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전에도 적었듯, 부산에 갈 때, 혼자가지 않았다. 서울에 사는 줄 처음 안, 먼 친척을 비롯해서 몇 년에 한 번 만날까 말까 하는 이들 세 명과 같이 내려갔다. 그렇게 하니 기차표 가격이 무척 싸더라는;; (KTX의 동반석인가 해서, 네 명이 마주 앉을 수 있는 자리에 앉았다) 같이 가고 싶지 않은 건, 아주 어렸을 땐 친했는지 몰라도 지금은 서먹한 사이이고, 루인은 막연하게 그 사람들에게 보수적인 면이 있다고 지레짐작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럴 때, 어색한 사람들과 만나는 건 어색함 이상을 견뎌야 하기 마련.
아무튼 그렇게 먼 사촌들과 내려가는 동안, 썰렁한 얘기를 나누기도 했는데, 그런 와중에 루인의 손톱을 눈치 채기 시작했다. 이른바 매니큐어를 바른 손톱. 세 사람의 반응은 각기 달랐다. 일단 다들 침묵했다. 말해선 안 되는 무언가로 간주하는 건지, 말할 엄두가 안 나는 건지 알 수 없지만. 그런데, 놀랍게도 한 명이 집요하게 묻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때부터 사람들의 반응은 더욱더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
질문하는 사람과, 힐끔 쳐다보곤 매니큐어는 일단 무시하고 얘기를 나누는 사람, 말도 안 거는 사람. 매니큐어와 관련해서 계속 질문하는 사람은, 직접 칠했느냐, 네일아트도 자주 하느냐, 예쁘다, 내 손톱은 너무 못 생겼다, 등등의 말을 했다. 의외로 관심이 있는, 자신도 기회가 되면 해보고 싶어 하는, 그런 분위기였다.
이런 ‘관심’속에서 그 “질문하는 사람”은 “여자 친구 있느냐”는 질문을 했고, 없다고 하자 “네가 여자라서 그렇구나”라는 반응을 보였다. 물론 그 사람의 맥락에선 농담이었지만, 이 말이 살짝 재밌다고 느꼈다. 당연히 그 사람은 루인의 이러저러한 상황들을 모르기에 손톱에 매니큐어를 칠한 것과 현재 “여자친구”가 없다는 이유로, 젠더를 이렇게 표현할 줄이야…. 그런 후, 지금까지 사귄 적은 있느냐고 물었는데, 이때도 없다고 했다. (현재 있는지 없는지, 지금까지 있었는지 없었는지의 실제 여부와는 무관하게 이런 자리에선 그냥 없다고 하는 게 상책이다. 아니면 여러 가지로 피곤하다.) 그러자 그 “질문하는 사람”은 “혹시 남자에 관심이 있다거나 그런 건 아니고?”라는 질문을 했다. 이 놀랍고도 곤혹스러운 질문이라니!
놀란 건, 그 사람이 이런 질문을 할 수 있을 거라는 상상을 한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다른 사람들은 몰라도, 같이 내려가는 세 사람은, 상당히 보수적인 동시에 섹슈얼리티나 성적지향과 관련해선 무관심으로 지낼 거라 짐작했는데, 다른 어디서도 듣기 힘든 이런 질문을 듣다니. 그래서 상당히 놀라면서도 곤혹스러웠음에도 일단 “그렇지는 않아요”라고 답했다. (여기서 어떻게 대답하느냐가 중요하지요.)
