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에 쓰려고 작성했으나 대거 날리고 다시 써야 하는 상황인데, 그 중 날려야 하는 구절 일부… 퀴어란 용어를 설명하는 부분이었다.
===
퀴어란 용어가 사용된 맥락을 설명하는 방식은 몇 가지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LGBT를 적대하는 개인이나 LGBT를 향해 “야이, 퀴어[기괴한, 이상한, 괴상한]야”라고 말했을 때 “그래, 나 퀴어다”라고 반응하며 그 의미를 재전유하면서 퀴어란 용어가 LGBT 커뮤니티에서 쓰이기 시작했다는 설명이다. 이것은 실제 많은 퀴어 이론이나 퀴어 연구자가 퀴어란 용어가 쓰이기 시작한 역사적 맥락 중 하나로 채용하는 설명 방식이다. 그런데 “그래, 나 퀴어다”라는 방식의 의미 재전유는 퀴어를 하나의 정체성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설명하는 범주 용어로 사용할 수 있음을 강하게 암시하고, 그렇게 사용할 수 있는 신화적 근거로 작동한다. 그렇기에 이런 식의 설명에서 퀴어를 정체성으로 사용하는 방식은 퀴어 정치학을 ‘잘못’ 사용하고 있거나 ‘무지’의 소산이 아니라 매우 ‘잘’ 사용하는 것이다.
아울러 퀴어문화축제를 반퀴어 집단이 동성애축제로 부르는 것을 두고, LGBT/퀴어나 그 지지자 집단에선 ‘이름이나 제대로 불러라’라는 반응이 많지만, 퀴어를 동성애로 치환했던 역사는 퀴어이론 역사부터 현재의 퀴어문화축제까지 반복되고 있는 현실이다. 1991년 퀴어이론이란 용어가 처음 학제에서 쓰이기 시작한 이후, 퀴어 혹은 퀴어이론은 대유행처럼 널리 쓰였다. 그런데 그때 퀴어는 거의 항상 동성애를 지칭했고, 학술대회 제목이 퀴어이론일 때 부제는 게이와 레즈비언만 나열하곤 했다(Goldman 1996). 이런 경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어 퀴어 이론 논문을 묶은 독본[Reader]의 경우, 해당 독본에 실린 논문의 대부분은 게이나 레즈비언 관련이며 트랜스젠더퀴어 관련 글은 한 두 편, 바이섹슈얼 관련 글은 전혀 없는 일이 허다하다. 퀴어문화축제를 동성애축제로 부르는 것은 명백한 잘못이지만 퀴어를 동성애로 인식하는 방식 자체는 반LGBT/퀴어 집단의 무지가 아니라 LGBT/퀴어 커뮤니티나 연구 집단이라고 불리는 곳에서도 일어나는 일이다.
퀴어란 단어가 정체성으로 사용되는 것에 대한 이론적 반박에 관하여, Calvin Thomas가 쓴 No Kingdom of the Queer 라는 챕터를 추천하고 갑니다.
추천 고마워요. 아직 출판은 안 되었고 초고만 나오지만 그래서 더 재밌겠네요. 흐
퀴어를 동성애로 인식하는 거 너무 싫음… ㅠㅠ 무어가 싫다는 표현을 자주 하는 표현은 아닌데, 세상에 대한 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포럼의 크기가 줄어드는 불가항력의 느낌.
그쵸? 다른 목소리가 등장할 때 이것을 누가 어떻게 전유하며 다시 배타적 개념으로 만들어가는 거를 정말 꼼꼼하게 살펴야 하고 그렇게 못 하도록 또 다른 저항이 필요하다는 고민을 많이 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