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식이 중산층 특권이라고?

01. “생물학이 운명이다”란 말을 접한 적이 있다. 페미니즘에선 조금 ‘유명’한 말인데, 이 말을 통해 젠더차별을 정당화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남자는 원래 이렇고 여자는 원래 그래”라는 식의 언설들이 모두 “생물학은 운명이다”란 말과 닿아 있다. 그래서 이 말에 대항하며 나온 말이 “생물학은 운명이 아니다”이다. 어떻게 읽으면 유용할 것 같지만, 별로 재미없는 말이다.

루인이라면, “그래, 생물학은 운명이다. 그런데 네가 말하는 생물학과 운명은 어떤 의미냐?”고 묻겠다. 루인의 입장에서도 “생물학은 운명이다.” 루인에게, 운명이란 고정되고 이미 결정된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구성해가는 것이다. 생물학도 그렇다. 과학이라는 것은 “객관적이고 이성적인 논리의 집합체”가 아니라 그 시대의 요구에 따라 얼마든지 내용이 바뀐다. 머리의 크기가 지능을 결정한다, 뇌의 크기가 결정한다, 신이 인간을 창조했다, 연금술로 황금을 만들 수 있다 등등 어떤 시절엔 모두 과학적 사실이었다.

“무엇은 무엇이다”, 란 식의 언설에 “무엇은 무엇이 아니다”란 식으로 대답하는 걸 들으면 참 재미없다. 어떤 식으로든 의미는 있지만, 상대방의 전제를 고스란히 인정하기는 마찬가지다. “생물학은 운명이다”란 말이나 “생물학은 운명이 아니다”란 말이나 둘 다, 생물학과 운명에 대한 내용은 별로 다르지 않다. 그래서 이런 식의 논의는 재미가 없다. 에로틱한 자극이 없으니까.

[#M_ +.. | -.. | 문답이어받기를 하며 15번 대답으로 하고 싶었던 말은, 좀더 자극적이었으면 좋겠다가 아니라 좀더 에로틱하면 좋겠다, 였다. 힛._M#]

02. “채식주의자들은 중산층의 계급적인 특권 문제가 있다”는 말을 자주 접한다. 채식을 선택할 만한 경제적 여유가 있다는 얘기다. 오랫동안 이 말에 어쩌지 못했다. 아주 틀린 말은 아니기 때문이다. 요즘 유행처럼 번지는 채식을 접하고 있으면 돈이 없으면 채식이 불가능한 것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바로 이 지점이 문제였다. 루인이 범한 착각은, “채식주의자들은 계급적 특권 문제가 있다”고 말하는 바로 그 사람이나 정말 계급적 특권을 가져서 채식을 하는 사람들과 루인의 계급을 무심결에 동일한 것으로 간주했다는 점이다. (채식에 모종의 반감을 드러내며 이런 말을 한 사람들은 하나같이 대학교수 등의 중산층 계급이었다.) 쳇, 루인은 중산층이라서 옥탑방에서 생활하고 한 달 생활비를 50원 단위로 계산한단 말이냐.

채식을 중산층의 특권적인 문제라고 말하는 것은, (자발이든 비자발이든) 지구 상 인구의 70%가 채식을 한다는 사실을 무시하는 언설이다. 당연히 이런 통계자료는 채식 내부의 계급, 젠더 등의 다양한 차이를 비가시화한다는 문제를 가진다. 하고 싶은 말은, 소위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웰빙 채식과 젠더차별로서의 채식, 관계를 고민하는 지점에서의 채식, 동물권을 말하는 이들의 채식 등 채식과 채식주의 내부의 다양한 차이를 지우고 화자의 편견으로 채식을 획일화 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니, “당신이 전제하고 있는 채식이 도대체 어떤 건데?”라고 되물었어야 했다. (아, 억울해. 으으으, 너무너무 화나!! 왜 이제야 깨달은 것이지, 바보바보바보.) 혹시 [슈퍼 사이즈 미]에서처럼, 젠더화된 채식과 이성애주의로 점철된 그런 채식을 상상하고 있는 건 아닌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영화에서, 채식을 하는 ‘여자’친구가 주인공 ‘남자’를 챙겨주는 식으로 그리고 있다.)

페퍼민트의 효능…?

