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우리는 다 죽는다. 태어나는 순간 죽을 운명으로 살아간다. 허무하단 얘기가 아니다. 인생 덧없다는 얘기가 아니다. 존재에겐 시간이 흐른다는 뜻이다. 우린 언제나 시간을 살아가고 시간을 겪으며 존재한다는 뜻이다. 아무려나 결국 죽는다지만 우리에게 혹은 적어도 내게 죽음은 그리 가깝지 않다. 이제 곧 죽을 거라고 생각하며 인생을 살지는 않는다. 내일 아침엔 잠에서 영원히 깨지 않을 거라고 예상하며 잠들지 않는다. 내일 깨어날 것을 기대하고 이런 기대로 약속을 잡는다. 정말 내일 아침에도 일어날 수 있을지 없을지는 알 수 없지만 깨어날 거란 기대로 살아간다. 그러니 적어도 내겐 나의 죽음이 다소 먼, 막연한 느낌이다.
어머니가 달라졌다. 수술 결과에 따라 생의 갈림길에서 다른 세상으로 갈 수 있다는 직접적 가능성에 직면하며 어머니가 변했다. 그전까지 어머니는, 언젠가 죽겠지만 당장은 아니라고 생각하신 듯하다. 큰 수술을 앞둔 지금의 어머니는 삶을 조금씩 정리하고 있다. 이를 테면 몇 년 뒤에 사용하려고 여기저기에 쟁여둔 생필품을 모두 털어내고 있다. 언니에게, 내게 그 모든 것을 털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이번 수술의 예후가 괜찮다고 해도 또 다른 병이 있으니 어머니로선 삶에 어떤 미련을 조금씩 털어야겠다는 고민을 하시는 듯하다. 지금 살고 있는 집도 정리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는 말씀도 하셨다. 이곳에서 오래오래 살겠다는 기대로 어렵게 구했는데 1년도 안 되어 정리할 마음이 든 듯하다. 당장 무슨 일이 생겨도 놀랍지 않은 상황에서 삶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다.
물론 또 다시, 어머니가 죽기 전에 내가 결혼했으면 하는 바람도 더 강해졌다. 결국 나는 불효를 하겠지만 어머니는 삶의 규범성, 죽음의 규범성을 완수하고 싶은 바람을 더 강하게 품기 시작했다. 서로 이룰 수 없는 욕망과 기대가 엄청 부딪힐 테니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커다란 상처를 주고 받겠지. 어머니는 이제, 내가 언제 죽을지 모르는데 얼른 결혼하라고 할 테고(이미 시작했다) 나는 그 말을 외면하고 스트레스 받으면서 결국 어머니를 괴롭히는 결과를 야기하겠지. 존재 자체로 불효녀/불효자인 나는 어머니에게 계속 상처를 줄 테고 죽음을 앞둔 상황에서 어머니가 느낄 서러움을 강화하겠지.
하지만 어쩌겠는가. 이것은 또 내가 겪어야 할 일인 것을. 어쩌겠는가, 이것이 내가 속해야 한다고 강제된 가족의 문법인 것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