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일 답변 일부

어느 기자님이 배인의 커밍아웃과 관련해서 인터뷰를 요청하며 질문을 몇 개 보내왔다. 하지만 내가 아이돌문화와 케이팝산업의 전문가가 아니기에, 다른 전문가에게 요청하시는 것이 좋겠다고 답을 하며 작성했던 내용…

기자님의 질문 중에 배인의 커밍아웃이 한국에서 성소수자 인권에 대한 논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인지를 물어보셨고, 나의 답변은 아래와 같았다.

배인의 커밍아웃이 “한국에서 성소수자 인권에 대한 논의 확대”로 이어지기보다, 한국에서 퀴어 인권 운동과 연구의 지속적 확장이 배인의 커밍아웃을 가능하게 했다고 이해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이것은 홍석천의 경우도 마찬가지고요. 홍석천이 커밍아웃을 하면서 퀴어 인권이 확대된 것이 아니라, 1990년대 퀴어 인권 운동의 다양한 노력이 홍석천의 커밍아웃을 가능하게한 사회적 토대를 만들었듯, 배인의 커밍아웃 역시 마찬가지죠.

좀 더 풀면, 홍석천의 커밍아웃은 대중적으로 어떤 인상을 남긴 것은 맞지만, 그 커밍아웃은 1990년대 내내 한국에서 퀴어 운동과 연구, 문화를 만들기 위해 노력한 무수히 많은 활동가의 공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랬기에 곧바로 홍커지모가 설립될 수 있었고. 마찬가지로 배인의 커밍아웃 역시 이전에 있었던 무수히 많은 아이돌, 연예인의 커밍아웃 그리고 30년이 넘는 퀴어 인권 운동, 퀴어 연구 등의 노력이 축적되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가장 직접적으로는 연혜원님이 편저한 <퀴어돌로지> 같은 작업!!). 이를 망각하고 마치 연예인의 커밍아웃이 운동이나 연구에 일방향으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질문한다면(기자님의 질문이 이런 의도는 아니었을 것인데, 그저 이전에 나온 다른 많은 기사에 나는 빡친 상황이어서) 이는 역사를 삭제하고 새로운 최초를 생산하는 것이 될 뿐이다.

이와는 별도로, 몇몇 언론에서 홍석천 이후 “25년 만에 배인이 두 번째로 커밍아웃을 한 연예인이 됐다”는 기사들은 진짜 열받는다. 이것은 명백하게 가짜뉴스고, 한국 퀴어 역사, 커밍아웃에 대한 조롱이라 할 수밖에 없다. 아니 올 1월에 <퀴어 한국사>가 나왔다고요.

(나는 역사를 삭제하고 계속해서 최초를 생산하는 행위에 대해 과도할 정도로 흥분하며 화를 내는 듯… 허허허)

워드프레스 아쉬움, 무선이어폰을 찾아서, 회전형 책장 고민

태터툴즈(혹은 텍스트큐브)에서 워드프레스로 전환하면서 생긴 소소한 불편함은 Q다. 태터툴즈를 사용한 이들은 알겠지만, 데스크탑 버전에서 Q를 누르면 자동으로 로그인 화면으로 바뀐다. 그래서 태터툴즈를 사용하던 시절에는 메인 화면에 admin 같은 메뉴가 필요 없었다. 그런데 워드프레스는 단축키를 설정할 수 없고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가능하다고… 뭔가 살짝 아쉽네. 이 정도는 기본값으로 제공해도 좋을텐데.

나는 종종 정리를 지나치게 잘 해버릴 때가 있다. 몇 년 전부터 유선이어폰으로 전환하면서, 당시 사용하던 무선이어폰을 어딘가에 챙겨뒀다. 분명 그때 나는 매우 신경을 써서 챙겨뒀을 것이다. 그리고 4월 들어 가끔씩 사용하려고 예전에 사용했던 무선이어폰을 찾고 있는데 못 찾고 있다. ㅋ ‘내가 분명 저기 뒀을거야’싶었던 3곳을 다 뒤집고 겸사겸사 청소도 했는데 없다. 분명 그냥 두지는 않고, 당시 나의 기준으로 매우 잘 챙겨둔 자리라며 납득했을텐데, 너무 잘 챙겨둬서, 혹은 정리를 지나치게 잘 해버려서 몇 주 째 어디에 뒀는지 찾지를 못 하고 있다. 그래서 알리의 천원마트에서 소소하게 사용할 3~4,000원하는 무선이어폰을 사서 필요할 때 사용하고 있기는 한데… 추가 충전 없이 7~8시간 이상 사용할 수 있고 음질은 그냥 무난한 이어폰을 못 찾고 있어서… 어차피 유선이어폰을 주로 사용하지만 그래도 일단 행방을 알아야 하는데 어디에 있는거지… 이사할 때 발굴하는 것은 아니겠지?

