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이렇게 말하면 소수자란 말은 수적으로 적다는 말이 아니라 기존의 권력에서 소수란 의미라는 대답을 듣는다. 아하, 그러하네요, 하고 주억거리지만 수긍할 수 없는 내용이다.
소수자가 수적으로 적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하지만 언제나 소수자 운동을 얘기할 때면 빠지지 않는 내용이 ‘동성애’자는 그 사회에서 10~15%정도, ‘장애’인도 한 사회에서 10~15%정도를 차지한다는 말로 수적으로 적음을 확인한다. 그리하여 실질적으로 권력에서 소수라는 의미가 아니라 수적으로 소수란 내용을 환기한다. 정치적 약자란 말도 마찬가지다. 정치적인 권력관계에서 약자란 의미이지만 미묘하게 그래서 약한 사람, 보호나 특별한 제도가 필요한 사람이란 뉘앙스를 함의한다.
하지만 정말 그런가. 정말 불편한 지점이다. 그렇지 않다고 느끼는 루인의 입장에서 소수자란 말이나 약자란 말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소위 말하는 권력자들의 횡포이다.
성적 소수자란 말은 성정체성/성적 지향성에 토대를 둔 “소수”란 의미이지만 이 말은 역설적으로 젠더에 기반을 두고 있는 ‘이성애’가 다수거나 어쨌든 규범에 가깝다는 의미이다. 누군가를 소수라고 규정하기 위해선 다수 혹은 어떤 기준/규범을 필요로 한다. 당연히 이때의 규범 혹은 다수는 ‘이성애’를 의미한다. 하지만 정말 ‘이성애’가 다수일까. 알 수 없다. 만약 현재의 사회가 강제로 동성애를 정상화하는 사회였다면 자신의 정체성을 고민하기도 전에 자신을 동성애자로 정체화했을 가능성이 더 크다. (실제로 그렇다 아니다, 가 아니라 성정체성엔 사회의 강제적인 억압이 작동한다는 말이다. 또한 지금 가정한 어떤 구조에서도 양성애자나 S/M은 억압 받는다.)
그리하여 문제는 소수자 혹은 약자란 명명 속에 가려져 있는 권력, 즉 성적 소수나 ‘장애’란 기준은 누가 정하며 누가 허락 하는가 이다. ‘이성애’가 다수거나 규범이거나 정상이란 근거는 어디에도 없지만 ‘이성애’를 질문하기 보다는 ‘동성애’자들의 “어려움”, 매트로섹슈얼이나 크로스섹슈얼이 대세라는 말하기로 ‘이성애’나 젠더의 ‘정상’성을 담보하거나 별로 도전하지 않는다. ‘장애’란 명명 역시 마찬가지인데 휠체어를 타야지만 ‘장애’라는 식의 인식을 통해 어디에도 없는 정상적인 몸을 상상하고 자신은 ‘정상’이라고 믿는다.
따지고 보면 정말 ‘소수’인 사람은 이반queer나 트랜스, 비서울지역 출신 사람들이 아니라 “서울대공화국”주의자들, (잠재적인) 예비역 병장들, (서울출신의) 서울지역중심주의자들이다. ‘진짜’ 소수는 권력(과 자원)을 독점하고 하고 있는 사람들이지만 이들을 소수자로 부르지 않는 이유는 뭘까. 이들을 다수인 것처럼 착각하는 이유는 뭘까. 이런 소수 권력자들을 지지하고 이런 지지를 통해 자신에게도 권력이 있거나 자신은 ‘정상’이라는 착각으로 ‘안심’하고 사는 사람과 이런 환상에 도전하며 다른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 중 약자라면 누가 약자일까. 이른바 “약자”로 불리는 사람들은 실상 협상력을 통해 (침묵하며) 생존하고 있거나 발화하고 있는데 어떻게 “약자”일까.
그래서 소수자란 명명도 약자란 명명도 모두 불편하다. 누가 ‘여성’인지 누가 ‘남성’인지 조차 알 수 없는 상황에서 누구를 소수라고, 누구를 약자라고 부를 수 있는지 모르겠다. 루인은 루인의 비’이성애’ 정체성 등, 이른바 타자성을 통해 종종 (특정 공간에 한정하지만) 더 많은 권력을 획득하기도 하는데 소수자/약자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