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미친 세상에, 어떤 위로를

지난 학기 수업 쪽글로 쓴 글인데 아직 공개를 하지 않았네요. 깜빡 잊은 건지 고의였는지 모르겠습니다. 지금은 공개할 수 있을 듯하여 올립니다.
글을 다시 읽으며, 요즘 고민과 겹치면서, 어쩌면 정체성 정치에서 바이는 불가능한 범주인지도 모른다는 고민을 합니다. 이것이 정체성 정치의 가장 심각한 문제 중 하나겠지요. 정체성 정치학이 어떤 범주 경험을 중심으로 등장했는지를 탐문하는 작업도 필요하겠네요. 오늘날 ‘정체성 정치학’이 일종의 놀림거리처럼, 철지난 유행처럼 취급된다고 해도 여전히 많은 사람이 정체성 정치학으로 사유하고 있지요. 그렇지 않다면 지금과 같은 논쟁이 발생했을까요? 그렇지 않을 듯합니다. (이 말이, 정체성 정치가 유일한 문제란 뜻은 아니고요.) 돌이켜보면 모이드의 책은 정체성 정치를 단일 범주 구성으로만 다루고 넘어갔지만 그렇게만 설명할 수 없습니다. 정체성 정치학에서 바이 범주는 가능할까요? 트랜스젠더 범주는 성립할 수 있을까요? 직관적 판단이지만, 성립할 수 없는 듯합니다. 존립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정체성 정치학은 단순히 단 하나의 범주만 지닌다고 가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정체성만 적법하고 적절한 범주로 사유합니다. 그래서 정체성 정치가 어떤 범주를 축으로 등장했고 정체성 정치학을 비판하는 과정에서 어떤 범주를 중심으로 논의가 전개되었는지를 살필 필요가 있네요. 나중에 관련 글을 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아니, 이미 누군가가 이런 주제로 글을 썼을 테니 찾아봐야겠어요.
물론 다음의 쪽글 내용은 앞 문단과는 전혀 다른 내용이고요. 흐.
===
2012.11.14. 수업 쪽글.
이 미친 세상에, 어떤 위로를…
-루인
과거 자신을 부치로 설명한 지인이 있었다. 그는 언제부턴가 ftm 트랜스남성으로 자신을 설명하기 시작했다. 이어 이성애남성으로 얘기하는 듯하더니 곧 바이로, 다시 게이에 가까운 바이로, 나중엔 게이로 자신을 설명했다. 그에게 레즈비언의 역사, 트랜스남성의 역사, 바이의 역사, 게이의 역사는 모순이거나 별개가 아니다. 이 모든 것은 그가 겹치는 시기에 고민한 내용이며, 그의 몸에 남아 있는 역사의 흔적이다. 물론 모야 로이드가 지적했듯(39), 정체성 정치학에서 그는 게이거나 트랜스젠더여야 한다. 부치로 산 역사는 이제 트랜스남성이 되는 과정에서 겪은 갈등으로 재편집되어야 한다. 정체성 정치학에서 개인의 삶은 단일 범주이자 태어날 때부터 확고한 것이다. 과정 중에 있을 수 없다. 반면 지인의 삶은 정체성 정치학을 되묻는다. 그에게 게이이자 트랜스남성으로 살았던 삶은 별개의 이슈가 아니다. 어떤 자리에선 게이 범주만, 다른 자리에선 트랜스남성 범주만, 또 다른 자리에선 (비트랜스로 통하는)남성 범주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전략적으로 특정 공간마다 어느 한 가지 범주만 재현할 수는 있다. 하지만 그에게 게이 범주, 트랜스남성 범주 등은 언제나 동시에, 겹치는 방식으로 작동했다. 월요일엔 게이, 화요일엔 트랜스젠더, … 일요일엔 정체성 휴업으로 사는 것이 아니다.
로이드의 논의가 정체성 정치에서 혼종적 주체로 넘어가는 것은, 정체성 정치학이 단일 범주의 개인, 그리하여 하나의 범주로 환원할 수 있는 주체를 가정하기 때문이다. 정체성 정치학은 범주의 동질적 경험을 가정하기에 특정 범주에 속하는 개인은 그 범주의 다른 개인과 거의 동일한 경험을 지니며 그 범주에 어떤 불편[not-at-ease]을 겪지 않는다고 여긴다. 그리하여 한 개인은 그 범주를 대표[representative]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정체성 정치학은 개인의 복합적 범주를 누락하거나 덧붙이기[additive] 식으로 설명하고, 범주 경험에 위계를 정한다. 뿐만 아니라 범주 자체를 ‘자연화’한다. 예를 들어 ‘한국인’이라면 인종을 겪지 않지만 이주민은 인종차별을 겪는다는 식의 인식은 정체성 정치학의 대표적 효과다. 지배 규범적 범주 경험은 경험이 아니라 그냥 ‘자연스러운’ 일이다. 인종, 젠더, 섹슈얼리티, 장애 등은 삶에서 동시에, 그리하여 화학적 결합을 통해 작동한다. 모든 개인은 어느 하나로 분명하게 선을 그을 수 없는 경계지대에 살고 있고(48), 마리아 루고네스(María Lugones)의 표현을 빌리면, 자신이 속한 세계라고 해도 그 세계에서 편하게 살 수 없는 그런 삶을 산다. 어떤 범주에도 완전하게 들어맞지 않고, 그리하여 편하지 않다. 이것이 정체성 정치학에서 혼종적 주체로 논의를 이행한 이유다.
이런 이유에서 다중적 주체, 혼종적 주체는 은유가 아니라 ‘우리’/내가 살아가는 삶의 지극히 평범한 풍경이다. 누구도 단일 범주로 살지 않는다. 자신의 삶에 작용하는 복합적 범주를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체화된 인식체계(부인의 체화)가 있을 뿐이다. 그래서 가시적인 혼종적 주체는 특이한 주체로 재현된다. 다른 말로, 어느 페미니스트의 지적처럼, ‘나’는 나를 미쳤다고 얘기하는 미친 세상에 살고 있다. 그리고 혼종적 주체를 끊임없이 문제 삼는 세상에서 많은 개인은 우울증과 정신분열을 겪는다. 자신의 위치를 통해 세상을 새롭게 해석하는 힘을 가지면서도 때때로 죽음을 선택한다. 그렇다면 혼종적 주체 논의를 통해 이 우울과 정신분열을 어떻게 위로할 수 있을까? 이를 어떻게 얘기할 수 있을까?

