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 늑대 아이: 유키와 아메

은근 기대하고 있던 애니메이션이었다. 이미 본 사람의 평에 따르면, <늑대 아이>가 퀴어 영화는 아니라고 해도 퀴어인 아이를 양육하는 방식을 유비할 수 있는 영화라고 했다. 그래서 기대하다가 어제 어떻게 시간이 나서 봤는데…

조금은 실망했다. 이 영화엔 젠더 감수성이 전혀 없었고 양자택일이어야 했는지 의문이 들었기 때문이다.
늑대인간인 첫째 유키와 둘째 아메는 각각 다른 선택을 한다. 여자늑대사람으로 나오는 유키는 학교에 입학한 얼마 안 지나 왈가닥이던 자신의 성격이 소위 말하는 여성성에 맞지 않는다는 걸 확인한다. 그러고 나선 새로운 원피스를 입고 학교가 요구하는 젠더 규범에 부합하며 인간으로 삶을 선택한다. 남자늑대사람으로 나오는 아메는 학교에 적응을 못 하고 산으로 갔다가 여우 선생을 만나 산의 질서를 지배하는 방식을 배우고 결국 가족을 떠나 산의 질서, 자연의 질서를 다스리는 존재로 살아간다. 소위 여성은 여성적 젠더 규범에 부합하는 인간으로 살아가고 소위 남성은 대의(자연의 질서 관장)를 위해 가족을 떠나 늑대로 살아간다. 이게 뭐야…
더 큰 고민은 늑대인간엑 늑대로 살 것인지 인간으로 살 것인지 선택하도록 하는데… 꼭 양자택일로 선택해야 했을까? 둘 다의 삶을 살아가는 방법은 없었을까? 늑대아이를 인터섹스나 트랜스젠더로 유비해서 상상한다면, 소위 여자나 남자로 환원되지 않고 인터섹스로, 트랜스젠더로 살아가는 방법도 있다. 혹은 또 다른 어떤 방법도 가능하다. 그런데 왜 둘 중 하나의 삶만 가능하게 했을까?
어머니 역의 하나는 또 자식을 위해 제 삶을 희생하고 헌신하는 캐릭터. 끄응…
뭔가 흥미로울 법한 내용인데 그것을 구성하고 전개하는 방법이 매우 진부하다. 더구나 하나는 늑대아이 둘을 기르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음에도 단 한 번도 갈등하거나 망설이지 않는다. 너무 꿋꿋하다. 흠…
+
그나저나 이 애니메이션의 가장 큰 반전은.. 나 나름의 가장 큰 반전은… 아메가 남자늑대사람이었다는 것… 중반부를 넘어 후반부로 넘어갈 즈음에야 남자늑대사람 역인 걸 알았다..

On Our Backs란 잡지를 열람하거나 복사신청할 수 있는 곳 찾습니다..

On Our Backs란 옛날 미국 잡지를 열람할 수 있는 사이트를 찾고 있다. 물론 매번 실패한다. 매번 검색을 해도 On Our Backs란 잡지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를 못 찾는다. 그러다 문득 이것이 On Our Backs와 Off Our Backs의 차이일까란 고민을 한다.
On Our Backs는 레즈비언 에로티카를 표방한 잡지며, 1980년대 섹슈얼리티 표현과 실천의 ‘자유’를 옹호했다. Off Our Backs는 성보수주의, 섹슈얼리티에 있어 국가의 검열과 개입을 지지했던 페미니스트 집단이 만든 잡지다. 그리고 Off Our Backs는 지금 미국 논문 검색 사이트를 통해 그 모든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On Our Backs는 찾을 수가 없다. 내 검색 능력이 부족해서일 수도 있지만… 다른 한편으론 성급진주의 잡지와 성보수주의 잡지에 대한 사회의 다른 대우를 엿볼 수 있는 찰나가 아닐까,란 고민도 든다.
On Our Backs에서 읽고 싶은 글이 있어서 이렇게 열심히 찾는 것이기도 하다.
Susan Stryker. 1995. “Looking at You Looking at Me.” On Our Backs 11:1 (January/February): 21
이 글을 찾고 있는데 아직 전문을 못 찾았다.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주요 문서를 웹에 아카이빙하는 사이트도 있는데, 그럼에도 스트라이커의 글은 그 흔적을 찾기가 힘들다. 구글 검색에 따르면 이 글을 언급한 웹문서는 단 하나 뿐이다. 나 역시 그 문서에서 이 글의 존재를 알았고 몇 년 째, 검색하고 있지만 못 찾았다. 그래서 아예 On Our Backs를 열람할 수 있거나 문헌복사를 신청할 수 있는 곳을 찾고 있다.
그나마 있는 곳이라면 수잔 스트라이커가 머물기도 했던, GLBT Historical Society라는 아카이브다( http://www.glbthistory.org/research/index.html ). 그런데 여기엔 문서를 복사신청하면 보내주는 그런 서비스는 없는 듯하다. 스트라이커는 이 아카이브를 LGBT 관련 세계 최대 아카이브라고 칭했는데, ONE 아카이브에도 없는 기록물이 있으니 그른 말은 아닌 듯. 하지만 문헌복사 신청 서비스는 왜 없는 것이냐..
암튼.. 아카이브가 아니라 대학 도서관에는 없으려나.. 그리고 이 자료를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 끄응..

비염에서 목감기로?

며칠 전 비염으로 잠을 설쳤다는 얘길 했다. 그날 정말 잠을 못 자서 꽤나 고생했고 결국 아침에 일어나선 온 종일 비몽사몽이었다.

그런데 그때 단지 잠을 못 잔 것만이 문제는 아니었다. 그 날 목이 갔었다. 최근 몇 년 동안 비염으로 목이 간 적이 없어 꽤나 낯설었고 또 당황했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고등학교 때나 그 이후에도 비염이 터지면 목이 갔던 적이 있었다. 비염이 터지고 나면 감기몸살 형태로 전환되면서(실제 감기몸살은 아님) 종종 고생하곤 했다. 물론 그땐 전설의 약, 콘택600으로 버티곤 했지만… 물론 처음엔 콘택600 한 알로 버틸 수 있었지만 나중엔 한 번에 두세 알을 먹어야 했지만, 어쨌거나 어느 순간부터 목이 가는 일은 없었다.
그렇기에 이번에 비염으로 목이 간 건 무척 오랜 만의 경험이자 꽤나 낯선 일이었다. 비염 터진 다음날은 목이 가고, 그 다음날은 그럭저럭 괜찮아서 특강을 진행할 수도 있었다. 그리고 점점 괜찮아지겠거니 했는데… 그랬는데 어쩐지 목이 간 것이 목감기로 전환되고 있는 듯한 느낌은 뭘까… 목이 간질간질하다기보다 방의 공기가 너무 건조해서 잔기침을 하다보니 목감기로 확장된 느낌이랄까.. 암튼 계속 목 쓸 일이 생기고 있는데 걱정이네.. 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