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인 주의사항

LGB(T) 혹은 퀴어와 관련한 고민을 하는 단체나 모임인 자리라도 많이 다르지 않을 수 있지만, 특히나 그 자리에 참가하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의 사전지식이나 고민이 있는지를 알 수 없는 곳에 트랜스젠더 관련 특강을 갈 땐, “mtf는 하리수를 봐서 있는 줄 알겠는데 ftm도 있나요?”란 수준에 맞출 것. 이번 “만행”의 교훈은 이것. 어쩌면 가장 효과적인 강의 방법은 자주 혹은 종종 사용하는 용어들의 역사와 의미를 중심으로 설명하기 시작하면서 하리수를 얘기하고, 수술 및 호적정정이 주요 이슈인 것처럼 여겨지지만 이것만이 유일한 이슈가 아니란 걸 얘기하면서 뭔가 최근 나의 고민을 한두 가지 공유하는 선에서 마무리 지으면 충분할 듯.

가장 좋은 건 충분한 사전 조율을 거치는 것!

이러나저러나 그날 강의를 들으셨던 분들에겐 너무도 죄송한 일.

그럼에도 좀 놀랐던 건, mtf나 ftm이란 용어를 모르는 건 그럴 수도 있지만(강의 자리에 있는 사람들 모두가 아는 경우가 없었기에), 부치와 펨을 모르는 걸 넘어 레즈비언과 게이도 긴가민가 할 땐, 좀 많이 당황했다. 물론 이게 핑계는 안 되지만;;;

드러냄의 미묘한 경계

작년 9월, 한 주간지에 청탁받은 글을 보내면서 이걸 딱히 “공개적인 커밍아웃”이라고 여기진 않았다. 그 이전부터 [Run To 루인]에 오셨던 분들은 다 아시겠지만, 이곳을 통해 루인은 어떤 인간인지를 떠들고 다녔으니까. 그럼에도 블로그라는 형식을 통한 말하기와 주간지라는 다소 규모가 더 크게 느껴지는 형식을 통한 말하기엔 차이가 있기 마련이라, 슬쩍 긴장하지 않은 건 아니었다. 아무려나, 그 주간지가 발간되었을 때 그 글을 읽은 분은 별로 없는 듯 했고, 이후 사람들을 만나도, “블로그 잘 보고 있다”며 인사를 하는 분들은 있어도 그 주간지에 쓴 글을 얘기하는 분들은 없었다. 물론 지속성과 단발성의 차이가 있을 테고, 주간지에 실린 글을 일일이 기억하는 경우가 별로 없기도 하고.

그럼에도 이런 형식의 글쓰기를 통해 자신과 관련한 어떤 부분들을 얘기하는 걸 이른바 “공개적인 커밍아웃”이라고 말할 수 있다면, 어쨌든 그 주간지에 글을 쓴 건, 나름 “공개적으로 커밍아웃”을 한 거라고 할 수도 있다.

그로부터 몇 달이 지나, 어떤 연구자와 지렁이 사람들이 단체로 인터뷰를 할 일이 있었다. 그 자리에서 루인과 관련한 얘기를 하며, “전국적”으로 배포하는 주간지에 글을 쓴 적이 있다며 이를 일종의 “공개적인 커밍아웃”이라고 했을 때, 그 사람의 반응은 “사진을 실었느냐”였고, 그렇지 않다고 했을 때, 그럼 별 것 아니란 듯, 소위 말하는 “공개적인 커밍아웃”은 아닌 것으로 반응했다. 그 반응이, 루인에겐 사진을 싣지 않으면 “커밍아웃이 아니다”라고 치부하는 듯해서 좀 불쾌했다.

불쾌했으면 무시하면 그만이지만 또 그렇게 못하는 “팔랑 귀”라, 이후 이른바 “공개적인 커밍아웃”과 관련한 얘기가 나올 때마다 고민하곤 한다. 글을 통해, 강연이란 형식을 통해 “저는 트랜스예요”라고 말하고 다니는데도, 언론에 사진을 공개하지 않았으니 “커밍아웃”을 하지 않은 걸까, 하고. 혹은 “공개적인 커밍아웃”은 어떤 수위를 의미하는 걸까, 하는 고민도 동시에 한다.

한국에서 트랜스젠더는 “하리수”를 매개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에서, 트랜스젠더의 이미지는 “하리수”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그래서 트랜스젠더와 관련한 특강에 누가 가느냐에 따라 상당히 다른 효과를 낳을 수 있다. “트랜스젠더에 대해 어느 정도 아세요?” 혹은 “하리수 외에 알고 있는 트랜스젠더가 있으세요?”란 질문을 했을 때, 반응하는 사람들이 극소수인 자리에서, “저 트랜스예요. 하리수와 같은 트랜스여성이요.”라고 얘기를 하는 건, 사람들에게 상당한 긴장과 균열을 일으키기에 아주 좋다. (루인을 오프라인으로 만난 사람들만 이해가 될 듯;;;) 실제 이런 효과를 노리고 의도적으로 이와 같은 얘기를 꺼내기도 한다. 하지만 반드시 이런 효과를 노리고 “커밍아웃”(사실 이 용어 자체를 별로 안 좋아한다, 그래서 계속 따옴표를 치고 있다)을 하는 건 아니다. 그냥 “저, 트랜스예요”(mtf와 ftm이란 식의 구분 없이)라고 강의와 같은 자리에선, 툭, 뱉듯 얘기하는 편이다. 개개인으로 만나는 사람들에게 말하는 것보다, 이렇게 강의를 통해 말하는 게 부담이 덜하기도 하고. 그럼에도 의외로 상당히 자주 만나는 사람들은 또 모르고 있는 경우도 있다. 트랜스젠더나 퀴어와 관련한 주제와 이슈를 상당히 자주 얘기하지만, 뉘앙스를 파악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흘려 듣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이고, 그런 사람들에게 일일이 말하려고 하진 않는다.

그럼, 이런 방식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 사실, 이른바 “공개적인 커밍아웃”이란 것과 “벽장”이란 은유를 별로 안 좋아하는 편이고, 이런 식의 구분에 경계가 모호한 경우들이 너무 많기도 하고. … 도대체 이 글을 왜 쓰고 있는지 지금 모르겠는데-_-;; 아무튼 꽤나 오래 전에 무슨 계기로 이와 관련한 글을 써야지 했다가 이제 쓰는데 무슨 계기였는지는, 당연히 까먹었다. ;;; 아, [Run To 루인]에 사진을 공개할까 말까를 고민하다가 그랬나? ;;; 암튼 모르겠다. 힝.

결국

어제 저지른 만행의 내용을, 사실은 두 번에 걸쳐 장문의 글로 적었음에도, 끝내 공개하지 못 하고 있는 중. (어제 저녁에 한 번 쓰고, 공개아이콘을 누르려는 찰나에 멈췄고, 오늘도 얼추 한 시간에 걸쳐 쓰고선 결국 공개를 망설인다는.) 스스로의 바보짓을 잘도 공개하는 루인인데, 이번엔 좀 크다는 느낌이랄까요. 흑흑흑. 좀 수습이 되면 그때 공개를 하지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간단하게 말하면, 초보강사의 부족함과 어설픔과 관련한 거예요. 흑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