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몇 년 전부터 일부 구성원 사이에서 스스로를 젠더퀴어로 설명하는 사람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한편으로 반가웠고 한편으로 당황했는데 젠더퀴어가 한국에서 어떤 맥락으로 들어왔는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사실 여러 범주 용어를 번역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삶을 더 복잡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혹은 더 섬세하게 설명할 수 있다면 이것은 좋은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단순히 자신을 주장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범주를 둘러싼 사회구조적 측면을 같이 이야기해야 하는 것 역시 중요하고. 하지만 용어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고민은, 왜 미국의 중산층 백인 무리에서 주로 사용하는 용어가 주로 번역되는가였다. 비백인 하위문화, 하층계급에서 사용하는 범주 용어, 펨퀸, 게이퀸 등은 거의 번역되지 않는 경향이 의심스럽기도 했다. 이런 고민으로 나 자신을 젠더퀴어로 설명할 때가 있음에도 젠더퀴어란 용어를 그리 많이 사용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젠더퀴어란 용어를 더 적극 사용해야 하지 않을까란 고민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트랜스젠더란 용어는 미국 (학제) 맥락에서처럼 포괄어가 아니다. 미국에선 트랜스젠더에 크로스드레서를 포함하지만 한국에서 트랜스젠더와 크로스드레서는 전혀 다른 범주 용어다. 둘이 매우 많이 겹친다고 해도 전혀 다른 범주며 때론 크로스드레서가 더 포괄적인 범주란 느낌이 들 때도 있다. 트랜스젠더는, 항상 그런 것은 의료적 조치와 매우 밀접하게 유통되고 있다. 하리수 씨의 영향이기도 하겠지만, 트랜스젠더는 성전환수술을 했거나 할 예정인 사람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커뮤니티에서도 대체로 이런 느낌으로 사용하고 있고. 아울러 젠더퀴어는, 아직은 잘 모르겠지만, 의료적 조치 경험과는 무관하지만 이원젠더 규범에 부합하지 않는 방식으로 젠더를 실천하는 이들이 사용하는 느낌도 있다. 어렴풋한 느낌이지만. 미국 맥락에서라면 한국의 젠더퀴어가 미국의 트랜스젠더고, 한국의 트랜스젠더가 미국의 트랜스섹슈얼에 가깝겠지만, 어차피 언어, 용어, 정체성은 번역되고 그 과정에서 지역적 변형을 겪는다. 그리하여 미국의 범주 용어와 한국의 범주 용어는 한국에서 오독되는 것이 아니라 전혀 다른 용어로 등장한다.
이런 점을 감안한다면, 의료적 조치를 원하지 않거나 의료적 조치를 한다고 해도 ‘여성’ 아니면 ‘남성’으로 포섭되길 원하지 않는 이들의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혹은 이성애-이원젠더 규범에 온전하게 포섭되지는 않지만 한국 사회에서 사용하는 트랜스젠더로 설명할 수 없고 동성애나 양성애/범성애로 설명하기도 힘든 이들의 경험을 설명하기 위해 젠더퀴어란 용어를 적극 차용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젠더퀴어를 좀 더 적극 사유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이런 고민을 하는 요즘이다.
사실 성별 정체성이란게 워낙 다양하기에
용어를 선택하고 설명하는데 있어서
예민한 부분이 아닌가싶습니다.ㅎㅎ
그건 그래요. 하지만 또 각 용어의 정치적 맥락이 있어서 어려운 일이기도 하고요. 흐흐.
의료적 조치를 취하면서 젠더퀴어로 정체화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본인이 어떤 형태의 몸을 원하는지랑 본인 머리 속에서 뭐라고 스스로에게 얘기하는지는 밀접하긴 하지만 동일하진 않은 것 같아요. 처음에 젠더퀴어라는 단어를 접했을 때에는 난 절대 저 단어는 이해 못하겠지 했는데, 제가 어느새 남자도 여자도 아닌 기타 젠더를 살고 있네요.
말씀하신 것처럼 트랜스젠더와 젠더퀴어를 구분할 때 의료적 조치를 기준으로 삼아도 괜찮을까란 고민이 들어요. 적절한 구분은 아닌데, 트랜스젠더의 의료적 조치가 워낙 큰 비중으로 회자되거나 재현되다보니 의료적 조치 여부가 기준으로 언술되는 것일까 싶기도 해요.
다른 한편으로 만약 진오 님이 한국에 계속 계셨다면 트랜스젠더와 젠더퀴어란 용어 사이에서 어떻게 체득하셨을지 궁금하기도 하달까요? ^^;
전 근래들어 스스로를 트랜스젠더면서 젠더퀴어로 설명해야겠다는 고민을 조금씩 하고 있어요. 그리고 가끔은 어디서 이 두 용어가 헷갈리는지 저도 모르겠다 싶고요. 제 몸 한 곳엔 미국 학제에서 사용하는 트랜스젠더 정의가 있고, 다른 한 곳엔 한국 커뮤니티나 미디어에서 통용되는 트랜스젠더 정의가 있고, 젠더퀴어 역시 마찬가지고요. 으으으. ㅠ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