6 thoughts on “이 미친 세상에, 어떤 위로를

  1. 정체성 범주를 대신할 만한 새로운 언어가 없다는 것이 이 난감하고 지리한 상황이 지속되는 가장 큰 이유 아닐까요? 그런 언어가 생성되지 못하게 하는 사회적 조건들이 있을 수도 있고요 ㅠ

    1. 그쵸? 복잡한 욕망을 복잡하게 인식할 수 없도록 하는 사회적 조건이 존재 자체를 은폐시키는 역할도 한다 싶어요.
      그런 한편, 왜 정체성이 인간의 복잡한 욕망을 인식하는 사실상 유일한 수단이 되었을까 싶기도 해요…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 건 아닐까 싶기도 하고요…
      아.. 어렵다.. ㅠㅠㅠ

  2. 이 글에서 애도하고 계시는 분이 제가 아는 그 분이라면, 저도 같이 하고 싶어요.

    저는 그 분을 활자나 영상으로만 접했지만, 그분이 남겨 놓은 흔적과 그로 인해 바뀐 세상과 담론 위에 서 있고, 또 그 분을 기억하고 추억하는 사람들을 알게 되었으니까요.

    루인님께도 C님께도 제대로 관련해서 말을 전한 적이 없는 것 같네요. 저도 애도합니다. 제가 괜한 소리를 하는 것도 같지만? 어쨌든 무거워 보이는 건 같이 들어요. 😉

    1. 네, 말씀하신 그 분 맞아요. 가끔씩은 ‘그 분’이 아니라 ‘아우, 그 인간’이라고 말하고 싶을 때도 있지만요.
      떠난 건 속상하지만, 그 짧은 시간에 이렇게 많은 일을 했구나 싶어서 고맙고 또 미안하기도 해요. 뭐, 다 늦은 고민이지만요…
      무거운 건 같이 들자니 고마워요. 이미 같이 들고 있지만 앞으로도 같이 해요. 함께 할 수록 더 힘이나고 잘 할 수 있으니까요. 🙂

  3. 정체성이란 것이 많은 차이를 봉합한 하나의 ‘결과’임에도 불구하고, 어떤 본질이 내재되어 있는 ‘원인’처럼 여겨지는 ‘도착’ ‘전도’가 있다는 논리적 지적도 ‘현실’앞에서는 별 효과가 없는것같더군요. 개인적으로 이 이슈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는데, 지금까지의 결론은 어떤 ‘권력의지’가 작동하는건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우리가 하는 ‘배제’와 ‘소외’는 ‘그들’이 하는 ‘배제’와 ‘소외’와는 다르다. 왜냐하면 우린 ‘소수자’이고 ‘약자’니까, ‘힘’이 필요하고, ‘힘’을 모을때다. ‘조직’이 강건해지면 그때 다시 ‘내부’의 문제를 돌아보자, ..뭐, ..이런 ‘유사한’ 방식이 전개되고 있는것같은 느낌이랄까, ….그냥 , ‘느낌’차원에서, …

    1. 말씀하신 것처럼 논리적 지적이 ‘현실’ 앞에선 효과가 없는 듯하단 느낌은 저도 종종 받아요. 두 가지 측면에서 모두 그러한데, ‘우리’를 알고 싶어하거나 별 관심이 없는 집단이 그러하고, ‘우리’로 분류할 법한 집단도 그러하고요. 그래서 가끔은, 논리적으론 정말 말끔한 듯하고 설명을 잘 하고 있는 듯하지만, 어쩌면 이런 설명이 아니라 다른 설명체계를 가져야 하는 건 아닐까란 고민이 들더라고요. 그렇다고 어떻게 해야 할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ㅅ;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