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BT/퀴어 논의는 이른바 LGBT/퀴어에 해당하는 사람만 할 수 있는가? 이성애자-비트랜스는 LGBT/퀴어 비평과 연구에 참여할 수 없는가? 이것은 오랜 질문이고 이 질문에 ‘그렇다’고 답할 수 있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누구나 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이른바 LGBT/퀴어 바닥이란 곳(여기가 어딘지는 애매모호하지만)에 있다보면 어쩐지 퀴어 비평은 퀴어일 때에야 비로소 자격을 얻는다는 인상을 받는다. 어떤 퀴어 운동이 문제라고 비판적 목소리를 내는 사람이 퀴어가 아니라면 그 의견은 다소 무시당하고, 퀴어가 이성애규범적이고 동성애규범적 발언을 할 땐 그럴 수 있다고 넘어가는 어떤 분위기가 분명하게 존재한다. 그럼 퀴어 비평은 퀴어인 사람이 하는 비평일까? 퀴어 비평은 퀴어라는 규정된 어떤 정체성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부수적 이득인가? 퀴어 비평과 퀴어 연구는 퀴어 정체성을 보장해주는 논의인가? 이런 의심을 하지 않을 수 없다.
최근 퀴어 연구를 젠더 및 섹슈얼리티와는 분리할 필요가 있다는 몇 편의 글을 읽고 있는데(이와 관련해선 10월 즈음에 나올 글에서 다룰 예정이다) 나는 이 논의에 상당히 동의한다. LGBT/퀴어를 다루거나, 그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만이 퀴어 이론이나 연구가 아니라 전혀 다른 분석 프레임과 큐레이팅이 필요하다. 퀴어가 정체성 범주가 아닐 때 퀴어 연구 역시 어떤 형태로건 정체성 범주에 부합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어떤 이론적 토대가 필요하며, 이것이 퀴어 인식론이지 않을까? 뭐, 이런 식의, 이미 누군가가 다 한 고민을 뒤늦게 하고 있다.
이 다른 어떤 인식론을 갖는 게 쉬운 일은 아니지만 아무려나 그것이 퀴어 이론에, 트랜스젠더퀴어 이론과 정치학에 필요한 작업이 아닐까 싶다. 물론 이번 글에선 이것을 쉽게 쉽게 풀어가겠지만 어떻게 하면 전혀 다른 인식론을, 내가 지금까지 당연시했던 것을 깨달으며 전혀 다른 세계관을 구축할 수 있을까? 쪼렙인 내겐 어려운 일이겠지만, 또 계속 공부하다보면 언젠가 뭔가를 찾겠지.
‘퀴어’가 누구까지 포함시킬 수 있는 유동적 언어인지, 그 분류작업 역시 주류 사회와 끊임없이 접촉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보면, 퀴어라는 정체성을 성/젠더의 국면에 제한시키는 것 역시 기휘해야할 것 같아요. 예를 들어 디아스포라나 수감 경험이 있는 사람들의 ‘인간의 조건’이 어떻게 파괴되고 재생성되었는지를 보면 괴상하고 퀴어한 구석이 분명 있거든요.
맞아요. 퀴어범죄학 역시 그 작업을 하고 있고 퀴어 정치학을 어떤 정체성이나 특정 범주로 제한하지 않는 작업이 매우 중요한데, 이것 자체로 또 어려운 문제가 될 듯해요. 퀴어를 동성애로 치환하지 않도록 신경써야 하듯이요.
안녕하세요, 저는 나임윤경 쌤 대학원 수업 젠더/문화입문을 듣고 있는 수민이에요.사회학과 박사과정으로 비혼을 연구하고 있죠. 특강 너무 인상적으로 들었고, 그래서 종종 이곳에도 들어오고 있어요. 그 전주에 난생처음 버틀러를 읽고 대흥분이었는데, 특강 들으며 이런 연구를 하시는군! 이러면서 대대흥분. 텀페이퍼 쓰면서 퀴어연구를 하지 않는 나는 버틀러 이론을 끌어다 쓸 수 없는걸까…라는 고민을 하며 들어왔다가 이 글을 보니 뭔가 혼자 괜히 음…결론 없는 음…을 하다가 인사를 남겨요.
소개하실 때 비혼 연구하신다고 하셨던 그 분이네요! 반가워요. 🙂
기말로 바쁘실 텐데 잘 쓰시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