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의 玄牝으로 이사한 후, 부산집에선 냉장고 사라고 성화였다. 심지어 사준다는 말까지 할 정도로. 하지만 냉장고가 필요했던 이유는 생활 방식을 바꾸면서부터였다.
첫 번째 玄牝에 살며 처음엔 자취생 같지 않다는 얘길 들을 만큼 너무도 잘 챙겨먹고 살았다. 학교식당 한 끼 밥값이 1500원 안팎이지만 루인이 먹지 않는 음식이 많기에 그냥 집에서 해먹고 살았다. 한 6개월을 그렇게 지냈을까. 여름이 왔고 별다른 이유도 없이 그간의 끈이 끊어졌다. 반지하의 창문은 어두운 색 포스터로 가렸고 밥이 남아 있는 전기밥솥에선 곰팡이가 만개했지만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다. 이건 무력함이 아니다. 어떻게 하면 되는지 알면서도 몸은 움직이지 않았다. 화장실 나무문에 핀 작은 곰팡이 꽃에도 절망하고 무너져선 울기만 했다. 우울증의 시작이었고 한참 후에야 알았는데 그땐 삼재였다. (삼재는 “삼 년간 재수 없다”는 말의 준말인가? 크크크;;;;;;) 몇 달을 그렇게 살다가 빛이 잘 들어오는 곳으로 이사하면 괜찮겠지 해서 계약기간을 절반도 안 채우고 1층집으로 이사했다.
이사는 순탄치 않았다. 애초 정했던 집은 주인집의 사정으로 취소되었고 이사날짜를 정하기 며칠 전에야 즉석해서 정했다. 문간방이었다. 대문을 나서 30초(!)면 지역할인마트가 있고 비슷한 거리에 너무도 맛있는 김밥집이 있고 큰 골목엔 가게가 있어 장보기 좋은 곳이었지만, 루인의 방-두 번째 玄牝은 그다지 좋지 않았다.
혼자 숨어 살기엔 좋지만 우울증에서 벗어나고자 했던 시도는 허사였다. 곰팡이 핀 밥솥의 악몽으로 밥은 일절 해먹지 않고 사먹기로 결정했고 이미 고장 난 냉장고(여름에 따뜻하고 겨울에 시원한 기능이 최고였다-_-)는 좁은 방 한 곳을 차지하고 있었다. 1층이면 햇빛이 들어오는 곳이라고 믿었는데 그렇지 않았다. 방의 작은 창문은 좁은 골목을 향해 있었고 창문을 열면 밖에서도 안을 들여다 볼 수 있었다. 이건 최악이었다. 여름에도 창문을 열지 못하는 상황이었고 곰팡이는 조금만 신경을 쓰지 않아도 몸을 덮을 상황이었다. 우울증은 더 심해졌고 혹시나 해서 사둔 버너는 가스가 새서 한동안 심한 두통과 구토증을 앓기도 했다.
우울증이 조금씩 괜찮아질 즈음, 두 번째 玄牝의 계약기간이 다되어 가고 있었다. 연장할 의사는 조금도 없었다. 무조건 이사였고 2층 이상의, 여름에도 창문을 열고 살 수 있는 곳을 찾았다. 그곳이 지금의 (세 번째) 玄牝이다. 옥탑.
옥탑은, 그러니까, 자취생으로선 가장 이상적인 공간일 수 있다. 햇빛 잘 들고 빨래를 널 수 있는 ‘마당’이 있으니까. 보는 순간 몸에 든 것은 아니지만 살수록 정이 가는 곳이다. 비록 여름에 따뜻하고 겨울에 추운 고장 난 냉장고 같은 옥탑의 ‘장점’은 있지만.
세탁기 얘기로 시작하더니 ‘딴’ 얘기를 하는 건, 이런 이유가 세탁기를 사고자 하는데 중요한 이유가 되었기 때문이다. 그전까진 손빨래를 했다. (루인이 말하는 손빨래는 얇은 소재나 특별한 소재라서 손빨래를 해야 하는 그런 옷가지, 양말 같은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청바지나 여름 이불 같은 것 까지 포함한다. 물먹은 청바지의 무게는 상상 이상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세탁기와 함께 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긴 건 아니었다. 그냥, 토요일 아침마다 일상처럼 빨래를 했다. 왕가위의 어느 영화에서 노래를 크게 틀어놓고 바지를 걷어 올린 발로 마구마구 밟는 그런 ‘낭만적인’ 일은 아니지만, 한동안은 그런 ‘낭만’으로 빨래를 하기도 했다. 손빨래를 그렇게 ‘낭만’적으로 그릴 수 있는 사람은 분명 손빨래라곤 한 번도 안 해 봤을 거라고 궁시렁 거렸다. 그런데도 세탁기와 함께하고 싶다는 바람이 없었다니, 신기한 일이기도 하다.
세탁기와 살고 싶다는 바람을 품기 시작한 건, 다름 아니라 루인이 아침밥을 하고 있는 시간에 주인집이든 다른 세든 사람이든, 아침 일찍 빨래를 널러 ‘마당’에 올라오는 모습을 접하면서부터다. 손빨래를 하면서 싫었던 건, 힘든 것이 아니라 많은 시간을 사용한다는 점이었다. 힘들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시간 강박적인 루인에게, 아침 일찍 빨래를 널러 올라오는 모습은 부러움, 그 이상이었다. 루인은 빨라도 낮 시간은 되어서야 ‘마당’에 널 수 있었으니까. 그렇게 여섯 달 가량을 세탁기를 향한 바람을 품고 살았다. (이런 거 보면, “사고 싶다”에서 “입금완료”까지 참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걸 새삼 깨닫는다. 하지만 일시불로만 구매하는 루인의 특성상 어쩔 수 없는 면도 있다.)
달라진 건, 주말에만 가능했던 빨래가 평일에도 가능하다는 것만이 아니다. 놀랍게도 조심성도 떨어졌다. 그전엔, 무슨 행동을 하더라도 옷이 더러워질까봐 조심조심했는데, 지금은 그렇지 않다. 언제든지 빨래를 할 수 있으니까, 라고 바보처럼 중얼거리면서. 뭔가 묘한 기분이 들기도 하지만.
어쨌든 이런 이유로 세탁기에도 이름을 붙이기로 했다. 어떤 이름이 어울릴지는 모르겠지만, 며칠 사랑스러운 고민에 빠지겠다.
#세탁기 산 얘기를 쓸까말까 했다. 소비를 전시하는 건 아닐까 해서 꺼리기도 했다. 하지만 처음부터 세탁기가 있는 생활을 했던 사람 혹은 손빨래 기억이 없는 사람은 아마도 경험하지 못하리라 싶은 일이었는데, 실제 ps와 얘기를 나누면서도 이런 경험을 했다. 루인 역시 부산집에 살 땐, 세탁기라는 생활물건과 어떤 식으로 관계를 맺을 수 있는지 전혀 몰랐다. 그래서 나중에 다시 찾아 읽으면 재밌겠다 싶었다. 오직 지금 이 순간에만 쓸 수 있는 그런 느낌의 글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