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리스는 ~하지 않는다]Alice Doesn’t의 서문을 읽을 필요가 있었다. 책을 다 읽으면 좋겠지만 당장 그럴 여건은 아니니, 일단 서문 정도만 읽으려고. 근데 루이스 캐롤의 [앨리스]를 읽지 않으면 내용을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는 것이다!!! ㅠ_ㅠ
그래서 일전에 마틴 가드너의 주석이 달린 [앨리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거울 나라의 앨리스]를 읽었다. 근데, 오오, 진작 읽었으면 좋았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들 정도로 재밌다. 재기발랄한 말장난(언어유희라고도 말하는;;)과 치밀한 구성. 루이스 캐롤을 좋아하고 때로 열광하는 이들이 있다는데,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정말이지 한 구절, 한 구절을 모두 분석해보고 싶을 정도로 매력적이다. 가드너 역시, 상당한 양의 주석을 달았는데, 이런 주석은 읽지 않아도 무방하고 읽어도 재밌다. 대체로 이런 주석은 내용을 상상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기에 반드시 읽을 필요는 없다. 나 역시 다 읽지는 않았다. 하지만 어떤 주석은 너무 재밌다.
일테면 앨리스가 토끼굴에 들어간 후, 자신의 상태를 확인하며 “어머나, 점점 더 뒤죽박죽이야! 내가 정말 유식한지 알아봐야 되겠어. 어디 보자. 4 곱하기 5는 12이고, 4 곱하기 6은 13, 그리고 4 곱하기 7은…. 안 돼! 이런 식으로 가면 20까지는 절대 도달하지 못할 거야!”(55쪽)란 말을 한다. 이런 계산 자체도 재밌지만, 주석을 보면 더 재밌다.
A. L. 테일러는 [하얀 기사]라는 책에서 흥미롭긴 하지만 훨씬 복잡한 이론을 전재하고 있다. 18진법을 사용하는 숫자 체계에서는 4×5가 실제로 12이며, 21진법을 사용하는 숫자 체계에서는 4×6이 13이라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계속 진행해 보면, 언제나 기준 숫자는 3씩 늘어나고, 곱한 값은 1씩 늘어나게 된다. 그러다가 마침내 곱한 값이 20에 도달하게 되면 처음으로 이 법칙이 깨지게 된다. 4×13은 20이 아니라(42진법을 적용했을 때) 1이 되기 때문이다. (55쪽)
루이스 캐롤이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이기도 하단 점에서 이 역시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그리고 이런 독해는 언제나 흥미롭다. 흐흐.
또 다른 재미라면, Alice Doesn’t의 서문에 실린 내용과 비교하면서 읽는 재미도 있지만, 스나크가 나오는 구절들. 최근에 [스나크 사냥]을 읽어서인지, [앨리스]에서 이미 스나크가 등장하고 있다는 게 반갑고 재밌었다. 특히나 스나크snark가 shark의 h를 n으로 식자공들이 잘못 조판한 것일 수도 있다는 주석은, 무척이나 재밌었다. 왠지 그럴 듯 하고. 흐흐.
그나저나, 혹시 “wed. Oct. 29, 1975 Alice doesn’t!”가 무슨 의미인지 아시는 분, 무슨 이유에서 이런 구절이 들어간 피켓을 데모에서 들었는지 알려주세요~, 라고 쓰려는데 대충 무슨 의미인지는 찾았다. [Alice doesn’t live here anymore]라는 영화에서 따온 구절인 듯. 1975년 10월 29일, 여성을 착취하는 사회 구조와 노동시장에 파업을 하자고 NOW(전미여성기구)에서 제안하는데, 이 제안의 이름이 “Alice doesn’t”이다. 집 안팎에서 일을 하지 않고, 음식을 사려고 돈을 지불하지 않으며, 대중문화에서 여성에게 요구하는 이미지를 지지하지 않고, 등등. 이런 일을 하기 위한 행사이름이 “Alice doesn’t”이다. (자세한 건 여기로.) 물론 책 내용은 이 행사와 직접 관련 있는 것 같진 않지만 아예 무관한 내용은 아니다.
암튼, 암튼, 루이스 캐롤의 책은 여러 모로 재밌다. 매력적이고.
고맙습니다. 저도 찾아 읽어봐야겠어요
근데, 적잖은 페미니스트 비평가들의 경우, 앨리스를 상당히 불편하게 해석하더라고요. 주로 앨리스에게 요구하는 캐롤의 태도와 캐롤이 7살 여자아이에게 ‘특별한 관심’을 보인 점과 밀접한 거 같아요.
하지만 소설은, 정말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텍스트란 점에서 매력적이에요. 흐흐
그 복잡한 주석이 재미있는 것이었군요 *_* 저는 새까만 주석에 놀라 얼른 책을 놓았던 기억이 있어요. 주석이 많으면 괜스레 전 책읽기가 싫어지는듯.. 늙다리 대학원생으로 지낸 2, 3년의 후유증이에요 ㅋㅋ
저도 그래서 주석의 상당수는 무시했어요. 그냥 가끔씩 주석을 읽다가 우연히 저 재밌는 해석을 읽었달까요. 흐흐
오. 재밌을 거 같아요. 그치만 먼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부터 읽어야겠어요;;
각주 달린 앨리스에 원본도 같이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