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눈, 유리

#
며칠 전, 세탁기를 주문하고 돈이 남았다. 간신히 맞춘 금액이었는데, 10% 할인쿠폰이 생겨서 그 만큼의 금액이 올앳카드에 남았다. 무얼 할까 한참을 갈등하다가 책을 사기로 했다. 그래서 어제, 바쁜 와중에도 신나는 몸으로 교보에 들렀다. 계획한 책을 사고 계산대로 가는 순간, 아하하, 카드를 안 챙긴 것이다. 바보바보바보. 순간 아찔함에 멍해졌다. 그렇잖아도 현금이 부족한데 안 산다고 할 수도 없어 그냥 샀다. (흑, 찾아야 할 제본 책이 한 권에, 할 예정인 책이 네 권인데ㅠ_ㅠ 아, 루인이 책을 읽는 습관 때문에 출판사 판본과는 별도로 제본할 수밖에 없는 책이 있다.)

이 안타까움은 여이연 강좌를 듣고 玄牝으로 돌아오는 지하철에서 발생했다. 양말이 11켤레 4,000원에 파는데, 엉엉, 지갑에 4,000원이 없었다. 양말 사고 싶었는데. 잉잉잉. 정말 순간적으로 우울했다.

#
여이연 강좌를 듣고 나오는데, 눈이 내리고 있었다. 주디스 버틀러 강좌라 트랜스젠더/트랜스섹슈얼리티와도 관련 있는 내용으로, 신난 몸으로 듣고 나오는데 눈이라니. 너무 좋아 입을 벌리고 혀를 내미는데, 아콩, 눈이 눈으로 들어가 질끔 눈을 감았다.

같이 있던 분의 표현처럼, 뭐랄까, 크리스마스이브 같은 느낌이었다. 이번 겨울 들어 눈이 이렇게 많이 내리는 날 밖에서 눈을 맞고 있기도 처음이었다. 어디선가 캐롤이라도 들릴 것 같은 느낌이었다. 정말로.

#
헤어지고 혼자 남아, 지하철을 갈아타는 길에 귀에선 [푸른새벽]의 음악이 흐르고 있었다. 눈을 감고 걸으며 유리遊離했다.

음악을 듣고 있을 때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더 자주, 세상과 유리하는 상태에 빠진다. 마치 영화에서 차창 밖으로 풍경이 지나가는 장면처럼 루인 밖의 세상은 유리창 너머의 다른 세상인 듯한 느낌. 루인은 길에서 듣는 음악을 O.S.T.라고 부르곤 하는데, 유리창을 통해 세상과 괴리를 느끼는 영화 속 주인공처럼 느끼면서 그 장면에 빠져들어 바라보는 관객의 느낌을 동시에 가지기 때문이다. 이럴 때면 이대로 증발하고 싶은 유혹/충동에 빠진다.

본다는 건 단지 많은 경험 중의 일부일 뿐이다

한동안 “보다”란 말을 쓰지 않으려고 애썼다. 이곳에도 관련 글을 몇 번 적었듯이, “보다”란 말은 시각’장애’인을 배제하는 말이면서 동시에 “특정한” 시각 경험만을 정상화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느끼다, 닿다, 접하다 등의 단어로 바꾸는 작업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어떤 사람은 보지 않고선 알 수 없는 사람도 있다. 이른바 3대 감각이라고 불리는 감각 중 하나(이름을 까먹었다-_-;;)가 없으면 자신의 몸을 보고 있지 않으면 자신이 존재하는지도 알 수 없는 것이다. 왼쪽 손으로 물건을 잡기 위해서는 눈으로 왼쪽 손이 어디로 움직이는지를 계속 보고 있어야지 그렇지 않으면 손은 다른 곳에 가 있곤 한다. 이런 몸의 경험에서 본다는 것은 때로 “아는” 것이다. 눈을 감는 순간, 자신의 존재감을 상실하는 경험을 하기도 하니까.

또 어떤 사람은 느낄 수 “없는” 사람도 있다.

물론 이런 경험들을 의학에선 병리 현상으로 간주하겠지만, 이건 병리 현상이 아니라 ‘정상’적이라는 몸의 경험이 실은 많은 감각 경험 중 일부일 뿐임을 의미한다. 느낀다는 것이, 본다는 것이 그렇게 당연한 일이 아니며 모든 사람에게 같은 내용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요즘은 “보다”란 말을 쓴다, 아니다의 문제가 아니라 시각 경험을 어떻게 특정 경험의 문제로 바꿀 것인가를 고민하고 있다. “보다”란 언어를 쓰지 않는 것은 보지 않으면 존재감을 느낄 수 없는 사람의 경험을 배제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여전히 “보다”란 시각 경험을 중심에 두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시각 경험을 단지 여러 가지의 감각 경험 중 일부로 상대화해야지 않을까. 시각 경험에 너무 익숙한 사람에겐 시각 경험이 중요하겠지만 그것이 이른바 시각 ‘장애’인 보다 “우월”한 경험이 아니며, 시각 경험이라고 해도 그 차이가 크기 때문이다. 일테면 색깔에 관해서도 사람마다 다른 식으로 표현하는 걸 듣곤 하는데 이는 어떤 색깔을 동일한 식으로 경험하지 않는다는 걸 의미한다.

이미지 난독증이 있고 색에 대한 감각이 무딘 편인 루인에게(신경 쓰지 않으면 색깔을 거의 인식하지 못한다) “보다”라는 시각 경험은 평생 안고 갈 고민/자원일 수밖에 없다.

