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유, 수식어와 관련하여…

무뇌아Anencephaly라는 용어 자체는 그저 인간이 지닐 수 있는 몸의 형태를 지칭하는 표현일 수 있다. 하지만 이 용어가 사용되는 방식은 명백하게 장애 혐오 발화다. 이 용어를 사용할 때 그 의도는 ‘생각 없음’, ‘머리에 든 게 없음’ 등이겠지만, 정작 ‘무뇌아’ 증상으로 태어난 인간은 전혀 사유하지 않는다. 아니 이 증상으로 태어난 사람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를 부정하거나 망각한 상태에서 그저 하나의 수식, 수사로만 사용하고 있다고 인식하는 듯하다. 에이즈가 쓰이는 용법처럼, 암이 쓰이는 용법처럼. 그런데 이 용어가 페미니즘과 결합할 때, 장애 이슈와 페미니즘 이슈를 동시에 고민하는 사람, 장애인이면서 페미니스트인 사람 등은 순간 당황하거나 갈등하고 더 많이 분노하지 않을 수 없다.
내가 아는 한 선생님은 은유를 사용하지 않으려고 애쓴다고 하셨다. 은유는 소통을 원활하게 하거나 의미를 단박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힘이 있다. 뭔가 머리 속에서 형광등이 켜지는 듯 깨닫는 그런 순간을 제공한다. 하지만 은유는 언제나 은유로 쓰이는 그 존재에게, 혹은 은유로 쓰이는 그것과 함께 살아가는 사람에게 심각한 폭력이다. 은유는 그저 관습적 용법이 아니라 존재나 대상을 이해하는 사회적(혹은 그 은유를 사용하는 개인의) 관념, 인식론을 실천하는 방법이다. 많은 사람, 특히 많은 페미니스트와 퀴어연구자가 은유의 위험을 지적했던 것은 이런 이유에서였다. 그리고 이런 은유를 피하며, 비판하며 글을 쓰다보니 글을 쓰는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고 그럼에도 더 좋은 글을 쓴다.

4 thoughts on “은유, 수식어와 관련하여…

  1. 인상적이네요. 은유를 사용하지 않으려한다는 그 말이요. 학자들은 그럴 수 있겠어요.

    1. 한편으로는 학자라서 그럴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론 학자면서 자신의 문체를 갖고 있는 작가가 은유를 사용하지 않고 글을 쓰는 건 정말 어려운 일이기도 해요. 문체를 고민하지 않는 학자가 너무 많아서 많은 논문이 찍어낸 느낌이긴 하지만 문체를 고민하고 있으면 은유를 비켜가기가 어려울 때가 많더라고요.
      물론 문학이나 예술에 비할바는 아니지만요…;;;;;;;;;

  2. 네, 그래서 뭔가 그 불가능을 향한 자세에 감탄하고 있어요.
    은유없이 쓰는건 사실 어려운 정도가 아니라 불가능아닐까요.
    근데 그것을 향해간다는 태도랄까, 자세라는 것에 뭔가 프로페셔널적인 아름다움이 있네요.

    1. 응, 맞아요. 거의 불가능한 작업 같아요. 은유나 그런 것 없이, 하지만 또한 자신만의 문체로 글을 쓰는 작업을 보면 정말 멋지고 존경이 절로 들더라고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