하지만 이렇게 대답하기까지, 상당한 갈등과 곤혹스러움이 있었다. 어쩌면 “그렇지는 않아요”가 아니라 “아니다”라고 답했어야 정확한 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아니다”라고 말하는 것이 쉽지 않았을 뿐 아니라 “그렇지는 않아요”라는 대답도 쉽지 않았던 건, 이런 식의 부정이 단순히 “나는 게이가 아니다”만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는 게이가 아니다”라는 말은 “나는 규범적인 이성애 남성이다” 혹은 “비록 규범적인 젠더표현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나는 이성애 남성이다”란 의미를 내포한다. 예전에 이런 저런 방식의 설명이 귀찮기도 했고, 한창 고민을 하고 있던 상황이어서, 그냥 “비이성애자”라고만 말했던 적이 있다. 놀랍게도(놀라는 것이 이상한 건지도 모르지만) 사람들은 “비이성애자”란 말을 곧 “게이남성”으로만 해석했고, 그래서 나의 위치를 “게이남성”으로 고정해서 말하기 시작했다. 내가 레즈비언이나 레즈비언 트랜스일 가능성을 언급한 사람은 없었다. (어떤 사람은, “저, 트랜스예요”라고 말하자, 게이남성을 설명할 때 나를 지칭하기도 했다. 물론, “모든 트랜스젠더는 이성애자”란 식의 언설이 지배적인 상황에선, 게이남성이나 트랜스여성이나 차이가 없어지는 지점이 있긴 하다-_-;;)
의미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남자에게 관심이 있느냐?”란 질문을 “너는 게이냐?”란 질문으로 바꿀 수 있고, 대답이 결국 “예” 아니면 “아니오”로 수렴되기 마련이란 점에서 곤혹스러웠다. “그렇지는 않다”라는 말은, 나의 비이성애적 상황, 퀴어인 상황, 비이성애 트랜스인 상황들이 모두 지우기 때문이다. “그렇지는 않다”라는 말은, 트랜스젠더로서의 상황이나 레즈비언으로서의 상황도 부인하는 것이 아니라 그저 “게이남성”으로서의 상황만을 부인한 것임에도, 이 모든 것을 다 부인하고 “규범적인 이성애 남성”으로 나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차라리 침묵을 택하는 것보다 더 곤란한 갈등을 일으켰다.
물론 이런 갈등은, 그 상황에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거의 항상 경험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별한 경험은 아니었다. 그저 이런 상황을 극적으로 잘 드러내고 있어서 인상적이었다. 이럴 때마다, 낯설게 내 몸의 상황을 깨닫는 동시에, 몸의 형태가 그 사람의 무엇을 알려주는지 다시 한 번 질문하지 않을 수 없다.
한국은 흑백만을 인식하는 사회라는 생각이 드네요 다양한 색을 느끼고 보고 인식하지 못한다고나 할까.
누군가 ‘흑백’이 아닌 다른 색의 경험을 이야기 할려하면 바로 배제시켜 버리고 모든 색에 대한 경험을 ‘흑’ 혹은 ‘백’이라는 범주안에 넣어버려요. 각 개인의 다양한 경험을 ‘표준화’, ‘획일’화를 시켜버리고 그렇게 믿게 만드는 교육을 하죠.
그래서, 결국 자신만의 ‘소중한 경험, 인식’ 등을 믿지 못하게 하고, 오로지 ‘정해준’ 혹은 ‘배운’ 경험과 인식만이 진실이라고 믿게 만들어 자신의 삶을 배반하게 살게 해요.
그래서, 자신을 잃어버리는 이들이 얼마나 많은지…
아..혼자..중얼거렸네요.;ㅁ;
정말 그래요.
조금만 달라도, 곧바도 배제하고
어떻게든 획일화하는 분위기로 인해,
종종 갑갑할 때가 있어요.
그냥 소심하게 사는 것도 어려워요. 흐흐
이 글 꽤 재미있네요!
루인님 그때 이렇게 대답하셨어야죠!
“저 여자 좋아해요!” ㅋㅋㅋㅋ
(그럼 그들은 단번에 마음 속 의혹을 물리쳤을지도.. 그런 광경을 상상해보니 재밌네요. 푸핫.)
푸하핫.
그들은 또 다른 오해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르니, 완전 범죄, 완벽한 알리바이인가요? 흐흐흐 ;;
크하. 근데 보수적인 사람일수록 저런 것에 관심이 많고, 질문도 서슴지 않고 하는 것 같아요. 우리 회사에도 남자같은 외모의 여직원이 있는데, 어찌나 곤혹스럽게들 질문을 해대는지 안쓰러울 정도인데. 보수적인 사람일수록, 자기가 믿고 있는 이성애의 틀이 손상받는 것에 민감하달까요. 그래서 저런 공격적인 질문이 가능한 거겠죠.
아핫, 그렇군요.
전 이런 저런 질문을 할 수 있음, 자체가 의미가 있지 않을까 했거든요.
근데, 첨엔 당황해서 공격적이라고 느꼈는데, 나중엔 그저 친하게 지내고 싶거나 알고 싶어서 물어본다는 느낌이 들더라고요. 🙂
그렇다면 다행이네요~ ㅎㅎㅎ
헤헤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