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에서 보던 정신과 상담 장면과는 뭔가 달랐다. 의사가 아니라 내가 창문을 등지고 앉아 있었다. 의사가 방문을 등지고, 의사의 책상은 창문을 바라 보는 식이었다. 방문은 의사가 앉았을 때 왼쪽에 있었다. 통상의 병원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의사가 앉아 있는 상태로 문을 열고 들어오는 내담자를 확인 수 있는 구조가 아니었다. 의사가 자신의 얼굴 표정을 숨길 수 있게 창을 등지고 앉는 형태가 아니었다. 내담자의 표정을 숨길 수 있는 구조였다. 그래서 나는 편했다. 의사의 표정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고, 나의 표정을 숨길 수 있어 좋았다.
의사와 나는 검사 결과를 기다리고 있었다. 검사명과 방법은 정확하게 기억나지 않는다. 검사 자체는 간단했다고 기억한다. 나는 무덤덤했다. 결과를 확인하기도 전에, 나는 내가 예상하는 결과가 나오리란 걸 알고 있었다. 걱정은 의사의 몫이었다. 의사가 더 걱정했다. 난 내가 어떤 상태인지 알고 있었다. 아주 어릴 때부터 나의 정신세계에 어떤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사회 생활엔 큰 지장이 없기에 입원할 정도는 아니지만 간단하지 않으리란 것을 알고 있었다.
검사를 마친 다른 의사가 문을 열고 들어왔다. 분위기가 어두웠다. 보조의사는 뭐라고 말을 했다. 나와 마주한 의사가 다시 내게 진단명을 말했다. ‘아, 역시 그렇구나.’ 중얼거리면서 그게 정확히 어떤 병인지 궁금했다. 진단명만 들으면 무슨 병인지 쉽게 알 것 같았고, 매우 가벼운 증상 같았다. 그저, 의사의 반응이 심각하여 내가 모르는 그런 증세가 있나 보다,라고 신경 쓸 뿐이었다. 그런데 진단명이 뭐였더라… 의사는 어떤 종이를 보여줬다. 종이엔 가장 심각한 병명 두 가지가 적혀 있었다. 내게 말한 진단명은 아래쪽에 적혀 있었다. 진단명만 읽으면 병이 아닌 것만 같았다.
의사는 직접 말하지 않았지만 나는 의사의 표정만으로 하고자 하는 말을 알아들었다. 수술을 하겠느냐고? 머리를 절개하여 뇌수술을 하겠느냐고? 난 조용히 고개를 가로 저었다. 앞으로 어떤 식으로 병이 진행될지 알 수 없지만 그냥 지내기로 했다. 수술도 하지 않고 약도 먹지 않기로 했다.
그때 바깥에서 소란이 일었다. 의사 둘은 서둘러 밖으로 나갔다. 옆방 환자실로 들어갔다. 의사와 간호사, 환자 가족이 서둘러 병실 밖으로 나왔다. 병실에서 복도로 침대를 이어 붙였다. 의사는 바퀴가 달린 침대를 사용해서가 아니라 침대를 이어붙어 환자를 이송하려 했다. 컨베이어 벨트로 물건을 나르듯, 그렇게 환자를 옮기려 했다.
난 환자의 모습을 볼 수 없었다. 의사와 간호사, 환자 가족이 침대를 둘러싸고 있었다. 하지만 알고 있었다. 그가 매우 위중한 상태라는 것을. 그리고 그 환자와 나의 진단명은 동일하다는 것을. 나의 상태가 좀 더 진전되면 그 환자처럼 될 수 있다. 알고 있지만, 수술할 의향이 없었다. 다행이라면 나의 진단명은 강제 입원에 해당하는 사유는 아니었다. 그런데 그 진단명이 뭐였더라…
나는 진단명을 듣고, 종이에서 그 글자를 봤을 때 몇 번이고 되뇌었다. 진단명을 잊지 않기 위해 몇 번이고 외웠다. 하지만 잠에서 깨어났을 때 진단명이 떠오르지 않았다. 잠이 얕았을 땐 입술을 움직이며 진단명을 외우기도 했다. 이런 일은 모두 기억나는데 진단명은 기억나지 않았다. 꿈 치고는 생생했지만 하루 종일 잊히지 않는 그런 꿈도 아니다. ‘아, 꿈을 꿨지..’라고 상기해야만 떠오르는 그런 흔한 꿈이었다. 그런데도 두 글자로 이루어진 진단명이 궁금하다. 매우 흔한 명칭이었는데…
꿈이에요? 사람 놀래키는 꿈이네요…
그럼요! 당연히 꿈이지요! 흐흐.
근데 사실 꿈이란 점도 모호하게 적을까 했어요.. 후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