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적으로 이원젠더 개념, 이성애-동성애라는 이원성적지향 개념을 문제 삼으려고 등장한 범주/개념이 젠더퀴어입니다. 더 정확하게는 이런 개념으로는 자신의 삶을 설명할 수 없는 사람이 다른 방식으로 자신을 설명하기 위한 모색 중 하나지만요. 하지만 이렇게 등장한 범주 개념은 때때로 기존의 질서를 끊임없이 문제 삼기보다는 ‘난 너와 달라’로 환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죠. 더 심할 경우 ‘우리는 기존 질서를 문제삼는 존재고 너희는 그렇지 않아’로 쉽게 치환하는 상황도 발생합니다. 드물지 않게 ‘우린 너희와 달라’라는 태도를 접하고요.
정확하게 이런 방식의 태도, 기존의 범주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범주를 생성하는 것이 능사인가, 이런 태도가 기존의 질서를 그대로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강화하는 태도는 아닌가라는 비판 역시 존재합니다. 내가 내 몸으로 세상을 살아가며 겪는 느낌을 가장 잘 설명하는 범주를 선택하고 그 범주로 자신을 설명하는 태도 자체는 무척 중요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끊임없이 다른 범주를 생산하는 작업, 즉 ‘나는 비트랜스여성도 비트랜스남성도 아닌 젠더퀴어야’라는 언설은 정확하게 비트랜스여성과 비트랜스남성 범주를 안정적 범주로, 기준 범주로 재설정하는 위험을 내포합니다. 비트랜스여성, 비트랜스남성은 어쨌거나 유의미한 범주로 남겨지니까요. 물론 이 위험은 언제나 기존 범주를 흔들고 불안하게 만들 가능성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양가적이지요. 트랜스젠더가 이 양가성으로 젠더를 흔들었고, 지금은 젠더퀴어란 범주명명으로 그러는 듯도 합니다. 좀 더 조심스러운 평가가 필요하지만요.
그런데 이런 비판은 비규범적 존재라면 언제나 들었던 언설입니다. 부치-펨 관계를 두고 이성애 모방 아니냐, 이성애 재생산 아니냐고 비판했던 것처럼요. 그래서 이런 비판은 기존의 지배 규범적 범주(비트랜스젠더 같은…)를 방어하려는 기획에서 등장한 것은 아닌가라는 의심도 야기하는 측면도 분명 존재합니다. 새로운 범주가 기존 질서를 흔드는 측면과 안정시키는 측면을 말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동시에 새로운 범주를 비판하는 작업이 기존의 질서를 보호하려는 기획은 아닌가라는 의심 역시 늘 함께 등장해야 하고요. 그래서 어떻게 비판하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새로운 범주가 등장하는 방식이 ‘우린 너희와는 달라’가 아니라 기존의 질서를 강하게 흔들고 불안하게 만드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믿는 이유입니다. 개개인이 언제나 급진적이어야 한다고 믿지는 않습니다. 이것은 개인에게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무척 위험한/부당한 행동이고요. 하지만 범주 논쟁은 언제나 기존 질서를 흔드는 방식이어야 한다고 믿습니다. 이것이 새로운 범주가 등장하는 틈새기도 하고요.
머릿속에 뒤죽박죽 이었던게 정리되는 느낌이네요. 초심자를 위해 항상 친절하게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나저나 루인님의 영향으로 (?) 요새 비건으로 살고 있어요. 원래도 고기를 자주 먹는 편은 아니었지만..
콩으로 만든 비건 파스타가 오히려 소화가 잘 되고 더 몸이 가벼운 느낌인데 아무래도 가격이 훨씬 비싸서 (어디든 마찬가지 겠지만 특히) 한국에서 비건으로 살기 힘들구나 싶습니다ㅠㅠ
도움이 되셨다니 기뻐요!
서둘러 쓰느라 두서 없이 썼다는 느낌이 강해서 걱정이거든요.. ㅠㅠㅠ
나중에 기억이 나면 다시 정리하던지 할게요…
우워어, 비건으로 살고 계신다니 정말… 신경 쓸 거 많고 피곤하실 텐데요… 외식할 곳은 별로 없고 가격은 엄청 비싸니까요. ㅠㅠㅠ 한국에서 비건으로 사는 건 정말 번거로운 일이구나 싶어요. 잘 알고 계시듯이요.
부디 건강 잘 챙기시고요! 저는 정크비건이라 대충 대충 먹다가 영양실조 걸린 적도 있으니까요(검사를 받은 건 아니라 추측이지만요). 흐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