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열댓 번은 봤지만 <내가 사는 피부>는 다시 봐도 재밌다. 읽을 거리가 넘쳐나서 아직도 몇 번은 더 재밌게 볼 수 있겠다 싶다. 이런 텍스트를 만드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니 이런 흥미로운 텍스트를 만든 감독에게 고맙고, 이런 텍스트로 글을 쓰겠다고 한 나 자신에게 안심한다. 물론 서너 번 봤는데 지겨웠다면 글을 쓰지도 않았겠지.
영화 <내가 사는 피부>는 많은 평론가가 지적하듯 두 가지 다른 텍스트를 얘기한다. 하나는 피그말리온과 그 조각상 갈라테이아, 다른 하나는 프랑켄슈타인과 이름 없는 괴물/피조물. 영화 속 의사 로베르트는 자신이 (재)창조한 존재 베라/비센테와 애증의 관계를 형성한다. 괴물을 추적하듯 그렇게 로베르트는 베라/비센테를 끊임없이 경계하고, 갈라테이아와 사랑에 빠지듯 그렇게 베라/비센테를 사랑한다. 그런데 각 텍스트에서 자아가 구성되는 방식은 무척 흥미롭다.
로베르트는 자신이 제작한 대상에게 모든 감정을 쏟으면서, 베라/비센테를 통해서만 자기 삶의 의미, 자아를 확인할 수 있다. 베라/비센테는 로베르트가 제작한 외모와 비센테로 살았던 긴 삶의 공존을 모색하며 자신의 자아를 구성한다. 이때 자아는 어떤 의미인가? 각자의 자아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관계를 맺으며 결코 동시성을 갖지 않는다. 로베르트는 베라/비센테가 갈/노르마의 자아를 갖춘 존재길 바라고 그렇게 대한다. 베라/비센테는 베라에 오염된 비센테, 혹은 베라와 비센테의 경계 구분이 불가능한 혼종으로 살아간다. 로베르트가 베라/비센테에게서 비센테의 역사를 깨달은 것은 총에 맞아 죽음을 맞이할 때였다. 사람 간 관계에서 서로가 기대함에도 기대에 어긋나는 자아로 마주할 때 이 관계는 어떤 의미일까?
어쩌면 KSCRC 강의에서 <내가 사는 피부>를 얘기할지도 모르겠다. 아직도 강좌에서 무슨 얘기를 해야 할지 감을 못 잡고 있는 게 문제라면 문제지만… 아하하. ㅠㅠ
뭐, 이번엔 진짜로 강사가 나타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할지도 모릅니다! 으하하.
혹시 laurence anyways 보셨어요? 저도 아직 안봤고, 만약 재미없는 영화인데 루인님께 추천한다면 대단한 실례지만…제 짝꿍이 흥미롭다면서 저한테 추천해주더라구요. 몬트리올이 배경이기도 하고 가볍지 않은 주제가 마음에 들어서 나중에 저도 한번 꼭 볼래요. 루인님도 보신다면 영화평 해주세요 🙂
파일은 아직 못 찾아봤고 제목만 검색했는데 재밌겠어요! 파일을 찾아도 문제는 자막이겠다 싶고요.. ㅠㅠㅠ 국내 정식 개봉하면 좋겠지만 그럴 가능성이 있을까 모르겠네요.. 암튼 한 번 찾아봐야겠어요. 소개 고마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