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미녀는 괴로워, 트랜스젠더

01
필수 한 과목에 선택 두 과목(인문학+사회학)으로, 총 세 과목의 종시과목 중, 인문학으로 선택한 과목은 당연히 루인의 지도교수에게서 들은 수업이었다. 선생님은 두 문제를 출제했는데, 하나는 페미니즘 문학 비평사를 개괄하는 것으로, 영미페미니즘 논의와 프랑스 페미니즘 논의를 중심으로 전개하는 것이었다. 다른 하나는 개별 작품을 분석하는 것. 두 번째 문제의 작품들은, 루인이 직접 선택하고 선생님께 승인받는(괜찮은지 안 괜찮은지의 여부) 걸로 했다. 그래서 선택한 작품이 매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버지니아 울프의 [올란도], 쟈넷 윈터슨의 [육체에 새겨지다]였다.

의도하지 않게 세 작품 모두 영국출신의 작가들이었고, 그 중 윈터슨은 다른 작품을 선생님 수업시간에 다룬 적이 있고, 울프는 직간접적으로 수업 내내 언급하지 않을 수 없었던 작가였고, 매리 셸리는, 뒤늦게 깨달았는데, 선생님의 전공인 낭만주의 작가였다. -_-;; 아무려나 각각의 작품에서 젠더수행을 어떻게 재현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춰서 분석을 했고, [프랑켄슈타인]은 트랜스젠더 혹은 신체변형/외과수술을 통해 구성한 몸이란 주제로 접근했다.

02
영화 [미녀는 괴로워]에서 한나의 전신성형을 집도한 의사, 이공학은 아내와 잠자리에 드는 걸 두려워하는 인물로 나온다. 아내 역시, 한나처럼, 이공학에게서 전신성형수술을 받았고, 바로 이런 이유, 즉 전신성형수술을 한 몸이란 이유로 이공학은 아내와 접촉하는 걸 무척 두려워한다. 성형수술의사이지만 성형한 몸-외과적으로 구성한 몸을 두려워하거나 끔찍하게 여기는 셈이다. 신체변형과 관련한 두려움은 역사적으로 오래되었지만, 특히나 근대에 들어 사회에 적합한 노동하는 몸을 만들면서 신체를 훼손하는 것 자체가 범죄가 되고 두려움과 혐오의 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실제 신체훼손이나 자해는 정신병 진단목록에 올라 있고, 정신병원에 감금되기도 한다.

트랜스젠더를 향한 혐오의 상당 부분도 이러한 신체변형에 기인하는 측면이 있는데, 이런 혐의는 적지 않은 사람들이 “꼭 수술을 해야 하나요?”, “왜 멀쩡한(건강한) 몸을 바꾸느냐”와 같은 말들에서 읽을 수 있다. 인터넷리플을 통해 드러나는 하리수를 향한 혐오 역시 이러한 맥락에 있고.

소설, [프랑켄슈타인]에서 창조물/괴물을 향한 공포와 혐오 역시 이러한 맥락에 있다고 느꼈다. 셸리가 이 소설을 쓴 시기는 근대합리성과 이성중심주의, 동시에 낭만주의가 공존하던 시기였고, 창조물/괴물은 여기저기서 모은 재료로 덕지덕지 “땜질”해서 만든/구성한 존재이다. 이렇게 외과적으로 구성한 몸이란 것,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몸이라는 인식이 창조물/괴물을 공포로 여기게 한 것은 아닐까 하는 고민을 했다. 물론 이 소설을 “공포”소설로 부른다면, “공포”가 발생하는 다른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그 중 하나는 창조물/괴물의 탄생 배경일 거라고.

03
종시를 위해 이 책을 다시 읽으면서 새삼 깨닫고 감동한 구절은, 다름 아니라, 창조물/괴물이 주장하고 요구하는 단 한 가지는 “행복”이다. 행복해지고 싶어서 사람들에게 다가가 말을 걸고, 행복해지기 위해 빅터 프랑켄슈타인에게 자신의 파트너를 만들어 달라고 요구한다. 그저 행복해지길 바랐을 뿐이지만, 이런 바람이 창조물/괴물에겐 “과도한 욕망”으로 간주되었다. 그래서 슬펐다.

