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ll hooks란 이름

bell hooks란 필명 혹은 가명은 그의 모계 증조할머니의 이름이라고 한다. 태어났을 때의 이름은 Gloria Watkins.

(이 이름을 선택한 여러가지 이유는 [Talking Back]의 “23. to gloria, who is she: on using a pseudonym”을 참조하세요. bell hooks란 이름으로 인한 여러 에피소드도 같이 실려 있는데 일테면 (글로리아로 알고 있는) 누군가와 페미니즘에 대해 토론하다가 상대방이 벨 훅스에게 한 말, “벨 훅스를 읽어 보세요.”)

이 이름을 선택한 이유 중 하나는 그것이 19세기 흑인여성운동가들의 이름 처럼 보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일테면 Anna Cooper, Mary Church Terrell처럼. (페미니즘 사상사를 배우다 보면 백인여권론자인 Mary Wollstonecraft, Elizabeth Cady Stanton 등은 배우지만 앞서 언급한 흑인여성운동가는 거의 안 배운다. 덧붙이면 [Ms.]란 잡지는 대부분 알지만 [Essence]를 아는 사람은 드문 것 같다. 이 역시 인종주의racism와 제국주의의 결과겠지만… 루인이라고 예외는 아니다.) 19세기 흑인여성운동가들은 용감했고 목소리를 가졌으며 자신의 경험을 말 할수 있었다. 그렇기에 목소리를 억압할 것을 강요 받던 시절, 벨 훅스란 이름은 발화하려는 몸언어를 듣고, 드러낼 수 있게 하는 용기를 주었다고 한다.

재미있는 건, 벨 훅스의 첫 번째 책의 제목 [Ain’t I A Woman: Black Women And Feminism] 중 “Ain’t I A Woman”은 유명한 페미니스트 Sojourner Truth의 말이다. 결국 벨 훅스란 이름과 이 말은 19세기라는 시점과 만나고 있다.

19세기는, 적어도 아프리칸-아메리칸 ‘여성’들에게 있어선 노예해방운동의 시대였으면서 동시에 여권운동에 참여했던 시기다. 벨 훅스의 첫 번째 책, [Ain’t I A Woman]은 페미니즘 내에서 인종 문제가 부상하던 시기에 나왔고 sex-race를 동시에 사유할 것을 단호하게 말하고 있는 책이다.

뭔가 재밌게 만나고 있다는 몸앓이를 지울 수가 없다. 19세기란 코드와 sex-race란 코드가 교직하는 순간.

어쨌거나 낼이면 [Talking Back]도 마무리구나. 그럼 벨 훅스랑은 10월에나 만나는 거야? 우잉~ 아쉬워

오랜만에 숨책

숨책엘 갔다. 오랜만이라고 해봐야 지난 주에 가지 않은 것 뿐이다. 왜 가지 않았느냐고 하면 비도 내리고 玄牝에서 빈둥빈둥 뒹굴뒹굴 거리다 보니 그랬다고 할까나…

책을 고르며 어떤 책을 고를지 난감해 하는 루인을 보며, 책을 산다는 행위에 혹은 어떤 책을 살지에 상당히 흥미를 잃은 모습을 발견했다. 예전처럼 신나게 사는 모습을 발견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안다. 이런 모습, 다소 주기적이란 걸. 항상 그래왔다. 더군다나 현재 가지고 싶은 책 혹은 읽고 싶은 책은 살 수 있는 책이라기 보다는 제본할 수밖에 없는 책들이라 더 그러한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매 주 금요일이면 숨책에 숨으러 갈 것이다. 숨책 사람들이 좋기도 하고 숨책에서 스며나오는 내음이 편안함을 주기도 하니까.

숨을 곳이 있다는 건 좋은 일이다.

몇 가지 결정들

#
일전에 적은 bell hooks읽기는 한 달 가량 쉬기로 했다.

이번 주말이면 [Talking Back] 읽기가 끝난다. 그러면 9월 달엔 오늘 프린트한 몇 개의 논문들을 읽을까 한다. 당장 루인이 고민하고 있는 부분들이라 알고 싶은 것도 있고(잘은 모르지만 아마 국내에 관련 도서는 거의 없는 듯 싶다. 논문들은 몇 있는데…) 말 그대로 쉬어가려는 것도 있다.

쉬어가려는 것은, 돌이켜 보면 열 달 가량을 계속 bell hooks만 읽어 왔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벨 훅스 문법엔 익숙한데 다른 영문을 보면 낯설거나 더듬거리거나 그런다. 그래서 한 달 정도 다른 사람이 쓴 글을 읽을 필요가 있겠다는 몸앓이가 들었다.

읽을 논문들은 거의 sex/gender/sexuality에 관한 글들이다. 루인식으로 표현하면 항상 안다고 믿지만 사실 전혀 모르는 것이 sex/gender/sexuality가 아닐까.

그러고 나면 이제 루인이 읽고 싶어하던 bell hooks의 [Yearning]을 읽을 예정이다. 어쩌면 이 책을 읽기 위해 이전의 책들을 읽었는지도 모른다. 물론 각각의 책들이 다 좋았지만, 처음 영서를 읽겠다고 시작했을 때 가장 읽고 싶었던 책이 [Yearning]이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다음 책은 정해져 있다. 그런데 그땐 두 권을 동시에 읽을 것만 같은 예감;;;

#
며칠 전 갈등하던 그 과목 듣지 않기로 했다. 냐하하. 아쉬움이 없을리 없겠지만 그냥 버리기로 했다. 그 시간에 루인이 읽고 싶은 글을 읽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