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식

주말 내내 집에서 졸고 졸고 졸고 졸고 졸며 지내고 있다. 해야 할 일이 있는데 너무 졸려서 낮잠도 자고 늦잠도 자고 그러고 있다. 그래서 친구와 이야기를 하다 깨달았는데… 지난 주말에 단체 행사로 12시 넘어서 끝났고 대휴 사용 없이 계속 출근했고 그랬구나. 잊고 있었는데 이번주는 피곤할 수밖에 없구나.

주말 집에서 졸기만 하다가 요즘 책을 너무 안 읽나 싶어 살짝 반성을 했다. 반성도 습관이지만, 수업을 위한 논문 읽기 말고 그냥 읽은 책이 거의 없구나. 그와중에 한겨레에 신청했더니 당첨된 건지 사연에 그냥 보내준 건지 모르겠지만, [기억의 공간에서 너를 그린다]를 받았다. 매우 감사했고 당분간 바쁜 일이 없지는 않지만 그래도 이 책을 읽어야지. 앞에 메모를 적어주셨는데, 공통 문구겠지만 그럼에도 감사하기도 하고, 재난과 안전은 언제나 화두니까…

지난 수업에서 얼버무리며 한 이야기가 있는데, 언젠가 한 선생님이 내게 퀴어와 트랜스젠더퀴어의 고통과 관련한 이야기가 중심이고 즐거움, 쾌락 등을 다루지 않는다며 그와 관련한 논의도 같이 해보라고 제안했었다. 퀴어를 고통과 피해로만 재현하는 것에 비판적이니 그 말을 새기려 했지만… 실패했다. ㅋㅋㅋ 한때는 모든 청탁 원고의 내용이 퀴어의 죽음이었다… 그나마 이번에 논문 하나 준비 중인데 이 논문은 희망 혹은 유토피아를 모색할 수 있으려나. 성과 폭력은 너무도 짝패마냥 붙어 있어서 폭력과 우려와 염려와 차별을 뺀 퀴어 논의를 모색하는 작업도 필요할텐데(없다는 게 아니라) 내가 그것을 할 수 있으려나…;;;

암튼 좀 쉬고 작업해야지.

폭력을 규정하는 규범성

폭력은 무엇인가에서 폭력은 무엇을 하는가로 질문을 바꾸는 것은 익숙한 방식이다. 감정은 무엇을 하는가처럼 정의를 모색하기보다 그것의 효과를 탐색하는 작업은 사유의 방향을 새롭게 하기 때문이다.

폭력은 무엇을 하는가라는 질문을 할 때, 폭력은 지배 규범을 재생산하고 안정성을 재강화한다는 답은 어렵지 않다. 폭력의 행사는 지배 규범적 권력을 실천하는 행위일 때가 많고, 그리하여 폭력 가해자가 상정하는 규범성에 피해자를 복속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여기서 다시 질문의 방향을 바꿔보면, 특정 행위를 폭력으로 규정하는 일은 또한 무엇을 생산하는가로 다시 질문할 수 있다. 어떤 행위를 두고 폭력적이라고 규정하는 행위 자체가 규범을 재생산하는 작업이라는 의도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BDSM은 폭력인가? 드랙퀸 실천은 여성 혐오인가? 성전환 수술은 신체 훼손이자 여성성을 혐오하는 것인가? 퀴어-페미니즘 운동사/이론사에서 이런 질문은 종종 급진적 저항 정치와 비판 이론을 구축하는 중요한 내용이었다. 지금도 드랙은 여성 혐오라는 비판이 상당하고, 트랜스젠더퀴어를 향한 혐오가 페미니즘의 의제로 채택된다. 그렇다면 특정 행위를 폭력으로 규정하는 행위가 폭력적 규범성을 파훼하는 행동이 아니라 폭력적 규범성을 재생산하는 실천으로 다시 독해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럴 때 폭력은 무엇을 하는가라는 질문은 완전히 다른 상황을 동시에 포착한다. 특정 행위를 폭력으로 규정하고 그 폭력 행위가 생산하는 규범성을 문제삼는 것. 특정 행위를 폭력으로 규정하는 인식론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비트랜스)여성성 같은 특정 규범을 본질화하는 것. 물론 전자와 후자는 다른 논의의 맥락에 위치하고 다른 질문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그럼에도 중첩성을 다시 탐색할 수는 있다.

