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현대사를 기준으로 봤을 때, 흔히 말하는 진보/중도 정당의 집권이나 민주화 세력의 집권이 ‘보편적 인권’ 개념의 확산엔 도움이 될지 몰라도 최소한 LGBT/퀴어 인권이나 운동에 도움이 될 것이란 기대는 적절하지 않다. 더 조밀하게 살펴야 하지만 지금까지의 기록으로만 따지만 진도/중도 정당 혹은 민주화 세력이 LGBT/퀴어 이슈를 의제로 삼지도 않았고 반드시 긍정적이지만도 않았다. 멀리 갈 필요도 없다. 이를 테면 내가 가장 좋아한 정치인 고 김대중 전 대통령 때 엑스존 사건이 있었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때 차별금지법에서 성적지향 항목과 성별의 정의 항목이 빠지는 일이 있었다. 이것이 그저 단적인, 너무도 단편적 부분일 뿐이라고 평가할 수도 있지만 진지하게 다시 사유할 필요가 있다. 미국의 민주당이 친 성적소수자 입장이고 공화당은 그렇지 않다는 식의 정치 구도가 한국엔 전혀 안 맞다. 그러니까 논의틀을 한국의 맥락에서 다시 바꿔야 하지 않을까, 이런 고민을 저녁에 좀 했다.
나의 논문은 수렁으로…
(했던 이야기 반복하는 느낌일 수도 있겠지만, 묘하게 다른 이야기입니다. 믿거나 말거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