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젠더퀴어 정치를 진행함에 있어 규범성을 문제 삼아야 한다고 믿는다. 그리하여 끊임없인 불편을 야기할 수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 1년 뒤 나의 고민이 어떻게 변할지는 알 수 없지만 적어도 현재까지의 나는 이렇게 믿는다. 하지만 이런 믿음과 별도로, 규범성을 어떻게 규정하거나 정의하거나 설명할 것인지는 또 다른 복잡한 문제다. ‘동성애자라면 이렇게 살아야 한다’, ‘트랜스젠더라면 이렇게 살아야 한다’, ‘양성애자라면 이렇게 살아야 한다’는 어떤 명령이 규범성인가? 한편으로 그렇다. 하지만 규범성은 단순히 ‘어떻게 살라’라는 명령일 뿐만 아니라 삶의 복잡성을 가시화하거나 은폐하는 편집 작업, 큐레이팅 작업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동성결혼 논의를 전개하면서 이성애결혼만을 정상화하는 사회적 규범을 문제삼으면서 결혼제도 자체를 문제 삼지 않는 것, 혹은 결혼제도 자체를 문제삼는데 이것으로 그치는 것이 모두 규범성에 해당할 수 있다. 이들은 모두 바이와 결혼, 트랜스젠더와 (합법적)동성결혼 논의를 모두 은폐하거나 결혼을 둘러싼 복잡한 실천을 싸잡아 배제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바로 이 지점에서 규범성을 설명하기가 더더욱 어렵다.
그런데 아직은 규범성, 특히 동성애규범성을 이야기할 때가 아니라는 식으로 규범성 비판을 무화시키려는 언설은 더 문제가 있다고 고민한다. 그렇다면 동성애규범성을 신랄하게 비판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때’는 언제인가? 나의 최근 고민인 트랜스규범성을 비판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때’는 언제인가? 아직은 때가 아니다라는 입장에서 ‘적당한 때’는 영원히 오지 않는다. 매우 단순하게 받아친다면, ‘적당한 때’는 언제나 바로 지금이다. 이런 문제의식이 생긴다면 바로 그때가 적기다. 중요한 건 이것을 어떻게 말하느냐에 있다. 그리하여 고민하기를, 동성애규범성을 계속 이야기해야 한다고 믿는다면 트랜스규범성도 계속 이야기해야 한다. (문득, 이른바 보수기독교로 묶이는 반LGBT/퀴어 집단에서 동성애를 혐오하며 동성애규범성을 들어 동성애를 비판하면 참 재밌겠다는 생각이 든다. 얼마나 흥미진진할까.)
이런 비판적 논의를 전개하며 규범성을 문제 삼고자 할 때, 규범성을 문제 삼는 태도가 또 다른 규범성이 된다면 어떡할까? 비판적 논의가 역전된 규범성으로 작동하기 시작한다면? 그리하여 기존의 규범성과 함께 비판적 논의도 규범성이 되기 시작할 때, 이 모두를 다르게 사유하고 다시 비판적으로 이야기할 가능성은 어떻게 상상할 수 있을까? 미리부터 이것을 염두에 둔 논의를 구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지만 그럼에도 어떻게 하면 이성애규범성, 동성애규범성, 그리고 트랜스규범성을 비판적으로 논의하는 글을 구성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