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을 쓰고 싶은 바람이…

나는 글을 쓸 때면 늘 괴로워하지만, 글을 쓰고 있을 때도 글을 쓰고 싶다는 바람을 품는다. 내 몸에서 부는 바람. 글을 쓰고 싶다는 이 바람.

아는 사람은 아는 사실인데, 난 원고 청탁을 거절하지 않는다. 미리 차단하는 경우가 아니라면(올 12월까지 마감인 원고 안 받습니다ㅠ 그래봐야 원고를 청탁할 사람도 없겠지만… 크크. ;; 원고청탁을 자주 받는 건 아닌데, 꼭 특정 시기에 몰린달까.. 올해만 해도 상반기에 마감인 원고는 학회발표문이 전부였다), 원고청탁은 다 받는다. 그래서 지금처럼 원고 마감이 몰려 괴로워하면서도, 글을 쓸 수 있다는 기회를 놓치지 않으려 한다. 글을 쓰는 것이 괴롭지만 기쁘기 때문이다.

반면, 강의 청탁은 좀 갈등한다. 강의나 특강을 하는 게 낯설기도 하거니와 영 어색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시간이 맞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면 강의 청탁도 거절하지 않는다. 크크. ;;;

그럼 원고청탁과 강의청탁 둘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당연히 원고청탁을 받을 거 같지만, 강의를 선택할 거 같다. 강의보다 원고에 더 애착이 가고, 원고를 쓰는데 품이 더 들고, 더 괴롭다. 반면 강의는 그냥 사고를 치고 만다. 크. ;; 아울러 강의는 수강생과 곧바로 소통할 수 있어 내가 더 많이 배운달까? 강의를 하고 나면 원고를 쓰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어 좋기도 하다. 그래서 강의가, 원고보다 더 하기 싫은 일이지만, 부담은 덜하달까. 하하;;

마감이 몰려 있어 몰아서 글을 쓰고 있다. 미칠 듯이 달린달까? 머리는 아프지만, 머리에 열이 나니, 예열하는 것만 같다. 예열해서 원고 아이디어가 떠오를 것만 같다.

원고를 몰아써서 좋은 점은, 각 원고마다 주제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달까? 예전이라면 한 원고에 이런저런 얘기를 몰아 넣었다. 그래서 글이 좀 중구난방일 때가 많았다. 하지만 겹치는 시기에 써야 하는 비슷하지만 조금은 다른 주제의 원고 세 편(다섯 편인가..;;)을 쓰면서, 아이디어와 소재를 확실하게 분리하고 있다. 이건 이 글, 저건 저 글.. 이런 식으로. 글을 쓰면서 글쓰기를 배운다. 읽는 사람만 실험 대상이다. 흐흐.

암튼 이런 생활, 두 번은 안 하고 싶지만 언제 내가 원한다고 할 수 있고, 원하지 않는다고 하지 않을 수 있던가? 이런 식으로라도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고 있으니, 이것도 복이다. 🙂

+
오늘 원고 하나의 초고를 완성하고 수정 작업을 하다가, 혼자 흥분했다. “오, 이건 최소한 향후 10년은 널리 인용될 글이야!!”라면서… 크크크.

글을 쓰거나 퇴고를 할 때면, 어느 순간 이렇게 미쳐선, 자뻑에 빠질 때가 있다. 자뻑에 빠지는 찰나가 있으니 글을 쓸 수 있는 것이겠지. 하지만 자뻑도 한 순간. 다음 퇴고 때면 자학의 연속이다. “이건, 너무 진부한 얘길텐데… 남들 다 아는 뻔한 얘기하는 거 같아.. 이건 논리도 없고 뭣도 없고 그냥 헛소리의 연속이야!! ㅠㅠ”라면서. 흑. 오늘 자뻑한 원고는 묵혔다가, 10월 말부터 다시 퇴고할 계획인데, 아마 그때 다시 읽으면 새로 쓰고 싶은 충동에 빠질 게 분명하다. 으하하.

결론: 오늘 자뻑한 원고는 내일 자학할 원고다. (응?)

