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근두근 걱정

3월의 첫 날이 노는 날(! -_-;;;)이라, 참 다행이다. 그렇지 않고 2월이 끝나는 것과 동시에 3월을 시작해야 한다면, 정말… 이란 몸앓이를 했다. 어제, 아주 조금 비가 내리던 길을 걸으며.

늦잠을 잤다. 딱히 피곤할 것도 없는데 며칠 째 밤 11시만 넘어도 졸음이 밀려왔다. 그래도 아침에 일어나는 덴 지장이 없었는데 오늘은 긴장이 풀렸는지 늦잠을 잤다. 핸드폰 액정을 보니 9시를 몇 분 남겨둔 상황. 늦은 아침을 먹고 읽다 만 책을 마저 읽고, 오늘부터 삼, 사십 여일 가량 걸릴 예정의 [Queer Theory]를 읽기 시작했다. 그러고도 한동안 뭘 시작하지 못하고 산만하게 시간을 보냈다. 손에 잡히지 않았다.

내일이 개강이라고 해서 수업이 있는 건 아니다. 수업은 월, 화 이틀이고 조교 출석체크도 수요일이라 목요일이 개강이라고 해서 특별히 달라질 것이 없는데도, 조급함을 느끼고 있다. 2년 전, 처음으로 여성학 수업을 신청하고 개강을 기다리던 그때처럼.

페미니즘을 여성학이란 수업을 통해 공부하기 시작한 것이 딱, 2년 전이다. 물론 그 전에도 책은 조금씩 읽었지만, 잡식에 체계적이지 않은 독서습관으로 그냥 이것저것 손에 잡히는 대로 읽었다. 그렇게 읽다가 수업을 통해 배우고 싶다는 욕망이 생겼고 걱정 반, 두려움 반으로 여성학 과목을 신청했다. 걱정은, 수업 듣는 사람들 중 루인이 가장 무식할까봐, 였다. 성적이야 신경을 안 쓰는 편이기에 아무래도 상관없지만 어렵거나 루인 혼자 무슨 소린지 못 알아들어서 다른 사람들에게 폐가 되면 어떻게 하나로 수강 취소도 고려했었다. 평소 물을 잘 안 사마시지만 그날은 물을 한 통 샀고 수업이 시작되길 기다리면서 다 마셨다. 긴장하면 생기는 버릇이다.

그렇게 시작했는데, 대학원에까지 왔다. 그리고 지금, 2년 전의 그런 몸으로 긴장하고 있다. 작년 가을, 비록 중간에 그만두긴 했지만, 몇 주간 대학원 수업을 청강 했기에 어느 정도는 분위기를 파악하고 있고 각오도 하고 있지만 그래도 걱정과 두려움으로 긴장을 놓기가 어렵다. 결국은 어떻게 놀 것인가의 문제이지만, 좀더 팽팽한 긴장 속에서 놀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부족한, 너무도 부족한 영어 실력이야 남들보다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어떻게든 따라간다고 하면 되겠지만 “바보”가 되지 않기 위한 걱정이 사실 더 크기도 하다.

무식한 건, 남들보다 모르는 건 이제 그다지 걱정이 아니지만―이제 좀 안다가 아니라 모르는 건 수업을 통해 배우면 되기 때문이다― “바보”가 될까봐, 걱정이다. 즉, 불편한 상황에서 침묵하지는 않을까 그것이 걱정이다. 오랫동안 그리고 지금도 불편한 상황에서 침묵을 지키곤 한다. 누군가가 배려해주겠지, 하는 알량한 기대를 가지고. 하지만 누구도 루인을 대신해서 말해주지 않으며 배려해주겠지 하는 기대는 착각일 뿐임을 안다. “타자성”을 침묵한다는 건, 결국 죽음과도 같은 일임을, 자신을 “바보”로 만들고 다른 사람의 시선에 재단되도록 내버려 두는 일임을 안다. 알지만, 여전히 침묵한다. 바로 이것이 두렵다. 어떻게 발화를 시작할 것인가. 침묵하면 하루 종일 속상하고 화가 나서 몸이 아프지만 발화하면 때로 괜히 발화한 건 아닌가 하고 후회한다. 하지만 발화하고 후회하는 것 보다는 침묵하고 발화하지 않음을 후회하는 것이 더 아프다는 것도 이제는 조금 안다.

