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쓴 글에 이어서…
내가 누군가에게 커밍아웃을 할지, 하지 않을지는 나만 결정할 수 있다. 애당초 커밍아웃은 내가 결정할 문제지 다른 누군가가 하라, 하지 마라로 결정할 일이 아니다. 이것이 매우 순진한 언설 같아도 이렇게 말하는 이유가 있다.
누군가에게 커밍아웃을 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행위는 특정 범주를 둘러싸고 발생하는 차별이나 편견의 책임을 ‘당사자’에게 덮어씌움과 같다. 트랜스젠더에게 커밍아웃을 요구하며 네가 커밍아웃을 하지 않으니 사회가 변하지 않는 것 아니냐라는 말은 결국 모든 책임은 트랜스젠더에게 있다고 말함과 같다. 트랜스젠더라고 주변에서 욕하는 것도, 여성답지 못하다 혹은 남성답지 못하다고 아무나 함부로 지껄일 수 있는 것도, 법적 제도가 없는 것도, 사람들이 트랜스젠더를 잘 모르는 것도, 다른 모든 것도 트랜스젠더가 커밍아웃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함과 같다.
누군가가 “사람들이 트랜스젠더를 차별하는 건 트랜스젠더 때문이야”라고 말한다면 이렇게 말한 사람을 비판할 것이다. 하지만 “이 사회가 변하기 위해선 네가 커밍아웃을 해야 해”라고 말하면 많은 이들이 쉽게 수긍한다. 슬픈 일이다. 앞의 말과 뒤의 말 사이에 인식론적 차이는 거의 없다. 커밍아웃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가 아니다. 커밍아웃이 모든 일을 해결할 궁극의 해법이 아니란 얘기다. 커밍아웃은 그저 시작일 뿐이며 그것도 시작하는 많은 방법 중 하나일 뿐이다. 커밍아웃을 해야 한다는 기획에 많은 힘을 쏟는다면, 비록 유명인사의 커밍아웃이 긍정적 효과를 지닌다는 점을 부정하지 않는다고 해도, 결국 트랜스젠더를 비롯한 비규범적 젠더-섹슈얼리티 주체만 힘들 뿐이다.
“부모에게 커밍아웃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려고 오랜 시간 골몰했다. 여전히 이 질문에 만족스러운 답을 못 찾고 있다. 무슨 뜻이냐면, 나는 ‘활동가라면 부모에게 커밍아웃을 해야 한다’는 식의 논의가 웃기다고 믿는다. 부모에게 커밍아웃 하는 일이 가장 의미있는 커밍아웃이라고 의미 부여 하는 행위에도 얼마간 불편함을 느낀다(가장 쉽지 않은 일이란 점엔 동의한다). 활동가라면 부모에게 당연히 커밍아웃을 해야 한다거나 부모에게 커밍아웃을 하는 것이 진정한 커밍아웃이란 언설은 한국의 규범적 가족제도를 강고하게 내면화하고 있다는 뜻과 크게 다르지 않다. 소위 말하는 가족 가치를 비이성애-트랜스젠더 실천에도 고스란히 이식하겠다는 기획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래서 이런 식의 언설을 들을 때면 속으로 혈연가족제도가 그렇게 좋으냐고, 소중하냐고 되묻곤 한다. 소심하여 속으로만 구시렁거리지만…
다른 한편, 부모는 나의 이야기를 다 털어놓아야 하는 존재인가? 부모는 나와 친밀한 존재인가? 나의 경우엔 이 질문에 부정적이다. 나는 부모 누구에게도 내가 사는 방식을 얘기하지 않는데 이것은 내가 부모와 어떤 특별한 친밀감을 형성하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작년 어느 시점부터 매일 아침 어머니와 통화를 하며 안부를 묻고 있지만 나와 어머니의 친밀감은 딱 여기까지다. 나는 그 이상을 어머니와 혹은 부모와 나눌 의지가 없다. 그렇게 친한 관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친밀한 관계가 아닌데 굳이 왜 부모에게 커밍아웃을 해야 하지? 내가 부모에게 혹은 원가족에게 커밍아웃을 하지 않는 건, 그들과 친밀하기 때문도 아니고 그들과의 관계가 틀어질 것이 두려워서도 아니다. 친밀하지 않음에도 원가족은 내게 많은 것을 행사할 수 있다고 믿으며, 이것이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구조에 있기 때문이다. 이 피곤함, 고단함 때문에 원가족에게만은 커밍아웃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물론 농반진반으론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효도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이건 농반진반이고.)
