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젠더로 산다는 건 참 고단한 일이다

늘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의료적 조치를 하지 않은 트랜스젠더로 산다는 건, 참으로 피곤한 일이다.

숙박하는 행사에 참가하기로 했다. 방 문제와 샤워시설 문제로 참여하지 않을까 했지만 준비하시는 분들의 고생으로 어떻게 ‘해결’되었다. 그 분들에겐 고마울 따름이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트랜스젠더가 아니라면 하지 않을 고민을 해야 한다는 건, 인식론적 특권이라고 말하기엔 때때로 그저 고단한 일이다. 그냥 귀찮은 일이고 피곤한 일이다. 그래서 행사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말하려는 유혹에 시달렸다. 여러 선생님의 노력과 고민으로 내가 참가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게 또 나 혼자 특권을 누리려는 것인지, 괜히 까탈스럽게 구는 것인지…와 같은 고민도 함께 든다. 그냥 나만 참가하지 않았다면 누구도 고단하지 않았을 텐데 내가 괜히 참가한다고 했구나 싶다.
그리고 나의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해결된 것은 아니다. 모든 시설이 젠더 이분법으로 분명하게 나뉜 현실은 여전하다. 그냥 나만 예외다. 그렇다고 이것을 행사 주최측에 불만으로, 문제점으로 제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이번 행사에서 문제제기할 대상은 주최측이 아니라 막연할 수밖에 없는 이 사회다. 모든 인간을 여성 아니면 남성으로 확고하게 나누는 이 사회다. 그래서 문제제기를 할 수도 없다.
이번만이 아니라 의료적 조치를 하지 않기로 선택한 트랜스젠더로 살면서 고단함을 겪을 때마다 ‘확 호르몬 투여라도 해버릴까보다’라는 고민을 한다. 호르몬 투여가 충동으로 하기엔 쉽지 않은 일이란 걸 알면서도 이런 고민을 한다. 물론 호르몬 투여를 선택하진 않는다. 악착같이 쉰까지는 의료적 조치를 하지 않는 트랜스젠더로 살면서 까탈스럽게 살겠다고 다짐한다. 고단하다면서 이렇게 살겠다고 다시 다짐하는 나도 참 악취미다. 하지만 요즘 들어 쉰이 넘었을 때 의료적 조치를 시작하면 어떨까란 고민을 아주아주 가끔 한다.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다. 내일 무슨 일이 생길지도 모르는데 50살에 내가 어떻게 행동할지 어떻게 예측할 수 있으랴. 그냥 가끔 이런 상상만 한다. 혹은 죽을 때까지 의료적 조치를 하지 않고 살 수도 있다(이게 자연사일지 사고사일지는 모를 일이지만).
참, 그런데 난 트랜스젠더인데다 채식도 한다. 최악이다. 크크크크크크크크. ㅡ_ㅡ;;
(사실 이 두 가지 범주보다 내 성격이 나쁘다는 게 더 큰 문제긴 하다. 으하하하 ;;;;;;;;;;;;;; )

캠프 트랜스: 이태원 지역 트랜스젠더의 역사 추적하기, 1969~1989

소문만 무성했던(응?) 원고 “캠프 트랜스”가 출간되었습니다! ;;;;;;;;;;

이태원 지역 트랜스젠더의 역사를 추적 혹은 추정한 논문입니다. 과거 기록을 발굴하고 그것을 토대로 상상력을 펼친 작업이랄까요.. 논문 자체엔 부족한 점이 많지만 인용한 자료를 읽는 재미는 있을 거예요. 하하.
파일 및 서지사항은 “writing” 메뉴에서 찾으시면 됩니다. 🙂

비혼여성 정책 관련 아이디어 모집! [굽신굽신…]

어쩌다보니 서울시 비혼여성 정책 마련을 위한 간담회에 참가하기로 하였습니다. ㅇㄹ와 전화할 때만 해도 꼭 참가해야겠다고 다짐했지만, 며칠 지난 지금 ‘내가 왜 그랬을까…’ ㅠㅠㅠㅠㅠ
암튼 mtf/트랜스여성 맥락에서 간담회에 참가하기로 하였습니다. 담당자와 (저를 모르는)다른 참가자에게 저를 설명하는 것이 더 어려운 문제일 수도 있겠지만요.., 크크 ;;
제게 필요한 정책은 집을 무상 혹은 매우 싼 가격에 임대받을 수 있는 것, 그리고 캣맘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는 거주 환경을 갖추는 것이 거의 전부예요. 전자의 경우, 주민등록번호가 조건이 될 경우 많은 트랜스여성을 배제하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언급할 수 있는 기회가 되겠지요. 즉, 정책에서 mtf/트랜스여성을 배제하지 않는 방식을 얘기할 수 있는 자리로 여기고 참석하려고요.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불충분하지 않을까요?
(캣맘은 단순히 비혼만의 이슈는 아니고 노인층과 더 관련 있는 이슈로 말하겠지만요… 제 아이디어는 아니고 다른 분의 아이디어입니다.)
도움을 요청합니다!
트랜스여성으로서건 비트랜스여성으로서건, 장애여성으로서건 비장애여성으로서건, 비이성애여성으로서건 이성애여성으로서건, 인종 맥락에서건 나이 맥락에서건, 그 어떤 다양한 맥락에서건 이런 정책은 꼭 있으면 좋겠다 싶은 것, 평소 비혼 ‘여성’으로 살면서 이런 정책은 정말 필요하다 싶은 것이 있으면 댓글 부탁해요. 가서 얘기할 게요.. 모든 의견이 반영되진 않겠지만 그래도 다양한 의견이 전달된다면 그 중 한두 가지는 반영되지 않을까요? 아하하..
(사실 많은 의견 중에서 트랜스젠더 맥락이 가장 반영 안 될 것 같지만요..)
귀찮으시겠지만 아이디어 부탁해요!!
+
한 지인은 혐오가 없는 공동체를 제안했습니다. 괜찮더라고요. 만나기만 하면 인사랍시고 결혼하라고 말하는 이웃이 없는 마을이나 아파트, 내가 무슨 변태건 혐오폭력을 행사하지 않는 그런 공동체. 공동체 구성도 좋지만 혐오가 없는 것이 매우 중요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