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원고, 남성성과 젠더, 고양이

01

일은 언제나 몰아서 온다. 4월 말까지 정신 없는 일정이다. 아아… 하지만 바쁜 이유의 팔 할은 글쓰는 일이라 좋기도 하다. 헤헷. 마감 없인 글을 쓰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런 강제 마감이 좋다. ;;; 그나저나 나는 왜 어떤 형태의 글이건, 원고청탁 거절을 못 하는 것일까.

02
경향신문에 [남성성과 젠더]의 서평이 실렸다.
한윤정 “[책과 삶]경계를 넘나드는 지식의 ‘전위예술’” http://goo.gl/Fx3SF
출판사에서 보내주는 보도자료를 정리한 것이 아니라, 기자가 책을 다 읽고 썼다. 서평에서 놀라운 점은 주디스 버틀러를 언급한 부분이다.
[남성성과 젠더]의 인용문헌을 확인한 사람은 알겠지만, 누구도 주디스 버틀러를 인용하지 않았다. 그저 본문에서 한 번 정도 언급될 뿐이다. 하지만 [남성성과 젠더]에서 논하는 젠더 개념은 기본적으로 주디스 버틀러의 자장에서 자유롭지 않다. 저자마다 버틀러를 해석하는 방식은 다양하지만, 한 가지 공통점은 버틀러 이후의 젠더를 사용하고 있다. (사실, 버틀러 이후 버틀러 논의에서 자유로운 젠더/퀴어/트랜스젠더 이론을 찾기 어렵지만;; ) 기자는 이 부분을 지적하고 있다. 기자가 어떤 분인지 궁금한 찰나. 흐흐. ;;
+아쉬운 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일간지 서평이란 맥락을 고려한다면!
03
이 와중에도 리카는 옆에서 자고 있고, 바람은 나의 책상다리 위에 올라와 있다. 아흥.

뒹굴거리며 행복 단상

하루 종일 방에서 뒹굴뒹굴. 웹서핑하고 참고문헌 정리하고 책도 읽으며 일요일을 만끽하고 있다. 좋다. 이런 여유. 하지만 마냥 느긋할 수는 없는 나날이다. 바쁜 와중에 일부러 하루 정도 뒹굴거리는 시간을 냈다.
문득 깨닫기를, 내가 행복하다면 그것은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려고 노력하고 있어서가 아니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이 뭔지 안다는 점이다. 요즘 같은 시대에 ‘네가 하고 싶은 일을 하라’는 말처럼 허황한 말도 없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탐색할 시간이 허용되지 않는데,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라니… 그러니 하고 싶은 일이 뭔지 안다는 사실만으로도 복받은 건지도 모른다. 뭐, 이런 세상이 있나 싶지만… -_-;;
1년 전에 쓰고 묵히고 있는 원고를 수정할까 하여 다시 읽었다. 아니, 읽다가 관뒀다. 도저히 못 읽겠다.. ;ㅅ; 참고 읽으려고 해도 읽어줄 수가 없다. 1년 전 이 원고를 읽은 분들에게 존경과 고마움을! 어떻게 읽었을까? 결국 1년 사이 나의 문장과 글쓰기 방식이 조금은 변했다는 뜻이겠지. 그렇다면 다행이지만, 1년 전 원고를 조금 수정할까 하던 바람은 휭, 가버리고 대대적으로 뜯어고쳐야 한다. 우엥..
그래도 좋다. 글을 쓰기까진 참 괴롭지만 글을 쓰는 시간과 퇴고하는 시간을 좋아하니 다행이다. 그리고 이렇게 내가 좋아하는 일이 전업은 아니라도, 꾸준하게 할 수는 있으니 복 받았다. 생계는 알바로 유지하더라도 하고 싶은 일을 꾸준히 하고 싶다. 그 뿐이다.
+
그나저나 하고 싶은 일과 할 수 있는 일의 간극을 좁히는 건 참 쉽지 않다. ;ㅅ;

글쓰기는 끝났지만…

지난 일요일을 기점으로 원고 작업은 대충 끝났습니다. 아직도 더 수정했으면 하는 바람이 있지만, 잠시 쉬기로 했습니다.

참 묘하게도, 저 혼자 정한 마감 시한을 계속 연기했습니다. 끝내기 싫었달까요? 두 달 조금 넘는 시간 동안 200자 원고지 기준으로 대충 500~600매를 썼습니다. 다른 사람의 일이라면, 무리라고 말했을 듯해요. 하지만 ‘루인 & Co.’ 글공장 공장장이 대책 없이 계약을 한 덕분에, 사원만 죽어났습니다. 이 악덕사장!!

