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아침에 학교 가기 전, 사전투표를 했다. 어영부영하면 못 할 수도 있고, 빨리 하는 것이 속편하겠다 싶어 고민하다가 그냥 아침 일찍 투표부터 했다. 나 주변의 많은 사람이 그렇겠지만 비례정당에서 세 곳을 두고 고민했다. 어떤 사람은 네 곳일 수도 있겠다 싶지만 상당히 인기 있는 정당보다는 나라도 한 표 보태야지 싶은 정당을 두고 고민이 좀 많았다. 어휴… 비례투표 용지는 왜 이렇게 긴가…

이번 선거를 앞두고 데이터센트럴을 들으며 좀 충격적이었다.

ㄱ. 민주당 국회의원은 상상 이상으로 성실하게 일한다. 상임위나 본회의 출석율 95%는 중간 정도의 성실성었고 대표 발의한 법안도 100개가 넘는 경우도 빈번했다. 나의 직장에서 동료들과 시끄럽다고 욕하는 한 국회의원의 경우, 입법노동자로서의 역할은 상당히 성실해서(출석율이 거의 99%, 100%였다) 좀 충격받았다. 반면 국민의힘은 이런 사람이?? 싶은 후보가 많아 편견이나 이미지를 재생산했다.

ㄴ. 진보 계열 정당의 지역구 후보는 좀 슬펐다. 호남 지역에 출마한 경우가 아니라면, 많은 경우 중앙당 공약만 있고 지역구 공약이 없었다. 진보 정당의 지역구 출마는 비례를 홍보하기 위해서라지만, 사실 지역구 출마 자체가 상당한 헌신과 비용이 드는 일인데 15% 이상을 득표하지 않는 이상 그 모든 비용은 개인의 빚으로 남기 마련이다. 언제까지 개인의 헌신으로 유지되어야 할까? 이것은 달리 말해 진보정당의 지역구 의원이 왜 이렇게 드문가, 그리고 새로운 지역구 의원이 등장하기가 왜 이렇게 힘든가를 말해주는 장면이기도 했다. 지역구 공약이 없는 후보를 뽑아야 할 이유를 설명해주지 못하는 상황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또 슬프고 아쉬웠다.

ㄷ. 생각보다 괜찮은 입법 노동을 한 현역 후보도 다수였다. 나는 나름 뉴스를 잘 챙겨 읽는 편인데 그럼에도 지난 4년 동안 들어본 적 없는 법안이 다수였다. 그러니까 공중전, 큰 그림 그리는 작업, 혹은 잘못된 행태를 보도하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언론에서 괜찮고 가치 있는 입법 활동도 소개해주면 좋겠다는 바람이 생겼다.

ㄹ. 후보들의 공약을 들으며, 구청장이나 시장 후보의 공약과 국회의원의 공약을 구분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아 아쉬웠다. 동네 공원를 만들겠다는 정책이 국회의원이 낼 공약은 아니지 않은가. 지역구 국회의원으로 나왔다면 그에 걸맞는 고민이 부족한 후보도 상당해서 아쉬웠는데 이것은 정치인 역시 직업인이자 노동자라는 자각이 필요한 것이지 않나 싶었다. 국힘에서 종종 ‘이렇게 훌륭한 사람이 너희들을 위해 선심쓴다’는 태도로 출마한 후보가 있는데, 이건 너무도 명백하게 정치 혐오이자 무시다. 정치인도 노동자고, 국회의원이 된다는 것은 구직활동이다. 다른 말로 국회의원은 성실해야 하고, 자신의 업에 대해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렇기에 국회의원으로 출마한다면 국회의원의 역할에 맞는 공약을 냈으면 했다. 내가 사는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 역시, 지역구 후보로서의 공약도 있지만, 공원 조성 같은 공약도 있어서 당혹스러웠고…

ㅁ. 웃긴 거: 국힘은 재산의 상당수가 후보 본인의 것이었는데, 민주당과 진보정당의 경우 재산의 상당수는 후보가 아니라 파트너의 것이었다. ㅋㅋㅋㅋㅋ 파트너가 관리해야 허튼 정치 활동을 안 하지… 비트코인 등 코인을 100원 1000원 단위로 갖고 있는 후보들… 공부하려고 구매했겠지만 ㅋㅋㅋ

ㅂ. 인권 운동을 하다보니 대외적인 이미지 등으로 좋게 평가하는 정치인이 종종 있는데, 입법 노동자로서의 성실성이라는 측면에서 당혹스러운 경우가 있었다. 혹은 이미지가 좋았음에도 지난 번에 출마를 못해서 아쉬웠던 경우도 있는데, 그 지역에 당선된 다른 국회의원의 입법 활동이 상당히 좋아서 반성한 경우도 있었다. 정당의 정치적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 한편, 지금 입법 노동자로서의 활동 역시 좀 더 정교하고 중요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겠다는 반성을 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