04
선생님과 구술시험을 보다가 배운 것 하나. 매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은 여러 면에서 콜리지(Samuel Taylor Coleridge)의 시, “The Rime of the Ancient Mariner”와 닮았다고 한다. 콜리지 시의 내용을 인용/차용하고 있기도 하단다. 그래서 현재 복사한 상태. 언젠간 읽겠지. 흐흐.

가족이란 고민

이번 학기엔 수업을 한 과목만 듣는다. 어찌어찌하여 선택한 과목은 가족과 관련한 수업인데, 수업에 들어가기 전 이 수업을 통해 무엇을 고민할까를 고민했다. 보통 수업 첫 날 선생님들이, 이 과목을 듣게 된 이유를 물어보기에 그에 적절한 답변을 모색하는 거기도 했지만, 그런 과정과는 별도로 어쨌든 이 과목을 듣기로 했다면 이 과목에서 어떤 고민을 하고 어떤 배움을 얻을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었다. 하지만 그렇게 많은 고민은 필요 없었다. 주제어는 “트랜스젠더/퀴어와 가족”으로 어렵지 않게 잡았다. 그러면서 트랜스젠더들에게 가족이란 어떤 의미인지, 가족구성권이란 어떤 의미인지를 고민해야지 했다. 이런 고민을 기말 논문으로 풀어내면 좋겠다는 안일함도 있었다.

지난 토요일(9월 1일) “우리, 여기에, 함께”의 기획으로 개최한 포럼인, “한국에서 성적소수자의 가족으로 산다는 것“에 다녀왔다. 다녀온 후 고민이 한층 많아졌다는 점에서, 확실히 잘 간 것 같다. 포럼에서 사람들의 얘기와 고민을 들으면서, 확실히 주제에 대한 고민이 짧았다는 걸 새삼 깨달았으니까. 그래서 아쉬운 건, 어제인 일요일에도 다른 행사가 있었는데 결국 못 간 거. 가고 싶었지만 발등에 불인 걸 어쩌랴.

대학원에 입학하기 전후 즈음의 시기에 사람들과 만나서 루인의 관심 주제를 얘기할 때면, 적지 않은 사람들이 부러워했다. 루인에겐 확실한 주제가 있다고. 그런 말과는 별도로 스스로도 확실한 주제가 있다고 자만한 시절이 있다. 웃기게도 그때 얘기했던 주제는 기껏해야 “트랜스젠더/퀴어와 관련해서 쓰려고요” 정도였다. 지금에야 이런 말이 코미디에 가까운 발언인 걸 알지만(국문과에 입학하면서 “소설과 관련해서 쓰려고요”라고 말하는 것과 다를 바 없으니까) 그땐 정말 이 정도면 쓸 수 있을 것만 같았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이런 믿음이 한 달을 못 갔다는 거랄까. ㅜ_ㅜ

