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라걸스] 2007.03.11. 19:15, 아트레온 9관 11층 B-10
영화관에서 이 영화의 홍보영상을 봤던가? 기억이 안 난다. 하지만 이 영화 개봉 소식을 접했을 땐 읽고 싶다는 바람을 품었다. 왜일까?
영화관에서 이 영화를 접하기 전까지만 해도 이 영화는 신나고 유쾌한 영화일 거라고 여겼다. 일테면 비슷한 제목의 [스윙 걸즈]처럼. 영화에 대한 어떤 기대도 없었고, 이상일 감독 작품을 예전에 읽은 적이 없기에, 그저 가벼운 몸으로 즐겁게 읽고 나오면 그만이란 기대였다. 이런 기대는 다른 의미에서 채워졌는데, 오랜 만에 엉엉 울었기 때문이다. 이 영화가 울 수 있는 영화라는 예상은 못 했지만, 언제든 울 준비는 되어 있으니까.
왜인지 모르겠지만, 사나에가 이사를 가서 단짝인 기미코와 헤어지는 장면에서 울었는데, 헤어짐이 슬프서라기 보다는 마지막 인사, “또 봐”라는 말이 우리 다시는 만날 수 없을 거라는 어떤 예감을 품고 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서로 그런 예감을 알고 있기에 그토록 절실하게 “또 봐”라고 외쳤는지도 모른다. 물론 정말 이 두 사람이 못 만났는지, 언젠가 다시 만났는지는 알 수 없지만. “또 봐”라는 말을 통해, 우리 이제 정말 영원히 못 만나는 구나, 라는 의미를 전하는 슬픔.
영화 중후반 즈음이었나, 하와이안 센터의 식물들이 추위에 죽게 되었을 때, 식물들을 담당하는 이들은 마을 난로를 빌리려고 하지만 마을 사람들은(물론 하와이안 센터의 식물 담당자도 마을 사람이다) 난로를 빌려주길 거부한다. 그 장면-난로를 부탁하는 모습과 거절하는 마을 사람들의 태도를 기미코의 엄마도 목격하지만 그냥 지나간다. 그리고 영화의 압권인 기미코가 춤추는 장면을 본 후, 기미코의 엄마는 난로를 모으는데, 이에 마을 주민 일부가 몰려와서 뭐하는 거냐고 말한다. 이에, 꼭 광부여야 하느냐고, 다른 사람들에게 웃음을 주는 일을 하면 어떻느냐고, 아이들은 다른 방식으로 살면 안 되느냐고 답하는데, 이 장면에서 주체할 수 없이 눈물이 났다.
앞서 적었듯, 떠나간 친구 사나에에게서 소포가 오고 엄마는 소포를 전해주기 위해 기미코를 찾아가는데, 그때 기미코는 막 춤을 추기 시작했다. 그리고 엄마가 들어오자 기미코는 잠시 멈추다간 다시 춤을 추는데 그 장면이 이 영화의 정점이라고 느꼈다. (어떤 의미에선 이 이후의 장면은 여분이기도 했다.) 고집이 느껴지는 표정 속에서 엄마가 인정하지 않는 춤을, 춤을 통해 설득하고자 했다. 이 순간, 그리고 기미코의 춤을 본 후 엄마가 난로를 모으는 순간, 더 이상 엄마의 삶은 부정 해야할 무언가가 아니게 된다. “엄마처럼 살지 않겠다”고 말하며 집을 나갔지만 기미코는 엄마’처럼’ 살고 있었다. 고집과 강단이 느껴지는 표정 속에서 기미코가 문제제기하는 건 엄마의 삶이 아니라 엄마처럼 살게끔 하는 관습들이고, 기존의 관습(탄광촌의 “여성”의 삶, “남성”의 삶)이 상상할 수 없게 했던 삶을 통해 엄마처럼 살면서도 엄마처럼 살지 않을 수 있음을 설득한다. 하와이안 센터에 난로를 모아주길 거부하는 사람들에게 엄마가 아이들까지 우리처럼 살게 할 필요는 없지 않느냐고 말할 때, 이는 단 하나만의 삶의 방식이 있는 건 아니지 않느냐는 의미이기도 하다.
물론 이런 의미로 운 것만은 아니다. 그냥 그 장면에서 하염없이 울었고, 슬쩍 민망할 뻔했다. 흐흐흐.
방명록이 없어서 일단 여기 달아요.
블로그 옮기려구요. candyd.com으로 주소 수정해주면 매우 고마울 것 같아요^-^
그렇게 할게요 ^^
근데… 둘 다 링크하면 안 되겠죠? 흐흐흐
-ㅁ-; 어제 오늘 이글루스의 방문자 통계를 보여드릴까요. 요즘 완전 H모씨 검색어 1위로 후덜덜거리는 중이라지요. (사실 뭐 그닥 상관은 없어요-ㅁ-; 다만 차이라면 이글루스는 지극히 개인적인 글들로 가득채워질것이라는거라…) 둘 다 링크하셔도 되요-ㅁ-;;;;
ㅎㅁㅈ씨의 검색력은 상당히 강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