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도화와 퀴어화, 규범성 비판과 제도적 안정화, 규범적 안정성이 대립 관계, 모순이나 경합 관계라는 가정이나 인식이야말로 규범적 틀에 포섭되는 것임을, 그리하여 질문의 방향을 틀어야만 비로소 논의가 가능하다는 것을…
[글쓴이:] 루인/ruin S.M. Pae
번역된 트랜스 자서전
최근 여러 편의 트랜스젠더퀴어 자서전이 번역되었고 그 중 몇 편을 읽고 있다. 넛이 쓴 [소녀가 되어가는 시간](현아율, 돌고래 2024)은 북토크도 찾아가고 줌토크도 참여했었고, 지금은 버그도프의 [젠더를 바꾼다은 것](송섬별, 북하우스 2024)을 읽고 있다. 넛의 책에서 느낀 어떤 불편함을 버그도프의 자서전을 읽으며 그 이유를 가늠한다. 넛의 기록에서 나타나는 모습은, 이 위험한 학교에서 내가 잘 다닐 수 있을까라는 태도가 저변에 깔려있다. 물론 주인공에게는 당시의 불안에 대한 맥락이 명확하게 존재한다. 버그도프의 자서전은 초반부터 분명하다. “사람들은 내가 자라서 자신들의 집단적 상상에 등장하는 위협적인 인물이 되기를 기다렸다”(32-33). 나를 위협하는 사회, 내가 위험한 존재가 될 것이라고 확신하는 사회. 여기에 두 자서전의 정치적 차이, 인종에 따른 트랜스 정치의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그렇다고 해서 넛의 책이 별로인가 하면 그렇지 않다 나는 그 책을 열렬히 좋아하며 읽었고 나중에 서평이나 어떤 에세이를 쓸 수 있으면 좋겠다고 고민하고 있다. 무엇보다 번역하며 지은 제목 [소녀가 되어가는 시간]은 기념비적일 정도로 잘 지었고 또 상징적이다. 무엇보다 생물학에 대한 넛의 전문성이 담긴 부분, 주변 가족의 변화와 구체성은 넛의 책이 가진 소중한 부분이다. 그럼에도 인종과 계급을 둘러싼 위화감 역시 어찌할 수 없게 신경쓰인다.
무엇이 되었든, 이 두 책 모두 많이 읽으면 좋겠다. 같이 읽으면 더 좋다. 슈라야가 쓴 [나는 남자들이 두렵다](현아율, 오월의봄)도 같이 읽으면 좋을 듯하다. 인도계 캐나다인으로 살아가며 겪는 경험을 담고 있는데, 수업에 참여한 한 분이 말하기를 오드리 로드가 아니라 슈라야 책을 읽고서야 비로소 교차성 개념이 이해되고 감각적으로 와닿았다고 했다.
무엇이 되었든, 좋은 책이 많이 나오고 많이 번역되어서 정말 좋다. 참고로 세 권의 책 모두 번역도 좋다. 기쁨!
SNS로그, 변명
뭐랄까, 나는 어떤 행사에 참여했거나 구경하면, 내가 무얼 했는지를 굳이 여기에 자랑할 필요가 있을까 싶어 잘 안 적었다. 무엇보다 취향 자랑처럼 읽힐까봐 두려워서 반년만 지나도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 모호하거나 암시하는 형태로만 적었다. 그런데 작년인가 퀴어연극 관련 공부를 하시는 분들과 이야기를 하던 중에, 이 블로그가 생각보다 얼마간의 쓸모가 있는 아카이브였다는 걸 배웠다(이걸 알려주셔서 감사했고, 그러다보니 여기저기서 그분들을 뵈면 괜히 반갑다). 나도 잊고 있던, 소규모 형태로 열렸던 연극 기록이 여기에 적혀 있었고 그것이 그 연극과 관련해서 남겨진 거의 유일한 기록이었다.
그 연극이 열렸던 시절에는 여기저기에 기록이 많이 남아 있었다. 어쩌면 이곳이 가장 부실한 형태로 기록을 남긴 곳이었다. 그런데 10년 정도가 지나면서 그 모든 기록이 웹에서 소실되었다. 트위터(현, X) 기록은 대부분 사라졌거나 찾는 것이 불가능하고 많은 홈페이지와 블로그는 없어졌다. 그리하여 근 20년 동안 운영 중인 이곳은 예기치 않게 나의 개인사 아카이브이기도 하지만, 내가 다닌 퀴어 행사의 아카이브가 되기도 했던 것이다. 그리하여 내가 구경갔거나 참가했던 행사를, 어떤 식으로든 제대로 기록해둬야겠다 싶었다. SNS로그라는 이상한 제목의 일기 같은 메모를 시작한 이유이기도 하다. 뭐라도 남겨두면, 나중에 흔적이 되겠지.
이러나저러나 20년(지금 이곳의 초기 판본은 엠파스여서… 엠파스 아시는 분?… 그 이전의 판본은 언니네 자기만의방이었는데… 언니네 자방 기억하시는 분?)을 폭파시키지 않고 유지하길 잘 했네. 비공개로 돌린 글은 많아도 지운 글은 없으니 다행이기는 하다. (이러고 폭파시킨다거나? ㅋ)
+나는 공부노동자라면, 다양한 형태/종류의 창작자라먼 블로그를 운영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네이버블로그 말고 설치형 블로그로. 누구에게도 제약 받지 않고 글을 남기고 기록을 남길 수 있는 가장 좋은 시스템이 블로그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