밀가루 음식을 좋아하지만 위장이 약해서 밀가루 음식을 먹고 나면 종종 속이 쓰리다. 몸에 열이 많아서 인지, 찬 음식에 속하는 면류를 좋아하지만 악순환으로 속이 쓰린 날이 많다. 그래도 어쩌랴. 좋아하니 먹어야지. 큭큭.

위장은 많이 안 좋은 편인데, 같은 음식을 먹고 혼자서 급성위염에 걸리기도 했다. 우스갯소리로 사주팔자에도 위장이 안 좋다고 나온다나. 흐흐;;

일주일 전 즈음, 장보러 갔다가 우연히 허브차가 있는 코너에 갔다. 항상 가는 마트임에도 허브차를 파는지 몰랐었다. 그냥 돌아다니다가 우연히 닿은 샘이다. 좋아하는 음식도 건강에 좋다면 안 먹는 ‘이상한’ 루인이지만, 그냥 무난하게 마실 차를 살까 하고 고르다가 페퍼민트가 끌렸다. 허브에 대해서야 전혀 모르니 그냥 끌리는 것으로 샀다.

玄牝으로 돌아와 검색을 하니, 오호라, 두통과 위장병에 좋다고 한다(초등학생 1학년 때부터 편두통을 앓았다). 역시 몸이 알고 골랐구나, 했다. 귀찮으니 자주 챙겨 마시지는 않고 떠오를 때마다 마시곤 했고 이 마저 귀찮아서 찻주전자에 티백을 넣어서 두 컵 분량을 한꺼번에 우려내서 마시곤 한다.

우연이었다. 국수를 삶으며 페퍼민트를 우려낸 차를 한 컵 정도 넣은 것은. 국물을 만들며 찻주전자에 남아 있던 차를 같이 넣어서 물을 끓였다. 그렇게 먹은 저녁 혹은 밤, 속 쓰림이 전혀 없었다! 그날은 무심히 넘어갔다. 그냥 그런가보다 했다. 다음 날 다시 그렇게 했는데, 여전히 속 쓰림이 전혀 없는 것이었다. 오호라!!! 열광할 만한 일이다. 밀가루 음식이나 면류를 좋아하면서도 위장이 약한 루인 같은 인간에게 이 보다 좋은 일이 어디 있으랴. 으히히히히

더디고 더딘 글쓰기

지난해 11월, 한 편의 글을 준비하고 있는데 너무 안 써진다는 얘기를 적었었다. 그리고 두 달이 넘는 시간이 지났다. 불평을 한 후, 곧바로 초고를 완성했지만, 완성한 초고를 매일같이 가지고 다니면서도 두 달 넘게 방치했다는 건, 그 만큼 쓰기가 쉽지 않았다는 의미일 것이다, 라고 적으면 좋게 해석한 것이고 사실은 그 만큼 게을렀다는 의미이다;;;

지난 3일 첫 모임을 가진 후, 10일부터 시작한 세미나와 그 세미나를 위한 발제문을 쓰면서, 외면하고 있던 초고를 다시 꺼냈다. 채식 혹은 채식주의에 관한 글이다. 발제문과는 방향이 좀 다른데, 지금의 루인에겐 문제가 있는 구절들도 많이 있더라. 약속이 있었지만 그 약속을 취소하고 초고를 꺼내 워드작업을 했다. 빠르면 일주일 안에 이랑에 올리지 않을까 싶다. 물론 [Run To 루인]에도 올리겠지만. 아마 이곳에 먼저 올리고 이랑엔 하루 정도 늦게 올릴 계획이다. 그간 이곳에 쓴, 채식 관련 글 중 몇을 고쳐서 무려 3부작으로 올릴 계획을 세우고 있다. 뭐 이렇게 쓰면 그 글을 기다리는 사람이 있다거나 뭔가 읽을 만한 내용이 있을 거란 오해를 줄 수도 있지만, 전혀 그렇지 않다. 그냥 시시한 글인데 두 달 만에 꺼냈다는 사실에 혼자 좋아하고 있을 뿐이다.

참, 그 중 두 편 정도는 아슬과 공동작업이다. 어떻게 할지 확정하지는 않았지만, 아슬의 도움이 컸다. 고마워요.

이렇게 쓰곤, 수정하고 올리는데 또 두 달 걸리는 거 아닌지 몰라. 크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