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은 ‘무지’를 통과하지 못하지만 ‘무지’가 공포/권력을 만든다. 알지 못할 때, 앎에의 접근이 제한되어서 누군가 말해주는 내용만을 믿어야 하는 무지의 상황에서 권력이 발생한다.
번역과 권력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어제 그토록 ‘유명’한 프랑스 페미니스트 작가/철학자의 글을 읽으면서. 그 작가는 ‘유명’해서 페미니즘을 조금이라도 공부하면 한 번은 듣고 지나가지만, 루인도 수업 시간을 통해 몇 번은 들었지만 글을 직접 읽은 적은 없었다. 오늘있는 수업 텍스트였기에 며칠 전부터 읽었을 따름이다. (이름을 밝히지 않는 건, 이 글 주제와 별로 상관없기도 하지만, “○○ 읽어봤다~!”하는 식의 무식을 떠벌리는 자랑이 될까봐. 그렇잖아도 무식한데 이런 식으로 무식을 과시하면, 흑;;;, 비참해진다.) 글을 읽으면서, 중얼거린 건, 자국어인 한국어 외에 다른 외국어를 안다는 것, 그리고 한 가지 번역본만이 아니라 다른 번역본도 같이 접한다는 것이 얼마나 다행인지를 실감했다.
물론 작가는 프랑스 사람이고 프랑스어로 글을 썼기에 루인이 간신히 읽을 수 있는 영역본 또한 번역자에 의한 번역/해석일 뿐이다. 프랑스어로 쓴 글을 영어로 번역했고 그 번역본을 읽으니 결국 중역하는 격. 하지만 프랑스어로 쓴 글을 한국어로 번역한 책 역시 한국어 번역을 다시 해석/번역해야 하는 상황이라 그다지 차이가 없었다. 어차피 모든 해석은 중역이니까.
그리고 이런 상황에 안도했다. 지금의 시대가 오직 한국어 번역문만 접근할 수 있고, 그래서 번역자의 번역 내용을 “진실”이라고 믿어야 하는 상황이었다면 얼마나 끔찍했을까. 지식을 가진 자, 지식에의 접근권을 가진 자가 권력을 가지는 상황이 발생했을 것이고, 한국어로 번역한 텍스트를 읽다가 아무리 읽어도 비문 혹은 오역 같아도 문제제기가 불가능했겠지.
인터넷을 통해 세상이 좋아졌다는 얘기를 하려는 것이 아니라 지식의 독점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얘기하고 싶다. 일전에 이차텍스트에 대한 불신을 적은 적이 있는데 딱 이런 경우였다. 물론 한국어 번역자의 번역이 잘 된 부분이 없진 않지만, 영어와 놀기 시작한지 얼마 안 되는 루인의 수준에서도 영어로 읽는 게 편했다면 말 다한 거 아닐까.
번역 자체가 어떤 언어를 사용할 것인가의 문제이며 그래서 저자의 내용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번역은 반역이 아니라 해석이다, 그래서 필연적으로 번역자의 입장/위치에 의해 내용을 구성하기 마련이다)의 문제이며 이는 다른 자국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글을 어떤 내용으로 알릴 것인가의 문제이다. 만약 대한민국이란 나라에 프랑스어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 영어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 각각 한 명씩만 있다면 그 나라에서 생산하는 텍스트의 내용은 그 사람의 해석에 의해서만 읽을 수밖에 없고 그래서 그 사람은 사실 상 절대적인 권력과 권위를 획득한다(실제 이런 상황은 비일비재하다). 이건 단순히 그 사람이 권력과 권위를 획득한다는 것 이상인데 다른 사람의 해석을 차단하며 다른 해석을 애시 당초 발화할 수 없게 하고 다른 상상력을 통제하는 끔찍함이다. 의심할 수 없고 번역자의 해석을 믿을 수밖에 없기에 생기는 끔찍함. (이런 끔찍함이 학제에선 너무도 비일비재하다는 거, 너무 끔찍하지 않아?)
너무도 매력적인 텍스트를 두 가지 번역본(영어와 한국어)으로 대조해서 읽으며 이런 몸앓이를 했다. 물론 그 텍스트 자체에 대한 해석은 다른 텍스트와 연결해서 더 풍성하게 읽을 수 있을 것 같은 즐거움도 느꼈다. 즐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