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정도 전, 한 수업에서 선생님은 “사랑하는 사람의 고통을 지켜봐야 하는 고통”이라는 말을 했었다. 내게 저 문장은 화두 같은 역할을 하는데, 그렇다고 진중하게 깊이 파고드는 것은 아니지만 아직도 잊지 못하는 그런 문장이다.
이 문장을 종종 떠올리는 이유는 단절된 존재, 파탄내는 행동을 하는 이에게 필요한 것은 관계의 회복, 돌봄 공동체의 회복이라는 말을 적극 지지하면서도 그것이 해답도, 희망도, 가능성도 아니라는 점을 (그 말을 하는 사람조차) 알고 있기 때문이다. 관계와 돌봄이 필요없다는 뜻이 아니라 그것의 중요함을 강조하지만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어떻게 질문할 수 있을지 난감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나를 온전히 지지하는 친구와 파트너가 있을 때에도 나는 우울증과 부정적 감정으로 모든 것을 망치는 상태로 지냄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우울증 심연 일기]란 그래픽노블은 이 질문에서 출발하는데(다른 책이면 어떡하지…) 파트너와의 행복한 관계에도 심각한 우울증을 경험할 수 있을까를 질문하고, 그래서 자신의 우울이 감정적 사치는 아닐지 두려워한다. 이 질문의 다른 말은 우울증이나 부정적 감정 충동에 대한 처방이나 대안, 혹은 새로운 방향이 관계의 회복과 돌봄이라고 한다면 완전히 실패한 논의가 될 수밖에 없다는 항변이다. 그렇기에 관계의 회복은 단절된 존재가 관계망의 소중함을 어쩌고 저쩌고가 아니라 관계를 회복한다는 것은 부정적 감정과 우울을 친밀하고 온전히 지지하는 관계에서도 생성되고 강하게 작동할 수 있음을 이해하는 것인데, 이 지점에서 앞서 인용한 문장이 떠오르는 것이다. 사실 관계와 돌봄을 논하는 이들이 이 둘을 낭만적으로, 만고의 해답으로 가정하지는 않지만 그럼에도 관계와 돌봄이 부정적 감정이 생성되는 장으로 이해한다면 어떤 다른 질문이 필요할까…
뜬금없게도 이런 잡담은, 관계와 돌봄에 관한 글을 읽다가 떠올린 것이 아니라 실패와 관련한 글을 읽다가 떠올렸는데, 나의 고민은 실패를 저항적 가능성으로 재독해하지 않으면서 성과주의의 언어로도 제한하지 않는 방법에 있기 때문이다. 언제나 실패를 반복해서 겪을 수밖에 없다면(마치 N회차 회귀한 것마냥) 부정성과 실패를 관계망에 대안이 아닌 방식으로 어떻게 이야기할 수 있을까. 그러니까 내게 가장 익숙한 용어로, 아카이브적 미래를 어떻게 기록물로 전환할 수 있을까?
+글이 진짜 두서없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