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사는 피부: 자아

벌써 열댓 번은 봤지만 <내가 사는 피부>는 다시 봐도 재밌다. 읽을 거리가 넘쳐나서 아직도 몇 번은 더 재밌게 볼 수 있겠다 싶다. 이런 텍스트를 만드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그러니 이런 흥미로운 텍스트를 만든 감독에게 고맙고, 이런 텍스트로 글을 쓰겠다고 한 나 자신에게 안심한다. 물론 서너 번 봤는데 지겨웠다면 글을 쓰지도 않았겠지.

영화 <내가 사는 피부>는 많은 평론가가 지적하듯 두 가지 다른 텍스트를 얘기한다. 하나는 피그말리온과 그 조각상 갈라테이아, 다른 하나는 프랑켄슈타인과 이름 없는 괴물/피조물. 영화 속 의사 로베르트는 자신이 (재)창조한 존재 베라/비센테와 애증의 관계를 형성한다. 괴물을 추적하듯 그렇게 로베르트는 베라/비센테를 끊임없이 경계하고, 갈라테이아와 사랑에 빠지듯 그렇게 베라/비센테를 사랑한다. 그런데 각 텍스트에서 자아가 구성되는 방식은 무척 흥미롭다.
로베르트는 자신이 제작한 대상에게 모든 감정을 쏟으면서, 베라/비센테를 통해서만 자기 삶의 의미, 자아를 확인할 수 있다. 베라/비센테는 로베르트가 제작한 외모와 비센테로 살았던 긴 삶의 공존을 모색하며 자신의 자아를 구성한다. 이때 자아는 어떤 의미인가? 각자의 자아는 서로 다른 방식으로 관계를 맺으며 결코 동시성을 갖지 않는다. 로베르트는 베라/비센테가 갈/노르마의 자아를 갖춘 존재길 바라고 그렇게 대한다. 베라/비센테는 베라에 오염된 비센테, 혹은 베라와 비센테의 경계 구분이 불가능한 혼종으로 살아간다. 로베르트가 베라/비센테에게서 비센테의 역사를 깨달은 것은 총에 맞아 죽음을 맞이할 때였다. 사람 간 관계에서 서로가 기대함에도 기대에 어긋나는 자아로 마주할 때 이 관계는 어떤 의미일까?
어쩌면 KSCRC 강의에서 <내가 사는 피부>를 얘기할지도 모르겠다. 아직도 강좌에서 무슨 얘기를 해야 할지 감을 못 잡고 있는 게 문제라면 문제지만… 아하하. ㅠㅠ
뭐, 이번엔 진짜로 강사가 나타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할지도 모릅니다! 으하하.

내가 사는 피부 분석글 올렸습니다.

며칠 전 한국문화연구학회 학술대회 소개글을 적었고, 그곳에서 발표한 원고 올렸습니다.

( writing 메뉴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영화, <내가 사는 피부>를 혼종적 주체로 독해한 글입니다. 저 나름, 트랜스젠더 인식론으로 텍스트를 분석한 글이라고 우기고 있습니다. 크크. ;;;
내년 봄 즈음 출판을 계획하고 있고요. 잘 되어야 할텐데요…

Re: 이런저런 이야기

그러니까 지금 이 글은 모두 어제 일어난 일.

01
스폰지하우스 광화문 기준, 어제로 [내가 사는 피부]가 마지막 상영이었다. 마지막 상영에 함께 했다. 이것으로 [내가 사는 피부]를 총 여섯 번 봤다. 극장에서 다섯 번, 세미나 모임에서 파일로 한 번. 앞으로 몇 번 더 볼 계획이고 DVD가 나오면 구매할 계획이다.
6월엔 [내가 사는 피부]로 글을 쓸 계획이다. 할 얘기가 너무 많아 적어도 세 가지 주제로 글을 쓸 수 있을 듯하다. 물론 그 중 한 가지로만 쓰겠지만.
02
어제 이런 글 https://www.runtoruin.com/1948 을 적었다. 알바을 계획한 곳에서 전화가 안 온다는 얘기였다.
극장에 있을 때 부재중 통화 두 건. 어떻게 알았는지 글을 쓴 다음에 전화가 왔다. 글이 신호를 보낸 것인가…;;; 암튼 3월부터 알바를 시작할 예정. 3월부터는 빈둥빈둥 노는 것도 할 수 없는 것인가.. ;ㅅ;
03
어제 이런 글 https://www.runtoruin.com/1948 을 적었다. 작년 원고를 청탁한 곳에서 전화가 안 온다는 얘기였다.
알바 전화가 끝나고 몇 분 지나 담당자에게서 전화가 왔다. 안부를 묻고 글을 써줄 수 있느냐고 물었다. 난 당연히 쓰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처음 청탁하는 형식의 전화였다. 바쁘면 쓰지 않아도 괜찮다고 했다. 그 말에 혹했다.
하지만 쓰고 싶은 원고다. 아니, 좋아하는 이론가의 역사와 이론 지형을 정리하고 싶은 욕심이 있기에 계기가 필요하다. 이번 원고는 그 계기다. 그래서 무리해서라도 쓰기로 했다. 잘 한 결정일까? 하지만 어차피 여유 있을 때 쓸 수 있는 원고란 없지 않은가. 모든 원고는 빠듯한 일정 속에서 시간을 길어 내어 쓰는 것 아니던가(라고 믿고 있다..ㅠㅠ).
그나저나 전화가 왔을 때 블로그 글을 읽은 줄 알았다. ;ㅅ; 다시, 글이 그에게 신호를 보낸 것인가.
+
아… 지난 2월 4일 2012 LGBT 인권포럼에서 발표한 원고는 writing 메뉴에 있습니다. 혹시나 해서… 하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