하지만 즐거웠어요. 글을 완성해도, 완성하지 않아도 아무래도 상관없었습니다. 글을 쓰고 있다는 점이 좋았으니까요. 아울러 단기간에 여러 편의 글을 쓰면서 주제를 세분화하고, 글마다 조금씩 다른 얘기에 집중해서 쓸 수 있는 기회였으니 저로선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죠. 읽는 사람이야 묘하게 익숙한 느낌이겠지만요. 크. ㅠㅠ

글은 쓰는 과정에서 더 많은 것을 배운다는 말, 글을 쓸 때마다 새삼스러운 사실처럼 깨달아요. 전 제가 무엇을 잘 모르고 있는지, 무엇을 전혀 모르는지, 무엇을 더 공부해야 하는지를 깨달았죠. 제가 얼마나 무식한지도 깨달았고, 제가 글을 얼마나 못 쓰는지도 깨달았고요.

공동원고가 하나 남아 있지만, 공동논문은 보조 역할이니 올해 마감인 저의 원고는 사실상 끝났습니다. 그런데 이 사실이 아쉬웠습니다. 그래서일까요? 조금 더 일찍 끝낼 수 있는 마지막 원고를 계속해서 연기했습니다. ‘한 번만 더 고치자, 그래, 이번 한 번만 더 고치자…’라면서요. 글이라는 게 고쳐도 고쳐도 또 고칠 곳이 나오잖아요. 열 번 정도 고쳤는데, 마지막이란 기분으로 다시 읽으니 또 고칠 곳이 있네요. 그래서 다섯 번 정도 더 고치고, 마지막이란 기분으로 읽으니 또 고칠 곳이 있네요. 제가 글을 워낙 못 쓰니 어쩔 수 없는 일이죠. 고치고 고치고 또 고치니, 그나마 읽을 수 있는 글이 되긴 했습니다. 하지만 부끄러워요. 더 고치고 싶으니까요.

더 고치고 싶다는 바람, 이 바람이 자체 마감을 계속 연기하도록 했습니다. 이 과정이 좋거든요. 이 원고를 끝내면 공허해서 어떡하나 하는 걱정이 앞섰습니다. 끝내고 얼른 놀자는 기대는 없었고요. 하지만 이러다 끝이 없겠다 싶어, 그냥 마무리지었습니다. 만약 단행본이 나온다면, 단행본 작업할 때 다시 고쳐야 하니, 그때 수정하기로 하죠. 하지만 그때 다시 읽으면, 이렇게 못 쓴 글을 공개했다고 자학하겠죠?

원고 작업이 끝났으니 이제 뭘 하냐고요? 원고 작업을 빌미로 미뤄둔 일을 처리 해야죠. 크크크. 많은 일을 지연했거든요. ;;; 사실 지금 이 글은 지난 월요일에 초고를 썼습니다. 그런데 미뤄둔 일을 처리하느라 정신이 없어 이제야 공개하네요. 하하. ;;;

아무려나 원고 작업은 끝났지만, 글쓰기 자체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더 많이 연습하고 더 많이 공부하고 더 많이 놀아야죠. 글은 꾸준히 써야만 느니까요. 🙂

+
내년 일정을 잡고 있습니다.
ㄱ. 유섹인과 프로젝트, 퀴어락은 여전하고요.
ㄴ. 공저 단행본에 실을 글 한 편, 준비하고 있습니다. 주제는 또 다른 남성성.
ㄷ. 작년에 쓴 “이태원 역사 쓰기” 원고를 출간할 방법을 고민하고 있고요(계간지 연재? 단행본 출간? 혼자 망상에 빠져 있습니다 크크).
ㄹ. 아직 누구의 제안도 없지만 원고 하나를 쓸 일이 생길 가능성이 있긴 합니다
ㅁ. 또 다른 세미나(?) 모임에 참여하기로 했습니다만… 이건 꽤나 괴로운 작업일 듯
ㅂ. 기존의 세미나와 글쓰기 모임은 계속해서 진행하지 않을까 싶어요
ㅅ. 글은 부족하지만, 마감은 최대한 지키는 인간입니다. 원고 청탁 환영합니다!! 흐흐. 쓸 수 있는 주제는 잡다하고 조율할 수 있습니다. ( “);; 고료는 걱정마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