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이 아파도 신을 신었지

10대 시절 내가 신을 운동화를 직접 사서 신은 적이 거의 없다. 아버지가 아는 분이 신발공장을 했고, 그래서 가끔 상표도 알 수 없는 남는 신발을 선물 삼아 주시면 그 신발을 신었다. 그러니 이른바 캐릭터 신발이니 뭐니 하는 건 나와 별 상관 없는 일이었고 그런 상품을 신어보고 싶다는 바람도 갖지 않았다.
그렇게 새 신발이 들어오면 그걸 신어야 했는데 치수는 얼추 맞았음에도 나는 새 신을 신을 수가 없었다. 발에 안 맞았기 때문이다. 치수는 맞았다. 아니 어릴 땐 성장을 고려해서 신발을 크게 신어야 했기에 발가락에서도 한참 남았다. 그러니 발에 안 맞을 수가 없었다. 그럼에도 안 맞았다. 볼이 넓었기 때문이었다. 요즘은 신발을 구매할 때 볼 너비도 선택할 수 있지만, 그땐 안 그랬다. 발가락을 눌렀을 때 많이 남는다면 그것은 내가 신기에 충분한 것이고 나는 신어야 했다. 하지만 나는 발이 아팠고 부모님은 내가 신발을 신기 싫어서 엄살을 부린다며 혼을 냈고 때리기도 했다.
신발이 안 맞아서 아프다고 하면 맞는 신발로 바꿔 주는 게 ‘상식’ 같겠지만 적어도 내가 사는 환경에선 그게 상식이 아니었다. 앞서 말했지만 내가 어릴 때 본가에선 내가 신을 신발을 직접 구매하는 일이 없었다. 그럴 경제적 여건도 아니었다. 그러니 누군가 공장에서 남는 신발을 가져다 선물로 준다면 그걸 신어야만 했다. 그걸 신는 건 당연한 일이고, 만약 발이 아프면 그냥 참고 신다가 신발이 늘어나서 신을 만하면 그땐 편하게 신으면 되는 일이었다. 내겐 이것이 당연한 일이었다.
그래서 나는 이 일을 조금도 슬프게 기억하지 않는다. 나는 그 시절을 그냥 살았고 내겐 당연한 일었기 때문이다. 이것을 환경에 유순해진 서글픈 현상으로 독해한다면 나로선 다소 당혹스러운데 이건 그 당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이었기 때문이다. 때때로 신발에 구멍이 나거나 밑창이 떨어져도 새 신이 생길 때까진 그냥 신고 다녔는데, 이것 역시 나로선 특별할 것 없는 일이었다. 이런 일에 좀 무덤한 성격이기도 하고 ‘아직은 신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도 했다.
E랑 이야기를 하다가 그냥 생각 난 에피소드다. 이 에피소드에 여러 논평을 덧붙일 수 있겠지만 그래서 뭐하나 싶어 다 지웠다. 그냥 내 어린 시절의 가벼운 경험일 뿐이니까.

퀴어 논의를 불가능하게 하기

종종 퀴어이론서나 퀴어의 삶이나 이론을 다룬 글을 두고, “너무 어렵다 좀 더 쉽게 써라”고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 쉽게, 더 쉽게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하지만 나는 이런 요구가 한국에서 퀴어이론을 가벼운 정보, 팝콘 같은 지식으로만 소비하려 하고, 퀴어이론이 심화되길 거부하는 어떤 기획(혹은 불안)으로 하는 얘기가 아닐까라는 의심이 들기도 한다. 결코 퀴어이론이 심화되고 퀴어의 복잡한 삶을 이야기할 수 없도록 말이다. 물론 이것은 의심에 불과하지만, 좀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