그런 것이 전혀 없었다. 태도에 따뜻함이 있었고 대화는 즐거웠다.
결국 나는 한국에 니키 설리반을 소개하는 글을 쓰겠다는, 숨겨둔 기획을 고백했다. 니키는 단행본이 번역되면이 아니라 논문이 한 편 번역, 소개되어도 한국을 다시 찾겠다는 화답을 했다. 즐거운 시간이었다. 영어를 못 하는 내가 아쉬울 따름이었다.
+
통역해준 E와 ㅅㅇ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질문 폭주한 특강

오늘, 올 들어 세 번째 강의를 했다. 그리고 좀 재밌는 일이 있었다. 무려 질문이 폭주한 것. 덜덜덜.

기억이 확실하다면 2007년 즈음부터 특강을 다니기 시작했다. 첫 특강/강의는 아는 사람이 자신의 수업시간 특강을 맡겼다(오늘도 이 분의 수업 특강이었다). 수강생이 대략 150명 정도인 수업에서 처음 진행한 특강은 아직도 어떻게 했나 싶게 얼떨떨했다. 놀랍게도, 그 특강의 수강생 반응은 나쁘지 않았다. 그리고 그 특강을 기점으로(응?) 나의 강의는 주구장창 망했다. 크크크. ;;; ㅠㅠㅠ 어떤 날은 너무너무너무 못 해서 한 달 가까이 즐거운 자학의 시간을 보내기도 했다. 크크. ㅠㅠㅠ (사실 몇몇 강의는 아직도 부끄러움에 얼굴을 못 들 지경이다. 자다가도 일어날 정도! ㅠㅠ )
암튼 나의 이런 무능과는 별도로, 특강을 가면 대체로 질문이 없는 편이다. 물론 강의가 끝난 뒤 질의응답 시간에 질문이 적은 거야 새롭지 않을 듯. 이제 “질문하세요.”하면 약속이나 한 듯, 다들 고개를 숙이는 모습, 익숙한 일이다. 나도 고개를 숙이고. 크크. 그러다 누군가가 질문을 하면, 그제야 다른 사람들도 한두 명 질문을 한다. 이런 질문도 많은 편이 아니라, 보통은 서너 명 정도가 질문한다. 그러고 나면 다시 조용해지고, 사회자나 수업 담당 강사가 마무리하는 편이다.
그런데 오늘은 달랐다. 강의가 끝나고 “질문하세요”라고 말을 한 후 “보통 질문하세요라는 말을 하면 질문이 없더라고요”라고 말을 하려는 찰나, 바로 첫 번째 질문이 나왔다. 그리고 이어지는 질문. 잠시 쉬는 짬도 없이 사람들이 질문을 했다. 동시에 세 명이 손을 들기도 했다. 심지어 수업시간이 끝났는데도 계속해서 질문을 했다. 이렇게 훌륭한 사람들이 있나! 심지어 질문 내용도 다 괜찮았다! 수업시간이 아니라 따로 마련한 특강 자리였다면 더 오래 얘기했을 수도 있겠다 싶은 분위기였다.
나로선 무척 새로운 경험이라 꽤나 기분이 좋았다. 하지만 나의 강의를 들은 사람도 과연 좋았을까? 엉엉엉.

특강, 글, 아이디어

지난 금요일 특강을 했습니다. 메일로 요청 받기는 참 오랜 만이랄까요. 몇 해 전만 해도 트랜스젠더 관련 특강 요청 연락이 가끔은 왔습니다. 그게 2006년부터 2007년 정도. 그땐 한국사회에서 트랜스젠더 이슈가 유난히 유행했죠. 새로운 이슈는 늘 많은 사람들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지만, 이런 관심이 유지되는 기간은 매우 짧습니다. 관심이 시든 시기가 되면, 이제 관련 이슈에 관심이 있고 고민하는 소수의 사람들만이 간신히 명맥을 유지합니다. 트랜스젠더 이슈만을 특별히 지칭하는 건 아닙니다. 소중한 너무 많은 이슈들이 단발성의 화제로 끝나고, 관련 이슈에 천착하는 이들은 늘 생계를 고민해야 한다는 점이 걱정일 뿐입니다.

암튼 지난 금요일 진행한 강의는 지금까지 경험한 강의 중 가장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강의를 하는 제가 재밌었달까요. 사실 걱정이 많았습니다. 강의를 요청한 곳이 워낙 수준이 높은 집단이라 어떤 얘기를 어떻게 해야 할지 가늠하기 힘들어서요. 아울러 어떤 소재를 해석하며 풀어갈지가 고민이었습니다. 하고 싶은 얘기는 있지만, 그것을 풀어가는 소재를 찾기가 쉽지 않아서요.

소재를 걱정하고 있는데, 그날 아침 트랜스젠더로 불린 한 사람의 피살된 사건이 뉴스에 나왔습니다. http://goo.gl/mJRb 여자인 줄 알고 좋아했는데 여관에서 알고 보니 남자라 격분해서 살해했다고 했고, 언론은 이를 트랜스젠더 살해 사건으로 제목을 뽑았습니다. 첨엔 저도 트랜스젠더 혐오 사건으로 간과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이상합니다. 고인도 자신을 트랜스젠더라고 얘기했을까요? 이 간단한 질문에 답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트랜스젠더란 범주를 어떤 맥락에서 부여한 것인지 알 수 없지만 여성처럼 보이는데 알고 보니 남자라서 트랜스젠더라고 부른 것이라면 매우 위험합니다. 아울러 살해한 이유를 단순하게 상대가 트랜스젠더여서라고 단언할 수도 없습니다. 가해자의 진술을 100% 믿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전 바로 이 사건을 통해, 강의 주제로 연결하면 좋겠다고 판단했습니다. (트위터 만세!) 관련 사건과 논쟁 몇 가지를 엮어 얘기를 풀어갔습니다. 다행스럽게도 사람들의 반응이 좋았고, 걱정보다는 얘기가 풀렸습니다. 어쩌면 이제야 비로소 저도 제 말하기 방식에 적응한 것일까요? .. 아하하;;

한 가지 더 기쁜 건, 강의를 진행하면서 6월 중에 있을 발표글의 초안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5월 마지막 날까지 원고를 넘겨야 하는데, 고백하건데 아직까지 초안도 못 잡고 있습니다. 하고 싶은 얘기는 있는데 어떤 식으로 풀어야 할지 갈피를 못 잡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강의를 진행하면서 대충의 틀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이제 쓰는 일만 남았는데.. 쉽지 않네요. 하하..

아무려나 글을 쓰기 전에 강의를 할 일이 있을 때보다 좋은 경우는 없습니다. 강의를 통해 막연한 아이디어나 원고 초안을 정리할 수 있으니까요.
(글이 읽을 만하면 발표 뒤에 이곳에 공개할게요. 흐.)

강의가 끝난 후 돌아오는 길도 즐거웠습니다. 강의 가기 전에도 즐거운 시간을 보냈으니, 지난 금요일은 즐거움이 가득한 하루였나 봅니다.

+
이곳을 폐쇄할까 하는 고민을 했습니다. 두 가지 방안이 있었습니다. 글은 구글독스를 통해 공개하고 소통은 트위터로 하는 방법, 혹은 아예 계정을 옮기는 방법. 하지만 관두기로 했습니다. 이곳은 이곳 만의 존재 이유가 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