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모임/졸업/저혈당

#
채식주의와 페미니즘을 함께 고민하는 준비모임을 빠르면 이번 주말 늦으면 다음 주 즈음에 시작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품고 있어요. 오프라인으로 모여 한 번 정도 얘기를 나눌 수 있으면 더 좋겠죠. 이랑 세미나에서도 얘기를 꺼내 볼까나….

#
루인의 블로그를 10월부터 접한 분이라면 기억 하실 런지 모르겠지만 “중간고사 시험 공부하기 싫어” 라며, 앓는 소리를 했다지요. 기말이라고 별반 다르지 않았죠. [Run To 루인]엔 쓰지 않았지만, 대신 시험공부는 않고 다른 글을 더 많이 썼듯. 쿠헹. 덮친 격이라고 다소 불쾌한 일도 있어서 몸이 그곳에 전념했던 고로 시험공부를 거의 안 했더래요. 더구나, 무려 20%나 차지하는 숙제를 제출하지 않았으니 위태위태. 떨리는 몸으로 성적을 확인했어요. 많이도 안 바라고 D-만 나오면 되니까. 제발 F만 면해달라고 바랐는데, 으하하, B. 드디어 학부 졸업! 캬캬캬

#
지난 채식모임에서 듣고 루인이 저혈당이 아닌가, 의심하고 있다 네요. 푸훗. 증상을 보니 많이 겹치네요. 흐흐흐. 최근 10년 사이에 편두통과 알러지가 아닌 이유로 약을 먹은 적도 없고 병원에 간 적도 없으니(알러지로 응급실에 끌려 간 적은 몇 번 있지요) 역시나 병원에 갈 이유는 없겠죠. 혼자 의심하고 나중에 아닌가봐, 라고 킬킬거리면서 웃고 말 것 같아요. 돌팔이 자가 진단의 전형이죠. 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

채식주의자라서 불편하냐고요?

제목처럼 이런 질문을 많이 받는다. 한국에서 채식주의자로 살면 많이 불편하지 않느냐고. 이런 질문을 받으면 상당히 곤혹스러운데, 뭐라고 답해야 할지 모르겠기 때문이다. 부정확하지만 그래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대답은, 별로 안 불편해요, 이다. 물론, 이 말의 전제는 기본적으로 직접 음식을 해 먹는다는 것. 젠더 사회에서 음식을 하는 사람은 주로 “엄마”/”아내”이니, “엄마”/”아내”와 함께 살고 “엄마”/”아내”가 모든 음식을 다 하는 상황에서 채식주의자인 자신의 정치성을 “배려”해주지 않는다고 말하는 건, 착취(폭력)라고 몸앓는다.

루인이 채식주의자로 사는 것이 불편하지 않다는 건, 루인이 접하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페미니즘을 공부하거나 페미니스트거나 해서가 아니다. 오히려 이런 이유로 상처 받은 적이 있다. 물론 채식주의자로 살아가면서 불편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모임이 있을 때 음식점을 선택하는 문제 등에 있어선 “불편”하다. 하지만 이 불편함은 루인이 채식주의자라서 불편한 것이 아니라 루인이 채식주의자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다른 사람들의 반응 때문인 편이다. 그리고 루인이 보기에 ‘정말’ 불편한 사람은 루인이 아니라 육식주의자들이다(육식주의자는 루인 농담처럼, 장난스레 사용하는 말로 유제품을 포함한 육식을 하는 사람을 일컬음). 정말 불편한 사람은 채식주의자가 아니라 채식주의자 ‘때문에’ 선택 사항이 줄어들거나 여러 가지로 신경을 써야 한다고 느끼는 그 질문자가 아닐까. 채식주의자가 같은 자리에 없었다면 그 사람은 불편함을 느낄 이유가 없을 테니까.