처음으로 발화하기가 어렵다. 어디서건 마찬가지다. 그렇게 다짐하고 발화하겠다고 준비를 하는 날은 분명 목이 쉬고 준비한 물을 금방 다 마시겠지만, 첫 시작이 중요하다. 타인의 폭력 앞에서도 헤벌쭉 웃는 “바보”가 되고 싶지 않으니까.

[#M_ +.. | -.. | 이때의 “바보”는 당연히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의 그런 것일 뿐, 당사자는 그 상황에서 협상 중에 있다. 발화하는 것이 좋은지 침묵하는 것이 좋은지 혹은 다른 식으로 반응하는 것이 좋은지로._M#]

천천히 오래하기-굵고 길게

물론 한 번을 하더라도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만큼이나 오래, 지속적으로 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몸앓는다. 이른바 짧고 굵게 보다는 가늘고 길게. 한때의 명성으로 전설이 되기보다는 시간이 많이 지나도 현역으로 활동하는 것.

“나도 한때 그런 일을 했어”라는 말을 싫어한다. 슬프기 때문이다. 더 이상은 하지 않는 것, 과거에의 향수인지 자기 과시인지 애매한 그런 말은 그 말을 하는 사람에게도 듣는 사람에게도 슬프다. 누군가를 가리키며 “저 사람이 예전에 날렸던 ○○이야”라는 말도 마찬가지다. 이런 말들을 특히 싫어하게 된 이유는, 한국작가의 소설을 읽다보면, 몇 십 년 전에 쓴 작품으로 지금도 명성을 연명하는 일들이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작품 활동 일, 이 십년 하고 더 이상 활동 하지 않으면서도 과거의 명성으로 살아가는 조로현상. 이런 모습이 참 싫었다. 오래하지도 않았으면서 나이 들었다는 것이 과거의 명성으로 살아가도 되는 것 마냥 행동하며 나이주의에 스스로를 가두는 것을 답답하게 느꼈다.

물론 루인도 요절에 매혹했었다. 랭보 같이 일찍 죽어서 유명한 사람들. 하지만 그런 만큼 박제된 삶은 안타까움이다. 일찍 죽은 대가로 삶은 박제되고 요절이 재능만큼이나 회자되는 건 슬픈 일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한 순간 타오르고 꺼지는 것 보다는 오랫동안 타올랐다면 더 좋았을 것을.

천천히 하는 것이 진보다, 란 정희진 선생님의 말을 떠올린다. 조금은 다른 의미일까. 하지만 겹친 모습으로 다가온다. 운동을 하다보면, 한 시절 열심히 활동을 하다 자신만의 이력이 생기고 노하우가 생겼을 즈음엔 지쳐서 떠나는 상황은, 떠나는 사람에게도 새로 시작하는 사람에게도 남아있는 사람에게도-모두에게 슬픈/아픈 일이다. 매체(문집) 같은 것도 그렇다. 언제 누가 활동했는지도 모르거나, 이른바 고학번이라고 불리는 사람들에게만 알려진 “전설”같은 활동의 한 두 기록만 너덜한 표지로 남아있는 것을 접하면, 안타깝다. 좀더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지는 못했던 것일까.

오래할 수 있으면 좋겠다. 살다보면 중간 중간에 여러 가지 상황으로 다른 길로 가는 것처럼 여겨질 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오랫동안 천천히 계속 할 수 있으면 좋겠다. 그리고 이것이 이랑 세미나에서 빠지고 싶었지만 그렇게 하지 않은 이유기도 하다.

#[신돈]에서 노국대장공주가 공민왕에게, 월선스님(큰 스님)이 신돈에게 말하는 것도 이런 것이 아닐까, 싶다.

늑대인간을 사랑했어요..

찬 바람이 열어 둔 창틈 사이로 들어왔다. 날씨가 쌀쌀했다. 흐리기도 했고 햇살이 창 너머로 들어오기도 했다. 평이한 날이었다. 일요일의 흔한 날이었다.

방 안은 밝았고 먼지가 쌓여가는 모습을 보고 있었다. 음악 소리에 따라 먼지가 흔들리며 떠다녔다.

진작 사지 않았음을 질책하며 당장이라도 전 앨범을 사서 듣고 싶어졌다.

Cat Power – Werewolf

특히 이 곡이 그랬다. 몇 번이고 듣지 않으면 견딜 수 없을 것 같았다. …이런 노래가 좋다. 듣고 있으면 달콤하게 즐길 수 있으니까. 설탕을 입힌 독약 같으니까.

종일 캣 파워를 듣고 있다.

[#M_ +.. | -.. | Fool도 좋지만, 이 앨범은 구할 수가 있으니까 한 곡만.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