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튜 펄 [포의 그림자] 1, 2권, 이은선 옮김, 서울: 황금가지, 2007 (Mathew Pearl, The Poe Shadow, 2006)
01
학부시절, 프로이트翁과 관련해서 배울 때, 선생님은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을 “이러이러한 단계를 거치면 이러이러한 성격이 형성된다”라는 도식이 아니라 일종의 “시나리오”라고 설명했다. 지금 경험하고 있는 자신의 어떤 감정들을 설명하기 위해 정신분석가에게 과거의 경험을 얘기하면, 정신분석가는 과거의 경험을 적절하게 짜 맞춰서 서사를 만드는데, 이 서사가 나를 설득하고 수긍해서 해소되면 상담은 성공한 셈이고 수긍하지 못 하면 실패한 셈이다. 이 말은, 지금 루인의 성격은 부모님과의 관계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지만, 학교생활에서 같은 반 아이들과의 관계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고, 유전자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으며, 중요한 건 정확한 원인이 무엇인지가 아니라 어쨌거나 그런 설명에 내가 수긍하고 그래서 뭔가 해소되는 느낌을 가진다면 그걸로 충분하단 의미이다. 이런 식의 서사 만들기가 근대적인 이야기구조의 전형이기에, 원인을 알 수 없어서 서사를 만들 수 없는 존재는 [검은 집]처럼 “싸이코패스”가 된다.
[포의 그림자]를 읽다가, 추리소설이야 말로 이런 서사 만들기의 전형이구나, 했다. 어차피 “사실”은 아무도 알 수 없기에, 아귀가 딱딱 들어맞는 설명을 만들어서 독자들을 얼마나 설득할 수 있느냐가 관건인 셈이다. 범인을 지목하고 그가 범인일 수밖에 없는 단서들을 통해 가장 그럴 듯한 추론의 과정을 보여주는 것, 이것이 추리소설의 핵심일 테고, 이런 점에서 추리과정은 서사를 만드는 과정인 셈이자 정신분석과정인 셈이다.
02
이 책을 읽게 된 이유라면, 포(Edgar Allan Poe)를 좋아하기 때문이라고 밖에 달리 더 설명할 거리는 없다. 큭큭. 중학생 시절부터인가 포를 무척이나 좋아하고 있으니, 교보홈페이지에서 이 책 제목을 보는 순간 읽지 않을 수가 없었달까. [단테클럽]이란 책의 작가라는데 처음 듣는 책이다. -_-;;
[포의 그림자]를 읽으면서 소설로 쓴 작가평전일 수도 있고 문학해설서일 수도 있겠다 싶을 정도 저자의 성실함이 돋보이고 해석의 기발함에 놀라지만, 추리소설로서도 충분히 재밌다. 포를 좋아하는 입장에서도 좋지만, 굳이 포에 관심이 없다고 해도 이야기 자체가 재밌다.
포를 좋아하는 입장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 중 하나는 “모르그 가의 살인”과 관련한 해석. “모르그 가의 살인”은 포의 유명한 탐정, 오귀스트 뒤팽이 처음으로 등장하는 소설인데, 끔찍한 살인범이 우랑우탄임을 밝히는 내용이다. 그리고 이 소설의 주인공, 뒤팽의 모델이 누구냐를 두고 약간의 말이 있었던 걸로 안다. 근데 매튜 펄은 “모르그 가의 살인”을 처음으로 게재한 잡지에 쓴 포의 다른 서평에 착안해서 꽤나 흥미로운 해석을 한다. 조르주 상드의 본명이 아망딘 오로르 루시 ‘뒤팽’이며, 상드의 죽은 형제의 이름은 오귀스트 뒤팽이고, “모르그 가의 살인”에 나오는 골목 이름 “라마르틴”은 시인이자 정치가 이름 라마르틴, 시신을 검증하려고 등장한 의사의 이름, “폴 뒤마”는 알렉상드르 뒤마([삼총사], [몽테크리스토 백작]으로 유명한), 뒤팽에게 도움을 청하는 경감, “이시도르 뮈제”는 시인 알프레드 뮈세를 연상케 한다. 그리하여 “모르그 가의 살인”을 프랑스 문학계에 대한 일종의 풍자 소설로 얘기하는 부분(2권136-138)에 이르면 무릎을 치지 않을 수가 없다.