루인이 불편하지 않다고 말하는 건, 육류나 유제품 등의 다른 존재들이 애시 당초 루인의 선택 사항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일테면 루인이 육식을 좋아하고 선택사항에 있는데, 어떤 이유로 먹을 수 없다면 불편할 수 있겠지만 애시 당초 루인에겐 선택사항이 아닌데 어떻게 불편할까. 일테면 ‘이성애’자에겐 ‘레즈비언’이 “대안”일 수 있겠지만 정작 ‘레즈비언’에겐 그렇지 않은 것처럼.

물론 채식에 대한 감수성이 없어 음식점에서 주문할 때, 요구사항을 이상하게 여기는 반응은 불편하다. 이런 연유로 모임 등의 이유가 아니면 직접 해 먹는 편이다. 루인이 채식주의자라는 걸 알고는 외국의 각 종 사례를 들며 “인류학”적 지식을 자랑한 후 “그래도 나는 고기가 좋아”라고 말하며 채식을 정치학이 아닌 ‘단순한 취향’으로 간주하는 태도는 불편하다. 혹은 “정치적으로 올바르”고 싶어 반응하는 “관용”적인 (척 하는) 태도 역시 불편하다. (후자의 두 경우엔 거의 분노한다.)

불편하다니, 그럴 리가. 얼마나 좋은데!

[#M_ +.. | -.. | 채식을 여러 가지로 분류하는 방식(여기 참조)과 “채식한지 얼마나 되셨어요?” 란 질문 모두 싫어하는데, 루인이 무식해서 그런지도 모르지만, 그것이 얼마나 의미가 있는지 모르겠기 때문이다. 11년 하면 대단하고 6개월 하면 그냥 그런 건가? 모르겠다._M#]

[#M_ ++.. | –.. | 내용 중, “그 질문자”는 특정 누군가를 지칭하지 않아요. 행여나 해서…_M#]

이 즈음 떠오르는 노래: Eva Cassidy

몇 해 전, 인터넷 책방에서 포장 알바를 하던 겨울이었다. 사는 곳에서 한 시간 가량 걸리는 거리에 일하는 곳이 있었기에 오갈 때 마다 한 장의 CD를 듣곤 했다. 두 장 정도 챙기면 일하러 갈 때 한 장, 돌아 올 때 한 장.

그날은 12월 24일 이었다. 크리스마스이브라고 “특별히” 저녁에 일을 하지 않았고 6시가 조금 넘은 시간에 끝났다. 평소라면 9시 혹은 10시 즈음까지 일하는 알바 팀이 따로 있었지만 크리스마스이브니 일찍 끝난다고 했던가.

당시의 玄牝으로 돌아오는 길, 무슨 음악을 들을까 하다가, 며칠 전 산 앨범에 끼워준 샘플러 시디를 골랐다. 당시엔 몰랐지만 이후에야 알았는데,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소장하고 싶어 했다는 알레스 뮤직의 샘플러 세 번째 앨범. 알고 골랐다고 하기 보다는 그냥 한 번 들어보고 싶었기에 선택했다. 어떤 음악이 들어 있나 궁금했기에. 혹은, 언제나 그렇듯 앨범이 루인을 부른 건지도 모른다.

회사에서 나와 지하철역으로 가는 길은 추웠고 많은 사람들로 붐볐다. 크리스마스이브이니 그럴 만도 했지만, 사람 많은 곳을 유난히 싫어하기에 서둘러 걸었다. 어느 거리였던가. 귀로 흘러 들어가는 소리. 기타 연주에 이어 흐르는 음악.

Eva Cassidy의 Autumn Leaves였다. 음악이 몸에 흐르는 순간, 숨이 막히는 느낌과 함께 멈춰 섰다. 자리에 주저앉을 뻔 했고 눈물이 났다. 그 순간만은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멍하니 서 있기만 했다.

Eva Cassidy와는 그렇게 닿았다. 이후 Eva Cassidy의 모든 앨범과 닿았고 이 계절이면 습관처럼 Eva Cassidy의 음악을 떠올린다. 이 계절이 좋은 이유 중 하나는 추억이 묻어있는 음악이 유난히 많아서 인지도 모르겠다. 날이 날이니 만큼 종일 Eva Cassidy의 음악을 들으며 보낼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