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리카와 바람 일기: 화장실하이, 건강

01
화장실하이라는 게 있다. 아는 사람은 알겠지만, 고양이는 화장실에만 갔다 오면 기분이 고조되는 경향이 있다. 고양이마다 고조된 기분을 표현하는 방법은 다르다. 바람은 그나마 얌전한 편이다. 평소엔 정말 정신없이 왔다 갔다 한다. 내가 조금만 움직여도 이리 우다다, 저리 우다다. 하지만 화장실에 갔다 오면 그냥 조용한 편이다. 반면 리카는 정말 정신없다. 평소엔 어떤 일에도 무심한 편이다. 얌전하고 조용하고 세상에 이렇게 순한 고양이가 있을까 싶다. 하지만 화장실만 갔다 오면, 우다다 달린다. 세탁기 위로 뛰어올라갔다가, 방과 부엌에서 우다다 달렸다가, 창턱으로 올라가 창틀을 박박 긁었다가. 이리 부딪히고 저리 부딪히면서도 우다다 달린다. 살짝 무서울 정도다.
근데 리카가 달리면 바람도 덩달아 달린다. -_-;; 둘이 우다다 달리면 파장이 크다. 어느 정도냐면, 무거운 겨울 이불을 바닥에 떨어뜨릴 정도. 아놔…
02
길에서 집으로 들어온 고양이는 건강하다는 말, 사실인지도 모른다. 아주 어릴 때말고 길에서 몇 달 살다가 집으로 들어온 경우엔 더욱 그러한 듯하다.
엄마고양이 리카는 늘 건강하다. 성격이 참 순해 집이 아니면 길에서 어떻게 살았을까 싶을 때도 많다. 바람이 리카를 괴롭히면, 리카는 화를 내지면 결코 때리지 않는다. 그냥 위협만 한다. 위협이 안 먹히면 우에엥, 울면서 자리를 피한다. 이런 모습을 보며 길에서 살았다면 힘들었겠다 싶지만, 어디 아픈 곳 없으니 길에서도 잘 살았겠다 싶기도 하다. 아니, 태생이 건강하여 길에서 살아 남은 것일까?
이제 아홉 달인 바람은 발랄한 고양이다. 더 어릴 때부터 엄마와 싸웠고, 싸움에도 쉽게 밀리지 않았다. 한 성격한달까? 흐. 자기보다 덩치가 큰 고양이(=리카)에게도 이기려 드니, 길에서도 잘 살았을 거 같다. 하지만 길에서 태어나 살았다면 벌써 운명을 달리했으리라. 다름 아니라 결석때문이다. 방광결석으로 다섯 달일 때 병원에 갔다 온 적이 있다. 그나마 집에서 사니 어느 정도 치료할 수 있었지, 길이라면? 결석을 예방하거나 치료에 효과를 보려면 물을 많이 먹어야 한다. 하지만 길에서 가장 구하기 힘든 것이 물이다. 많은 길고양이가 물이 적어 고생하잖은가. 그러니 바람이 길에서 살았다면 어땠을까? 상상하고 싶지 않다.
부디, 두 아이 모두 죽을 때까지 어디 아프지 않기를.

2010, 연말정산

00 (정산하기 전에..)
아침에 일어나니 부엌이 물바다. 으헉. ㅠㅠㅠ 장마철도 아니고 한 겨울 물바다라니 이건 무슨 일인가 했지만 금방 이해했다.
지금 사는 집으로 이사올 때부터 싱크대 호스에서 물이 조금씩 샜다. 그걸 바로 고쳐야 했는데, 내가 싱크대를 사용할 일이 거의 없어 그냥 방치했다. 사용하지 않으니 별다른 일도 없었다. 근데… 요즘 날씨가 추워 수도꼭지를 살짝 틀어 물이 조금씩 흐르도록 했더니 그게 물바다를 만든 듯하다. 엉엉.
아침부터 부엌 바닥 물청소했다. 크크. ;ㅅ;
01
두 개의 굵직한 알바를 했다. 하나는 헌책방, 하나는… 비밀. 아무려나 알바 덕에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 수 있었다. 덧붙여 내년 초에 할, 두 달 단기 알바 구했다. -_-;; 일단은 두 달 계약. 근데 난 알바자리를 구하는 게 늘 얼렁뚱땅이라 당혹스러울 때가 많다.
02
유섹인 활동은 끊임없이 재정비 기간이고, 나는 어쩌다 사무국장인지 총무간사인 모를 직책과 연구팀장이란 직책을 겸하고 있다. 엉엉. 정심여자정보산업학교(안양소년원) 인문강좌는 그럭저럭 끝났고, 2년차 프로젝트는 떨어졌다. 하지만 내년엔 더 바쁠 듯.
퀴어락 운영위원 활동도 2년차. 퀴어락은 내년까지 정비기간이라, 확정할 일이 많다. 생전 처음하는 일이라 낯설고 어렵지만 즐겁다. 자료를 모으고 정리하는 일만큼 재밌는 일이 어딨으랴.
그리고 능력도 안 되는데, 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아카데미 기획팀에 합류했다. 이런 나를 불러줘서 고마울 따름! (2011년 겨울 강좌도 기대하세요!)
03
발표원고 포함 원고를 11편 정도 썼다. 나쁘지 않다. 다만 특정 시기에 몰려서 난감했달까. 내년엔 더 많은 기회가 있기를!
쓴 원고 중, 한 편은 책자형태로 최근 발간되었다(http://goo.gl/VQv4g). 두 편은 내년에 다른 분들과 함께 단행본으로 출간될 예정이다. 발표원고 중 하나를 바탕 삼아, 내년 말 즈음 공저 단행본이 하나 더 나올 수도 있고.
아는 것도 없고 바탕도 없는데 이렇게 출판만 계속하니 부끄러울 따름이다.
04
올해의 사건은, 역시나 고양이다. 2월에 연락해서 3월 5일 임신한 길고양이와 동거를 시작했다. 생전 처음 고양이와 살면서 임신한 고양이라니! 4월 7일부턴 엄마고양이 + 여덟 아깽과 동거했고, 어느 한 아이 죽지 않고 무사히 새로운 집으로 떠났다. 이제 남은 건 리카와 바람. 아기에게 결석이 생기기도 했지만, 건강한 두 녀석은 지금 이불 위에서 닮은꼴로 자고 있다. 많이도 말고 딱 30년만 같이 살자. :0
05
책은 많이 못 읽어 아쉽지만, 재밌는 논문을 여럿 읽었으니 나쁘지 않다. 물론 공부하는 사람으로선 턱없이 부족한 양이다. 더 분발할 것!
06
내년엔 바라는 일이 이루어지길! 🙂

