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범죄와 엮이건 아니건 상관없이 올 한 해는 혐오가 주제어구나 싶다. 아아… 그리고 혐오를 주제로 글을 쓴다면 ‘우리 이렇게 혐오 받고 있다’거나 ‘혐오가 이런 식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혐오가 이렇게 구조적으로 팽배하다’란 식의 글은 아니지 않을까 싶다. 이런 식의 글이 분명 필요하고, 나 자신이 이런 주제로 글쓰기 작업을 할 필요가 있지만 지금 내가 쓰고 싶은 스타일의 글은 아니다. 아마도 “헐… 이게 뭐야…”라는 반응과 함께 무시 당할 법한 그런 글을 쓰겠지. 후후후. 이전의 많은 글이 그러하듯이. 후후후.
ㄴ.
한국어로 쓴, 한국의 퀴어 활동가가 쓴 퀴어 관련 글을 읽다 보면 ㅎ님이 레즈비언의 역사를 정리한 글이 무척 많이 인용되는 것을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그런데 딱 그 뿐이다. ㅎ님이 정말 많은 글을 썼고 각 글에서 중요한 인식론적 전환을 위한 작업을 했지만 인용되는 글은 역사를 정리한 글이며, 이론이나 인식론을 위한 근거는 모두 미국이나 영국 이론가, 프랑스 철학자의 것에서 가져온다. 한국 퀴어 연구자가 쓴 글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자료고 서구 이론가의 글은 인식론이자 이론이라는 뜻일까? 꼭 이런 이유는 아니겠지만 역사를 정리한 글만 인용되고 중요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는 글은 인용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계속해서 의심을 하게 된다.
그러고 보면 지혜 선생님의 영향이 정말 가득한 논문인데 정작 지혜 선생님의 논문은 인용하지 않고 지혜 선생님이 쓴 논문에서 인용된 저자의 글만 인용한 논문을 본 적도 있다. 왜일까? 적어도 이런 상황에서 탈식민은 불가능한 것만 같다.
ㄷ.
E와 이야기를 나누며 정말 많은 것을 배운다. 이런저런 아이디어를 공유하면서 고민이 섞이기도 한다. 그리고 이런저런 고민을 나누며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것이 있다. 남들이 뭐라고 하건, 그냥 나는 내 공부를 묵묵히 하면 된다. 그 뿐이다. 다른 사람을 신경 쓰는 순간 망한다. 이것은 확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