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말하기/글쓰기는 협상하는 언어다: 트랜스와 나혜석

몇 년 전만 해도 트랜스는 전혀 가시적인 존재가 아니었고 그래서 트랜스란 정체성을 커밍아웃하는 것은커녕, 자신의 정체성을 명명할 언어조차 알기 힘들었다. (그래서 하리수는 언제나 복잡한 위치에 존재한다.) 지금도 커밍아웃은 곧 ‘동성애’를 의미하기에 트랜스 정체성이 그렇게 가시적인 상황은 아니다. 그리고, 여전히 트랜스는 의료담론/의료제도에서 정신병 질환으로 분류하는 존재다. 그러니까 루인은 정신병자이기도 하고 루인이 쓰는 모든 글은 “미친 인간의 헛소리”기도 하다.

미국에선 트랜스 정체성을 정신병 범주로 둘 것이냐 삭제할 것이냐로 트랜스 커뮤니티 내부에서 많은 논쟁이 있다고 한다(한국에선 없는 것이 아니라 가시화가 안 되어서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을 뿐이다). DSM에 정신병으로 분류되어 있고 그래서 트랜스란 커밍아웃은 의료담론에선 “나 정신병자요”라고 선언하는 것과 동의어인 셈이다. 물론 트랜스들이 자신을 정신병자로 여기냐면 그렇진 않다. 정체성의 갈등 시기와 자기에게 하는 커밍아웃의 어려움, ‘자기혐오’가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자신을 “미쳤다”고 여기진 않는다. 그렇다면 정신병 목록에서 삭제하는 방향으로 투쟁을 할 법한데 그렇게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계급 문제 때문이다. 트랜스가 정신병 목록에 올라 있으면 수술을 할 때 의료보험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그렇지 않으면 혜택을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정신병 목록에서도 빼고 의료보험 혜택도 받을 수 있게 하면 안 되냐고 말하고 싶지만 이렇게는 안 되나 보다. 미국에 사는 트랜스들이 이런 사실을 몰라서 이런 투쟁을 안 하는 건 아닐 테니까.) 수술비가 아무리 비싸도 상관없을 정도의 돈이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 의료보험 혜택은 계급/계층적인 문제와 연동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에 자신이 “미쳤다”고 여기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수술을 원하는 트랜스라면 자신을 “정신병 환자”로 인정할 수밖에 없다.

이건 협상 전략이다. 루인 역시 마찬가지다. 지금은 수술에 대한 욕망이 강하지 않지만 어느 날 이런 욕망이 강해서 수술을 원한다면, 이성애-젠더 구조의 의료담론과 의료체계를 신랄하게 비판하면서도 “나는 정신병자요”라고 인정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건 자신을 “정신병자”로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사회제도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적 협상의 언어이다. (직장 상사에게 싫어도 웃는 얼굴을 하는 사람, 직업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거짓말”을 하는 사람 모두 이런 협상하는 말하기/글쓰기를 하고 있는 셈이다.)

며칠 전, 수업 시간에 나혜석의 “이혼고백장”을 텍스트로 토론을 하며, 이 글에서 나타나는 나혜석의 “보수적인 측면”으로 인한 “모순”에 대한 얘기가 있었다. 루인은 모순이 아니라 협상이라는 얘기 정도를 했지만 정말 하고 싶은 말은 따로 있었다.

나혜석은 이혼을 하고 나서(하기 직전인가? 정확하게는 잘 모르겠다) “이혼고백장”이란 글을 썼다. 어떤 경로로 결혼을 했고 어떤 연유로 이혼을 했는가를 적은 글이다. 당시엔 “사생활의 폭로” 혹은 기존 사회의 모순을 폭로했다는 이유로 큰 이슈가 되었나 보다. 뭐, 지금도 이런 글쓰기는 쉽지 않다. 문제는 이 글에서 나타나는 유교적 ‘여성’관이다. 이전의 글에서는 찾기 힘들었던 유교적 “전통”에 따른 ‘여성’관을 “내면화”한 모습이 이 글에는 나타난다. 신혼여행으로 죽은 남자친구를 성묘하러 갔던 나혜석이 이혼하지 않기 위해 남편에게 매달리는 모습도 나온다. 이건 모순일까? “전통적 유교관의 내면화”일까?

루인은 미국에서 트랜스들이 벌이고 있는 정신병 목록의 논쟁을 떠올렸다. 당시의 나혜석은 자신의 목소리를 내기 위해 이런 언어를 차용한 것일 뿐이라고 느낀다. 이혼할지도 모른다는 소문 이후 나혜석의 위치가 이전과는 달라졌고 더 이상 이전처럼 발화할 수 없었기에 이전과 같은 언어를 사용해선 글을 출간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이때 자신의 목소리를 내면서 출간도 할 수 있는 방식은 무엇일까. 나혜석은 너무도 잘 알고 있었다고 느낀다. 그래서 유교에서 바라는 “전통적 여성관”을 차용한 것은 아닐 런지. 트랜스들이 수술을 받기 위해선 자신을 “정신병자”로 인정할 수밖에 없듯이.

그래서 슬펐다. 이런 슬픈 몸으로 정희진 선생님 강좌를 들으러 갔었고 그래서 더 열광하며 즐거웠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