트랜스젠더리즘 강좌: 묻지 않은 젠더

며칠 전, 공개강좌에 갔다 왔다. 강의 내용은 트랜스젠더리즘. 루인으로선 너무도 기대한 내용이고 어떤 일이 있어도 참석해야지 했다. 수강 결과는 대체로 만족. 이제 몸앓기 시작한 내용을 어느 정도 정리할 수 있었고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지점들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일테면 샌디 스톤의 글을 읽으며 도대체 왜 카사블랑카나 모로코가 나오는지 몰랐는데 강사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아직은 정확하게 개념을 잡지 못하고 있는 트랜스베스타잇transvestite과 트랜스섹슈얼, 트랜스젠더의 기원에 대해서 들을 수 있었던 것도 좋았다. 언젠가 어느 글을 통해 읽게 되리라 기대하면서도 귀동냥이나마 미리 들으면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물론 그날 강의 주제의 핵심은 “레즈비언 페미니즘과 트랜스젠더리즘의 경계 분쟁“이었기에 루인이 기대한 젠더에 관한 논의는 별로 없었다. 강사가 준비하고 기획한 내용과 루인이 기대한 내용이 달랐기에 아쉬움도 남지만 앞으로 텍스트와 놀며 도움이 될 내용들이 많았기에 수확은 컸다. (준비했지만 시간 상 못했을 수도 있다.)

문제는 강의 내용이 아니라 참석한 사람들의 반응이었다. 몇 번의 당혹스러움 중, 첫 당혹스러움은 정체성의 다양성을 얘기하는 지점에서였다. 정체성과 관련해서 얘기를 하며 강사는 트랜스베스타잇, 트랜스젠더, 트랜스섹슈얼, 드랙퀸 등을 얘기했는데 이 외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고 말하자 누군가 말했다. “다 말해놓고 또 있단 말예요?” 이 말을 듣고 많이 당황했다. 아니 그럼 섹슈얼리티 혹은 성정체성이 ‘이성애’, ‘동성애’, ‘양성애’, 그리고 트랜스젠더 이렇게 넷 뿐 이라고 믿으신 건가요? S/M이나 메일 레즈비언(male lesbian), 피메일 게이(female gay) 등 말하지 않은 섹슈얼리티가 너무도 많았다. 대신 어떤 단체에선 80여 가지의 정체성 분류를 두고 있다는 얘기와 이에 대한 비판으로 넘어갔지만, 수강생의 ‘무심코’ 한 말이 잊히지가 않는다. 그 말은 세상엔 ‘여성’과 ‘남성’ 둘이면 충분하며 그 이상은 자신을 혼란스럽게 하기에 필요 없거나 있어도 목소리를 내지 말라는 인식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흰색처리;;)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지점들의 당혹스러움은 있었다. 하지만 이 당혹스러움이 나타날 수밖에 없는 건 트랜스젠더/트랜스섹슈얼리티의 가장 기본적인 논쟁점인 젠더에 관한 논의 없이 강의를 했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강사는 젠더란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하지 않았고 그래서 젠더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에 따라 강의 내용은 다르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종 강사의 해석과 루인의 해석이 달라 헷갈리기도 했다.

강의가 끝나고 사람들의 대체적인 반응은 페미니스트가 트랜스혐오 발언을 했다는 점과 트랜스의 다양한 정체성들이 주는 ‘놀라움’이었다. 전자는 사람들이 놀랐다는 사실에 더 놀랐고 후자는 좀 다르게 다가왔다. 한 번도 자신의 젠더 정체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지 않았다는 점이 이해가면서도 낯설었다. 정말 자신이 ‘여성’인지 혹은 ‘남성’인지 확신한다는 의미인거야? 툭 터놓고 말해 증거가 어디 있느냐고. 자신이, 지금의 젠더구조가 부여하는(주민등록증으로 강제하는) ‘여성’ 혹은 ‘남성’인지 아닌지도 확신할 수 없지만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해 고민하지 않고 있음과 젠더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해 묻지 않고서 젠더를 얘기하고 있음을 궁금한 것이다. 젠더는 단순히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 성으로서 여성다움, 남성다움”이 아니라 혹자의 표현을 빌면 컬트고 루인의 표현으론 집단광기이기 때문이다.

강의 내용을 젠더에 대한 질문으로 하지 않고 “분쟁”을 중심으로 이끌어간 건, 그래서 많은 아쉬움으로 남기도 한다. 강의를 통해 레즈비언 페미니즘과 트랜스 간에 있었던 논쟁뿐 아니라 둘 사이의 논쟁을 통해 발생하는 “젠더란 무엇인가” 하는 질문까지 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그랬다면, 당시 어떤 분위기였기에 페미니스트가 트랜스 혐오 발언을 했는지, 도대체 왜 그런 발언을 했는가 하는 질문은 안 나오지 않았을까.

[#M_ +.. | -.. | 강의 중인지 질의응답시간이었는지 정확하겐 기억나지 않지만 얼마간의 ‘논쟁’이 있었던 내용.
만약 당신이 트랜스‘여성’(mtf, 즉 ‘남성’에서 ‘여성’으로의 트랜스)일 경우, ‘여성’에게 당신이 ‘여성’임을 인정받는 것이 좋을까요, ‘남성’에게 ‘여성’임을 인정받는 것이 좋을까요. (여기서 ‘인정받음’은 그저 별다른 의심 없이 ‘여성’으로 여겨진다는 의미예요.) 강의에 있었던 사람들과 이곳에 오거나 루인이 접하는 사람들의 반응은 어떻게 다를까. 리플은 기대도 안 하니 물어보고 다녀야겠다.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