책 읽는 속도가 무척 느린 루인이지만, 이틀 만에 두 권의 책을 다 읽었으니, 무척 재밌게 읽은 셈이다.
[#M_ 밑줄 긋기.. | 접기.. |
“거짓말을 할 거란 말씀이십니까?”
“의도적인 거짓말은 아니겠지만, 그들의 실질적인 기억과 이야기가 남작의 의도대로 바뀔 수밖에 없거든. 그러니 남작이 돈을 주고 재판정에 세우는 증인이나 다름없단 말이지. 이들을 만나더라도 아주 기본적인 사실 외에는 소득이 없을 테니 무슨 사건들이 벌어졌는지 정보를 얻을 수가 있겠나?” (1권, 216, 뒤퐁트와 클라크의 대화)
“오류를 알아야 진실로 다가갈 수 있는 법이라네, 무슈 클라크.” (1권, 223, 뒤퐁트)
“늘 멀리 있는 진실만 찾으려고 날뛰는 곳이 신문이니 바로 눈앞에 있는 진실을 놓칠 수밖에. 놀랄 일이 아무것도 없는데 별일에 다 놀라는 곳이 신문이지. 어떤 사실이 한번 거론되면 주의를 기울여야 하지만, 네 군데에서 못을 박으면 무시하는 것이 상책일세. 반복으로 인해 모든 사고가 마비되니까.” (1권, 254, 뒤퐁트)
“자네는 수사의 핵심과 점점 가까워지고 있어. 날마다 조금씩 더.”
“선생님, 저는 어떻게든 돕고 싶습니다.”
사실 나는 핵심은커녕 주변도 밟지 못한 기분이었고, 우리가 지금까지 파악한 것은 사건의 변두리에 불과하다는 생각이었다. (1권, 263, 뒤퐁트와 클라크)
“그랬지. 자네가 레이놀즈를 발견한 것은 무의미한 일이었으니까. 하지만 예전에도 이야기했다시피 무의미한 부분들을 모두 알아야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법이라네.” (1권, 263, 뒤퐁트)
“아, 그렇지는 않다네. 포 선생의 사망 당시와 관련하여 우리가 파악한 사실들 중에서 신문의 젖줄이라 할 수 있는 세부 정황과 사실에 기대는 부분은 미미하니까. 세부 정황과 사실이 우리가 알고 있는 정보의 중심은 아니라네. 그렇다고 오해는 하지 말게나. 세부 정황은 항상 파악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기본적인 부분일세. 하지만 그 자체가 어떤 깨달음을 주지는 않지. 그 안에 숨은 진실을 파악하려면 제대로 해석하는 법을 알아야 하는데, 뒤팽 남작의 해석은 우리와 아무 상관없는 것 아닌가. 남작이 우리보다 유리해지지 않을까 그게 걱정이라면 그럴 필요가 없다네. 오히려 정반대니까. 그의 해석이 잘못되어 있다면 그가 접하는 세부 사항이 많아질수록 우리가 더 앞서나갈 수 있는 것이지.” (1권, 299, 뒤퐁트)
“무슈 포는 평범한 인물이 아닐세. 너무나 비논리적으로 보이는 그의 결정은 사실 그렇기 때문에 전적으로 논리적인 것이라네.” (2권, 217, 뒤퐁트)
“어떤 사람의 동기를 파악하려 할 때는 그가 무슨 일을 했는지 살피기보다, 무슨 일을 빠뜨렸고 어떤 부분을 게을리 했는지 살피는 자세도 종종 필요한 법이라네.” (2권, 237, 뒤퐁트)
_M#]
One thought on “매튜 펄, [포의 그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