땡스 투… 글 홍보;;

01
최근 대략 두 달 동안 원고지 500매가 넘는 분량의 글을 썼습니다. 뭐, 아직 완전히 마무리한 건 아니지만…;;;
그 글 중 일부에 쓴 ‘감사의 글’ 모음…

ㄱ.
이 글의 초기 형태는 『계간 자음과 모음』 2009년 겨울호에 실렸다. 그리고 그 원고를 실을 꿍꿍이속이었다. 하지만 서문에도 나와 있듯, 기획의도가 바뀌어 계간지 원고에서 “01 몸의 외과기술적 구성”만 수정보완하는 수준에서 살렸다. 새롭게 추가한 부분의 일부는 아예 새로 썼고, 나머지 일부는 예전에 쓴 미간행원고를 밑절미 삼았다. 글을 쓰고 출판하는 데 있어, 과거의 원고를 활용하는 건 좋은 태도가 아니다. 비록 밑절미로만 삼고 상당 부분 수정했다고 해도 마찬가지다. 다만 그 내용이 그냥 묻히기엔 아쉽고 밑절미 삼은 원고를 읽은 이가 스무 명 남짓이라 용기를 냈다. 이 글을 읽는 분들께 죄송하다. 아울러 이 글을 쓰는 과정에서 도움을 준 모든 분들께 고마움을 전한다. 나의 리카와 바람, 떠나간 일곱 아이들에겐 특별한 사랑을 … *방시잇* (근데 똥오줌 싸서 새로 사야 하는 겨울 이불값은 내놔!! *사악*) 그리고…
ㄴ.
이 글의 초안은 2009년 1월에 인쇄했지만, 사실상 비공개 상태인 석사학위 논문의 일부를 밑절미 삼았다. 원고 청탁을 받은 직후만 해도, 젠더를 폭력과 불안으로 논의하는 정도로 글을 쓸 계획이었다. 하지만 2010년 9월 28일, 제22대 연세대학교 총여학생회에서 주최하고 기획한 12회 여성제의 강좌를 들으며, 지금과 같은 형태와 주제로 바꿔야 한다는 걸 깨달았다. 그 강좌의 강사였던 지혜 선생님, 문화제를 진행한 연대총여 기획단 여러분께 고마움을 전한다.
ㄷ.
이 글을 쓰는데 많은 분의 도움을 받았다. 국회 회의록을 읽어야 한다는 사실을 일깨워준 유아(다음에 꼭 같이 글 써요!), 흥미로운 책과 논문을 알려준 당고와 진홍에게 고마움을 전한다. 장애-퀴어 세미나 모임과 나의 나태함을 인내하며 간신히 꾸려가고 있는 TQueer 웹진 구성원들, 그리고 구금시설 관련 공부와 토론을 함께한 진홍과 유섹인이 아니었다면 이 글을 쓸 수 없었다. 이들에게 특히 고맙다. 아울러 이번 기획을 함께 한 분들, 이번 기획의 시발점인 KSCRC(및 아카데미) 활동가들에게도 고마움을 전하지 않을 수 없다. KSCRC 사무실 보증금 마련 프로젝트가 꼭 성공해서 이사하지 않아도 되길!!(http://rcdream.egloos.com/ 참고) 그나저나 … 책에 관심 없는 리카는 그렇다고 해도, 책과 논문에 과도한 관심을 보이며 이빨 자국을 잔뜩 남기면서 정작 글은 안 쓰는 바람은 왜 그러는 것이냐! 고양이면 다냐!! 우냥♡

감사의 글은 그 글과 직접 관련 있는 분들만 언급하니.. 혹시나 이름이 없다고… ;;;
크크크.

주목할 부분은, 두 번째 감사의 글에 고양이 얘기가 없다는 것. 내가 왜 그랬지??? ;;;

02
정말 부끄러운 홍보.
알라딘의 자음과모음 인문웹진에 글을 연재하기 시작했습니다. 매주 수요일과 금요일… 이미 김주희 선생님과 한채윤 선생님이 연재를 하며 많은 좋은 인상을 줬지만 제가 연재를 시작하며 망하기 시작했다는 자평을… 크크. ;;

주소는 http://blog.aladin.co.kr/gender
제가 쓰는 글 제목은 “괴물을 사랑한 규범/불안: 괴물스러운 몸, 화학적 거세, 그리고 의료규범”

제가 만약 박사과정에 들어간다면(요즘 이 부분으로 블로깅 하고 싶은 게 있다지요..) 쓸 논문 주제는 이미 거의 80% 수준에서 정했습니다. 현재 계획으로 주제를 진행한다면, 이번 연재는 미리 정리를 해야 할 그런 내용이죠. 뭐, 그렇다고요.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