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다 리쿠

논픽션? 난 그 말 싫어요. 사실을 바탕으로 했다고 주장해도, 사람이 쓴 것 중에 논픽션은 존재하지 않아요. 그저 눈에 보이는 픽션이 있을 뿐이죠. 눈에 보이는 것조차 거짓말을 해요. 귀에 들리는 것도, 손에 만져지는 것도. 존재하는 허구와 존재하지 않는 허구, 그 정도의 차이라고 생각해요.([유지니아], 23쪽)

01
지난달에 읽은 미야베 미유키(미미)의 [이유]와 최근에 읽은 안드레아 마리아 셴켈의 [살인의 마을 탄뇌드]가 떠올랐다. 물론 작품 발표순으로는 [이유], [유지니아], [살인의 마을 탄뇌드]지만. 세 작품 모두 살인 사건을 소재로 다루고 있고, 사건과 관련 있는 사람들의 인터뷰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인터뷰와 여러 명의 3인칭 화자를 통한 전개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대체로 비슷하다. 하지만 셋은 확실히 다르다.

각각의 작품을 퍼즐에 비유하면 좀 쉬울 듯. [이유]는, 첨엔 도대체 무슨 상관이 있을까 하는 내용들이 등장한다. 그래서 도대체 이 조각은 왜 있을까 싶은데, 나중에 보니 가장 중요한 조각이거나, 꼭 필요했거나 싶은 조각이었단 걸 깨닫는다. [살인자의 마을 탄뇌드]도 이와 비슷하다. [이유]와 [탄뇌드]의 차이라면, [이유]가 중간 즈음 가면 범인을 예측할 수 있는 단서를 주지만, [탄뇌드]는 마지막에 가서야 범인이 누굴까를 알 수 있는 단서를 준다(그럼에도 중간 쯤 읽으면 대충 예측할 수 있다). 아울러 자신이 살아가는 사회를 인식하고 통찰력을 드러내는 데에 있어 미미가 좀 더 날카롭다. [탄뇌드]의 결말이 좀 진부해서 미미의 작품이 더 좋은 걸 수도 있지만. 아무려나 이 소설들에 등장하는 인터뷰와 3인칭 화자를 통한 서술은 서로 아귀가 잘 맞아, 꼭 필요한 조각들을 모았다는 느낌이고, 그래서 소설을 다 읽고 나면 뭔가 깔끔한 느낌도 든다.

여기서 [유지니아]의 변별성이 나타난다. 인터뷰와 3인칭 화자를 통한 서술이 더 이상 새롭지 않음에도 이 소설이 낯선 건, 퍼즐에 들어갈 조각들 어느 하나도 정확하게 맞는 게 없기 때문이다. 사건을 알고 있거나 사건 발생 당시 마을에 있었던 사람들에게 인터뷰를 하지만, 각자가 기억하는 사건의 내용은 미묘하게 다르고, 그래서 서로 조금씩 다른 내용을 말한다. 각각의 퍼즐 조각들은, 분명 그 자리에 들어갈 게 맞긴 한데, 뭔가 안 맞아서 튀어나온다. 그래서 사건을 봉합할 수는 있어도 명확하게 해결할 수는 없다. 진범의 혐의가 짙은 이를 소설 초반부터 알려주지만, 그 사람이 진범이 맞는지 아닌지는 결코 알려주지 않는다. 혐의는 있어도 물증이 없기 때문에 봉합했지만, 봉합사로 꿰맨 사건은 계속해서 터지고 터진 부분에서 피가 나오기도 하고 강한 충격을 주기도 한다.

이것이 온다 리쿠의 매력이라고 말할 수 있으리라. 이 글을 시작하며 위에 인용한 구절처럼, 그 어떤 사건도 각자의 맥락에 따라 해석하고 기억하지, “완벽하게 객관적인 기억”이란 없다. 아이러니하게도, 내가 살고 있는 세상은 이렇지만, 이렇게 쓴 리쿠의 소설은 다소 “비현실”적으로 느껴지거나 약간의 환상적인 느낌을 준다.

02
최근에 번역되어 나온 두 권([메이즈]와 [클레오파트라의 꿈], 물론 곧 읽을 예정;;)을 뺀 온다 리쿠의 소설을 다 읽었다. 20권정도 되려나. [라이온 하트]는 지루해서 비추지만, 그 외엔 다들 하나같이 재밌었다. 그러며 온다 리쿠는 분명하게 이분법으로 나뉘는 걸 무척 싫어하는 구나, 랄까. 대충 이런 느낌을 받았다. 그래서 좋아하고.

초기 소설에 비해 비교적 최근(?) 소설에 들어오면 등장인물을 통해 여자는 이렇고 남자는 저렇고, 하는 내용들이 빈번하게 등장한다. 동시에 이성애 관계가 당연한 것처럼 얘기하는 구절들이 꽤나 나온다. 사실 이런 구절들을 접한 당장엔 꽤나 당황했다. 초기작품만 해도 이런 경향이 거의 없었는데 이 사람 왜 이러나, 싶었다. 하지만 조금만 유의해서 읽으면 이런 식의 말들이 분명하게 나뉘는 이분법을 흔들기 위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일테면 [흑과 다의 환상]이 그러하다. 주인공들은 여자는 이렇고 남자는 저렇고, 이성애 관계가 당연해 란 식의 말이나 생각을 한다. 하지만 이들 개개인의 성격은 이런 식으로 분명하게 나뉘지 않으며 자신의 말과 모순이 되는 행동을 한다. 이성애 관계 역시, 규범적으로 이성애관계가 당연하다고 믿지만 비이성애 관계를 맺는 이들이 등장하고, 이를 알면서도 이런 관계가 문제라기보다는 강한 질투를 표현할 ‘뿐’이다.

작품 속에 등장하는 이분법과 통념에 따른 설명은 작품 속에 너무 잘 묻어가는 느낌을 주지만, 이는 이런 이분법과 통념이 있음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서일 뿐이다. 이런 저자의 고민이 [유지니아]에서 정점을 이룬다. (최근작이라서 이렇게 표현한 것 뿐.) 물론 더 최근에 쓴 [호텔 정원에서 생긴 일]은 이런 식의 구분에서 좀 더 벗어나긴 한다. 하지만 나의 경우 아직은 어느 정도 정리가 되는 서사에 익숙하단 점에서 [유지니아]에 한 표. 흐흐. 사실 [호텔 정원에서 생긴 일]을 신인 작가거나 처음으로 자신의 작품을 출판사에 투고하는 작가가 쓴 작품이라면 출판이 가능했을까 싶다는;;;

아무려나 이런 고민을 이렇게 흥미롭게 표현하는 작가가 있다는 건, 즐거운 일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