커밍아웃은 분명 의미있는 일이지만, 커밍아웃 하나로 뭔가 엄청난 일을 하는 건 아니다. 누구에게 커밍아웃을 하지 않아도 관련 이슈에 상당히 중요한 일을 할 수 있고, 많은 사람에게 커밍아웃을 했지만 어떤 이슈에 큰 기여를 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니 커밍아웃 했다는 것만으로, 소위 대사회적 커밍아웃을 했다는 것만으로, 부모나 원가족에게 커밍아웃을 했다는 것만으로 기고만장하다면 그건 가장 부정적 용법으로서 커밍아웃 페티시일 뿐이다(다양한 페티시가 있는 1인으로서 이런 표현이 상당히 불편하지만요..;; ).
무, 무슨 페티시가 있으신…
하하.. 그.. 그런 거 없어요.. 하..;;;;;;;;;;;;;;;;;;;;;;;;;;;;;;;;;;;;;;;;;;;
커밍아웃에 너무 많은 의미를 부여하는 게 불편해요.
사실 아웃팅에 대해서도 비슷한 생각을 가지고 있……;;;
그쵸? 분명 의미있는 일이긴 한데..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뭔가 좀 이상해요.. 불편하기도 하고요…
아웃팅에 대한 과도한 반응은 정말.. 미국의 Don’t Ask, Don’t Tell 같고요.. -_-;;
전에 루인님 뵈었을 때 제가 커밍아웃을 하는 것은 개인의 선택이라고 생각하는데 사회적으로 압력을 넣고 있는 것 같아서 싫다 … 라고 말 한 기억이 있는데, 아닌가요 ㅡㅜ; 저도 고집센데도 소심한 구석이 있어서 말해야 겠다 라고 하다가 안 하는 경우가 많아서 …
생득 논쟁과 마찬가지로, 논리적으로 생각하기 보다는 수사학적 , 정치학적으로 생각하는 게 더 많이 뽑을 (?) 수 있을 것 같은 문제라고 생각해요. 퀴어라는 집단이 어떤 정치 정당같은 그룹이라고 한다면, 그 그룹은 구성원들이 커밍아웃을 하게끔 압력을 넣어야 목적 – 일원화된 목적이 있다는 건 과도한 일반화 혹은 환상이라고 저도 생각하지만 그건 다른 정치 정당도 비슷한 상황일 거라는 변명으로 그냥 귀찮아서 말을 줄여버리면 (말은 귀찮다고 줄이면 큰일나는 거라고 생각하지만 어쨋든 ;;; ) – 에 더 효과적인 (물론 효과적이라는 말도 주관적입니다만) 게 아닐까 하는 그런 거요.
이러니까 맨날 음모론에 빠지는 건 아닌가 모릅니다. -_-;
이건 뭐 센 의견이 아닌거같아서 비밀글로 ;;; 부끄 .;;;;;;;;
비공개와 공개 댓글의 차이가 조금 애매합니다만… 암튼… 흐흐흐
네.. 기억나요. 🙂
커밍아웃은 도구인데 어쩐지 커밍아웃이 목적이자 지향점이 되는 듯한 이상한 느낌이 들 때도 있어요. 누구도 이것을 의도하지 않았겠지만 종종 이렇게 흘러가는 경향이 있달까요…
커밍아웃 그 자체도 의미가 있겠지만 그 이후 역시 매우 중요하니까요..
음모론은 좋은 거 아닌가효? 후후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