5월이나 6월 즈음, 회전 책꽂이를 두어 개 구매할 예정인데… 괜찮을랑가… 공부노동자 치고는 책이 몇 권 없는 편이지만 그래도 바닥에 쌓인지가 오래라, 공간 효율성을 위해 회전 책꽂이에 관심을 두고 있다. 괜찮을까…

요 며칠, 잡담이 늘어난 것은 논문을 쓰기 싫어서 ;ㅅ; 이러다 일일일블로깅에서 일일삼블로깅하겠네

연극 납과복숭아, 학술대회 토론, 울파의 딸들

며칠 전 “납과 복숭아”를 봤다. 티케팅 시작에 맞춰서 바로 구매했는데, 구매하며 다른 날짜에 하나 더 구매할까 말까 고민하다가 관뒀다. 그리고 금새 매진되었는데… 진짜 재밌었다. 퀴어 호러 로맨스… 암튼 공연 내내 깔깔 웃었고 또 슬펐다. 코미디라 할 수 있지만 퀴어 ‘여성’의 정신병적 상태를 놓치지 않았고, 그렇지만 무리하지 않았다. 관계의 전형성이나 규범성을 만들지 않으면서, 그 관계의 내용을 설득력 있게 조직했다. 그리하여 공연 시간 내내 유쾌했고 아팠지만 그래서 또 즐거웠다. 공연이 끝나고 피디님을 만나자 첫 질문이 혹시나 남은 티켔과 재공연 여부였는데… 이 공연은 최소 석 달 장기(연극 문외한은 연극에서 장기가 얼마나 되는 기간인지 모름) 공연을 해야 하는 거 아닙니까! 공연의 스토리가 좋았고, 믿을 수 있는 배우의 연기가 탁월했고, 포크 역의 연주와 노래가 좋았고, 내용과 음악 사이의 어울림과 어긋남의 조율이 좋았으며, 전반적인 진행과 소품 사용, 무대 사용이 좋았다. 동일한 배우와 팀원으로 꼭 재공연하기를!!

며칠 전 한 학술대회 토론자로 참가했는데, 발표자의 발표를 들으며 나도 얼른 논문 완성해서 투고해야지라는 고민을 했다. 어휴, 어쩌자고 70% 정도 완성한 원고만 20편인데 이걸로 씨간장 만들 것도 아니고, 여기저기 아이디어만 던지고 완성을 하지 않네. 공부노동자는 결국 논문 출판으로 말하는 수밖에 없는데 너무나도 게으르고나. 뭐, 좀 게을러도 좋지만 그래도 너무 게을러서 이제는 큰 일이다. 암튼 그 행사는 구성이 상당히 좋았고 배울 것이 많았는데, 그 중 오혜진 선생의 김비 작가 관련 발표에서, 자서전에서 계속해서 과거의 말을 뒤집고 새롭게 말하는 것이 많다고 했는데 그것이 바로 퀴어 서사, 트랜스 서사의 한 방법일 수 있겠다는 아이디어를 배울 수 있어 좋았다.

다큐 <울파의 딸들>을 얼마 전에 봤다. 와… 이것은 그냥 퀴어거나 페미니스트라면, 섹슈얼러티의 억압 구조에 대한 공부노동자라면, 종교와 성적 억압에 관한 주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무엇보다 다큐멘터리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관람했으면 좋겠다. 정말 심란하고 어려운 질문을 던진다. 상영 시간이 나온다면 무조건 꼭 관람하기를. 영화 <콘클라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