물론 이것은 아직은 아이디어 메모 수준이지만 올해 중으로 글 한 편을 쓰고 싶은 주제이기는 하네.

선거, 이후

주변미터 기준, 녹색정의당은 50명은 당선되어야 했지만 그 결과는 슬펐다. 무엇보다 오랜 정치인 심상정은 사실상 정계 은퇴를 시사했다. 다음 세대의 새롭게 의제를 만들어갈 수 있는 정치인은 장혜영을 비롯한 다른 누군가가 될 것이다. 6색 무지개를 선거용 트럭에 칠했던 장혜영은 정치인으로 다음을 어떻게 모색할 수 있을까.

선거를 압두고 민주당 지지자들이 너무 고개를 들어서 좀 무서웠다. 그 와중에 더 무서웠던 것은 자유통일당이 여론조사에서 4.1%가 나왔다는 점이었다. 만약 저들이 당선자를 내면 어떡하지? 다행이라면 2%대 지지율로 당선자를 내지 못 했지만 문제는 그 지지율이 녹색정의당과 비슷하다는 데 있다.

개신교 기반 극우 정당이 당선인을 내는데 실패했다면 트럼프 타입의 혐오 기반 극우 정당은 당선인을 3명이나 배출했다. 개혁신당 이야기다. 이준석의 당선에 여러 사람이 (우려와 함께) 놀라움을 표했지만 진짜 끔찍하다. 혐오와 비난만이 유일한 정치적 수단인 인물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같은 당의 다른 비례 당선자는 이준석이 이미 국회의원 10명의 역할을 해왔다고 했지만 이준석은 정치인으로서 정책을 내고, 이를 토론하고, 의제로 풀어가는 능력을 증명한 적이 단 한 번도 없었다. 장애인을, 여성을, 페미니즘을, 퀴어를, 노인을, 외국인을, 이주민을 그리도 또 다양한 범주의 사람들을 혐오하는데 동조하고 그에 맞춘 주장을 했을 뿐이다. 나로서는 그에게 어떤 기대도 없는데, 평론가나 동료 정치인들이 그를 대단한 정치인처럼 평가할 때마다 곤혹스럽다.

정당 정치를 잘 모르지만 해보는 추정 하나. 한국에서 극우 성향 정당에서 당선자를 내지 못 하는 이유는 민정당계 정당 즉 국민의힘이 극우 성향의 정치를 직접 실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에서 극우 정당을 지지하는 세력이 적어서가 아니라 민정당계 정당이 극우 정치의 이념과 세력, 의제를 수용하고 있어서 별개의 극우 정당은 힘을 얻기 어려운 것 아닐까 싶다. 그리하여 개신교 기반 극우 정당이 존재하는 이유는 민정당계 정당에게 알리바이를 제공하는 동시에 계속해서 극우 의제를 보수 의제로 만들기 위한 것이지 않나 싶다.

그나마 진보당이 세 명의 당선자를 확보해서 그나마 다행이라면 다행이다. 진보당은 지역구에서 민주당과 상당수가 단일화를 했는데 그 과정에서 정책 협의가 되었다고 들었다. 부디 그 협의가 22대 국회에서는 논의가 되기를…

노동당 지지율이 매우 낮아 아쉬웠다. 후보들이 좋았는데…

어제 소속 단체에서 후원의 밤을 했고 많은 이들이 왔다. 그 중에는 녹색정의당 대표도 있었다. 물론 누구에게도 자신이 왔음을 알리지 않았고 4.16 10주기 행사를 마치고 지인들과 조용히 왔지만, 어쩐지 내가 그의 얼굴을 알아서… 행사가 끝나고 청소를 하다가 그의 앞을 지나치게 되어서, 고생 많았다는 말을 전했다. 그랬더니 그는 당황하다가, 당선자를 못 내서 미안하다고 했다. 그 말이 매우 슬펐다. “중간 계투로 올라갔다가 마무리 투수” 역할까지 하게 된 대표이고, 이래저래 많이 애쓴 것을 알고 있기에, 진짜 고생이 많았다고 어떤 위로를 전하고 싶었다. 하지만 그에게 그 말은 더 큰 부담이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래서 더 미안했다. 위로를 하려고 전하는 말이 상대에게 부담일 때, 그것은 잘못된 말을 선택한 것이니까.

미안함에, 종일 그 말이 상황이 신경 쓰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