가족과 관련해서 글을 쓰겠다고 했을 때의 고민 역시, 이와 같음을 깨달았다. 그러니까 트랜스젠더/퀴어와 가족의 어떤 지점을 고민하려는 건지 더 깊이 있게 고민하지 않았음을 깨달음과 동시에, 이렇게 막연하게 주제를 잡고 있었던 건 하고 싶은 얘기가 너무 많다는 깨달음. 제도적인 가족구성권, 부모를 비롯한 가족에게 자신을 얘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황들, 얘기를 한다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얘기를 하겠다고 결심하고 얘기하는 과정은 어떤지, 얘기를 하지 않겠다고 했을 때의 과정은 어떤지, 이런 얘기를 들은 가족들의 반응과 이런 얘기를 가족들은 어떻게 경험하는지, 한국사회에서 친족어들은 성별이분법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트랜스젠더라고 커밍아웃을 한 후 가족과 친족들 사이에서 이런 호칭은 어떤 식으로 바뀌고 있는지(지금까지 불렀던 방식으로 부르는지, 다르게 부르는지, 계속 헷갈리는지, 의도적으로 섞어 사용하는지 등등) 등등. 또한 아들로서의 경험을 얘기한다는 것이 곧 자신을 “남성”으로 설명하는 건 아니고, 딸로서의 경험을 얘기한다는 것이 곧 자신을 “여성”으로 설명하는 것도 아닐 때, “남성”/”여성”으로만 구분하는 가족관계에서 자신을 “여성”/”남성”이란 식으로 구분하지 않는 트랜스들은 어떻게 협상하고 있는지, 혹은 “남성”/”여성”이란 식으로 자신을 얘기하는 트랜스라고 해서, “딸”(ftm의 경우)/”아들”(mtf의 경우)로 자신을 설명하기도 하고 “딸”(ftm의 경우)/”아들”(mtf의 경우)로 행동해야 하는 상황에서의 경험들을 마냥 부정하는 건 아니란 점에서 젠더화된 가족/친족 관계에서 트랜스젠더들은 어떻게 협상하는지, 등등.

기말레폿 수준에서 모색하기엔 하나 같이 다 하고 싶은 말이 너무도 많은 얘기들이다. 하지만 좀 더 하고 싶은 얘기로 쓰겠지(좀 더 하고 싶은 얘기란 후자의 두 가지).

아무튼, 토요일에 참가한 포럼은 일정 간격으로 계속해서 개최하는 행사가 되면 좋겠다.

“난 트랜스는 아니지만 트랜스로서 살아가며 여러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

“난 트랜스는 아니지만 트랜스로서 살아가며 여러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 란 말을 어떻게 하면 모순이 아니라고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중얼거렸다. 어제 오후 뜨거운 태양 아래서 걷다가.

앞의 “트랜스”와 뒤의 “트랜스”가 다른 의미라고 얘기하면 되지 않으냐고 말할 수도 있을 테다. 앞의 “트랜스”가 한 개인의 정체성을 “트랜스”로만 환원해서 나이도 초월하고 학벌이나 학력, 계급이나 계층도 초월한 존재란 의미라면, 뒤의 “트랜스”는 한 개인의 부분적인 상황을 의미하는 거라고. 하지만 “난 트랜스는 아니지만 트랜스로서 살아가며 여러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라고 중얼거렸을 때, 앞의 “트랜스”와 뒤의 “트랜스”는 거의 비슷한 맥락과 의미였다.

어떤 사람은 성전환수술을 하고 호적상의 성별정정을 했지만 자신은 트랜스가 아니라고 얘기한다. 물론 다른 사람들은 이 사람을 “넌 트랜스젠더야”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본인이 아니라고 하는 상황에서 이 사람에게 트랜스라는 범주/정체성을 덮어씌우는 건 곤란하다. 이럴 때 이 사람은 “난 트랜스는 아니지만 트랜스로서 살아가며 여러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라고 얘기하겠지. 하지만 “난 트랜스는 아니지만 트랜스로서 살아가며 여러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란 말이 모순이 아니라고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라고 중얼거렸을 땐 단지 이런 상황만을 염두에 둔 건 아니다.

나의 직관에선 너무도 자명한데, 다른 사람에겐 자명하지 않을 뿐 아니라 모순이거나 말도 안 되는 거라고 여겨져서 많은 설명이 필요로 한 상황이 종종 발생한다. “난 트랜스는 아니지만 트랜스로서 살아가며 여러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란 말도 이런 상황인 걸까?

“난 트랜스는 아니지만 트랜스로서 살아가며 여러 불편을 경험하고 있다란 말이 모순이 아니라고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란 말을 조금 바꾸면, 트랜스젠더(transgender)는 아니지만 트랜스젠더화된(transgendered) 상황에 있는 이들의 경험을, 성별이분법으로 환원하지도 않고 트랜스/젠더 이론으로 얘기하지도 않으면서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가 될 것 같다. 물론 조금 다른 의미긴 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