앎을 공유하기…

LGBT를 향한 사회적 차별, 억압, 괴롭힘, 폭력 등에 따른 공동체의 심리를 다룬 미국의 논문을 읽기 시작했다. 논문은 “게이와 레즈비언 해방 운동(바이섹슈얼/양성애와 트랜스젠더는 나중에 함께 한다)”로 시작한다. 이 문장을 읽는 순간 나는 ‘이 논문이 나를 괴롭히는구나’라며 불평했다. 익명의 심사자가 논문을 심사하는 학술지인지는 모르겠지만, 만약 그렇다면 심사자 중에 이런 식의 역사 인식에 문제의식이 있는 사람이 없었던 것일까? 아니면 편집위원회에 이를 걸러낼 사람이 없었던 걸까? 암튼 순간적으로 이 논문을 그냥 읽지 말까라는 고민을 진지하게 했다.
한국의 비규범적 젠더/섹슈얼리티 실천자의 역사를 살피면 이런 식으로 역사를 서술하기가 어렵다. 물론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하지만 남성간 관계, 여성간 관계, 트랜스젠더 등은 1960~1970년대에 각자 혹은 섞인 형태로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다. 게이와 바이남성과 mtf/트랜스여성과 ftm/트랜스남성과 크로스드레서가, 레즈비언과 바이여성과 ftm/트랜스남성과 mtf/트랜스여성과 크로스드레서가 뒤섞인 형태로, 혹은 더 복잡하게 뒤섞인 형태로 종로, 명동, 이태원 등지에서 공동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인권운동을 기준으로 할 때도 같이 시작했다. 이미 여러 번 이야기했지만 동성애인권운동을 1990년대 초반에 시작한 것이 아니라 LGBT/퀴어 인권운동을 1990년대 초반에 시작했다. 여전히 많은 사람이 동성애인권운동으로 역사를 전유하고 있지만… 하지만 여전히 고민하고 갈등한다. 역사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와 함께 이를 어떻게 사람들과 공유할 것이란 점 말이다. 어느 순간 사람들에게 선입견처럼 각인된 어떤 지식은 아무리 다른 지식, 해석을 떠들어도 입력되지 않는다. 듣는 그 순간엔 반응이 고개를 주억거리지만 돌아서서 글을 쓸 땐 ‘무심결에’ 처음의 선입견 같은 지식을 반복한다. 나라고 예외는 아니다. 그러니 한국 변태의 역사쓰기를 한다면 그 작업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어떻게 이를 공유할 것인가가 중요하겠지. 아마도 역사를 쓰는 작업보다 이를 공유하는 작업이 더 어렵겠구나,라는 고민을 했다. 저 논문을 읽으면서.

식습관의 변화, 몸의 변화

코피가 나는 게 아니라 코에서 피가 나는 계절이다. 번역으로 엄청 스트레스를 받으며 정신이 없는 시기기도 하다. 그래서 어제 밥을 해야 했는데 잊기도 했고 정신이 없기도 해서 오늘 저녁에야 밥을 했다. 밥을 하다가 몇 년 전이 떠올랐다.
금요일 저녁이면 김밥을 몇 줄 사서 집으로 들어가선 주말 내내 냉장고에 보관한 김밥을 먹으며 살던 시기가 있었다. 오래 전이 아니라 2~3년 전의 일이다. 경우에 따라선 좀 무리를 해서 즉석밥에 비건용 볶음고추장을 비벼서 밥을 먹기도 했다. 하루에 한끼 이상을 집에서 먹었는데 늘 이런 식으로 밥을 먹었다. 어떤 주말엔 채식라면을 끓여 김밥과 먹기도 했다. 그때 그런 생각을 했다. 즉석밥에 볶음고추장을 비벼서 먹는 것에 비하면 라면이 영양이란 측면에서 훨씬 좋겠다고. 언젠가 비건이라면 신선한 야채를 중심으로 집에서 직접 음식을 만들어 먹어야지 통조림이나 즉석식품을 중심으로 먹는 정크비건이어선 안 된다는 글을 읽었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땐 정말 정크비건이었다. 지금도 정크비건이 좋고. 비건이지만 건강을 생각하는 비건은 아니기 때문에 당시의 생활 수준에 맞춰 대충 먹다보니 라면의 영양성분이 밥보다 좋겠다고 생각했다. 속쓰림 문제만 아니라면 정말 라면만 먹으로 생활했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리고 몇 년이 지난 지금, 경제적 여건 자체는 그때나 지금이나 거기서 거기지만 식습관이 좀 바뀌었다. 여전히 정크비건이고 정크푸드를 사랑하지만 밥을 직접 해서 먹고 있다. 밥은 대체로 아홉 가지 정도의 곡물을 혼합하기에 밥만 먹어도 건강할 것만 같달까. 반찬 역시 가급적 신선한 야채 중심으로 바뀌었고. 뭐, 쉽게 예상할 수 있겠지만 이렇게 바뀐 건 온전히 E느님 덕분이다. 고양이와 함께 살며 내 몸을 챙겨야겠다고 생각했다면 E를 만난 뒤 실제로 식생활 자체가 바뀌었다. 그리고 실제로 몸이 바뀌었다. 예전엔 수시로 어지럽고 심한 현기증을 느끼곤 했는데 지금은 이런 증상이 거의 없다. 여러 모로 건강이 좋아지고 있음을 느낄 수 있달까. 물론 예전에 너무 대충 먹어서 비교가 힘들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몸이 좋아졌으니 다행이고 좋은 일이다.

오랜 만에 바람 단독!

책상 위에 올라간 바람은 어쩐지 느긋하고 만족스러운 표정이었다. 그렇잖아도 예쁜 표정이 그날따라 더 예뻤다.
그래서 열심히 찍었다. 다섯 살이 넘은 바람은, 사실 바람의 나이가 몇 살인지 너무도 자주 잊어버리지만, 여전히 생생하고 아기같고 예쁘다.

어쩐지 만족스러운 바람의 표정.

그리고 토끼 같은 얼굴을 하고 있는 바람의 움짤. 후후후. 귀여워 귀여워.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