글을 남긴다는 것

01
2006년 가을, [젠더의 채널을 돌려라] 기획 회의를 하고, 단행본에 실을 글을 쓸 때였다. 경계분쟁 관련 원고의 최초 기획의도는 트랜스젠더, 크로스드레서, 게이의 여성성 비교였다. 하지만 나는 범주와 경계분쟁을 주제로 썼다. 이 주제는 그 시절 내가 하고 싶은 말이었고, 나를 설명하기 위해 꼭 써야 하는 말이었다. 그래서 1차 원고가 나왔을 때, 좀 난감했다. 다행이라면, 다른 원고도 최초 기획 목적과 조금씩 달라 1차 원고를 바탕으로 기획과 전체 흐름을 바꿨다는 것. 크. ;;

난 내가 쓰고 싶은 글, 하고 싶은 말을 했지만 그 말의 독자가 있을지엔 의문이었다. 나는 범주와 경계분쟁 이슈가 중요하다고 판단했지만 나 외에 누가 또 그 말을 필요로할까? mtf를 중심으로 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선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하는 이들이 있긴 했지만, 그럼에도 자신이 없었다. 실제, 에둘렀지만, 너무 이른 주장이 아니냐고 말하는 이도 있었다.

다행스러운 일은, 책의 편집장인 채윤 님의 의견이었다. 내가 쓴 주제가 지금 상당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며 매우 꼼꼼한 논평을 줬다. 무척 고마웠다. 그 논평의 많은 부분을 반영하지 않고, 나의 고집을 세운 건, 지금도 아쉬운 부분이다. 물론 그 덕에 편집장의 말은 어지간한 경우가 아니라면 따르는 게 좋다는 걸 배웠지만. 흐. 편집장은 저자를 제외한 첫 번째 독자이자, 책을 구매할 분들을 염두에 둔 독자이기에 가장 예민한 독자랄까…

그 글을 쓴지 대충 4~5년이 지났다. 물론 출판된 건 2년 반정도 흘렀지만… 책이 얼마나 나갔는지는 모른다. 초판을 500부 찍은 것으로 기억하는데, 초판도 다 안 나갔달까. 그리고 고백하자면 책이 나온 초기를 빼면 그다지 신경도 안 쓰고 있다. 문장이 엉망이고 꼬여 있어 읽기 수월한 글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 쓰라면 전혀 다르게 쓸 텐데,라며 괜히 출판했다 싶을 때도 많다.

그런데… 반응이 조금씩 왔다. 자주는 아니지만, 잊힐 즈음이면 반응이 왔다. 책을 읽은 분들은 대체로 좋은 얘기만 해줬다. 고마웠다. 나를 설명하기 위해 쓰는 언어들이, 받아들이는 입장과 맥락은 다르겠지만, 다른 이에게도 의미가 있다는 걸 깨닫는 건, 너무도 고마운 일이다. 나 혼자 헛소리하고 있는 것이 아니란 걸 알 수 있다는 것만큼 힘나는 일이 어딨겠는가.

비단 그 글만이 아니었다. 가끔이지만, 그래도 나도 잊고 있거나, 잊고 싶은 어떤 글을 잘 읽었다는 말을 들을 때, 그런데 그 말이 단순한 인사말이 아닐 때, 몸둘바를 모르겠다는 느낌이었다. 난 그저 내가 쓰고 싶은 글을 쓰고, 나를 설명하기 위해 애쓴 것 뿐인데, 그 말이 나 아닌 사람들에게도 의미가 있을 때, 보잘 것 없는 내가 할 수 있는 건 고마움을 전하는 것 뿐이다.

어제 연세총여 문화제 자리도 즐겁고 또 고마운 자리였다.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다짐했지만…
원고 지옥 일정은 좀.. ㅠㅠ

02
원고까지는 아니지만, 11월에 발표 요청을 받았다. A4 다섯 장 이상 분량의 원고도 써야 한다. 상식적으로 수락하면 안 되는 일정이다. 근데 주제가 너무 매력적이다. 아니다. 내가 가장 좋아하는 주제다. 그리고 요청 메일을 보낸 분은, 내가 팬질하는 분 중 한 분이고. 그래서 갈등했다. 결국 수락했다. 미쳤다. (변명하자면, 그때 알러지성 비염으로 제정신이 아니었다. 크.) 하지만 정말 하게 될지는 아직 모른다. 행사를 진행하는 곳에서 최종 조율할 테니까. 암튼, 나 정말 미쳤다. ㅠ_ㅠ 그래도 관련 주제를 제대로 발표하는 건 처음이라 했으면 좋겠다는… 헤헤.

좋은 일, 미친 짓 – 글쓰기

01
아아아..!!!
글을 쓰다가 2006년에 해결하지 못 하고 의문으로 남았던 부분을 해결했다. 꺅꺅꺅!!!
물론 자세한 건 글이 나오면 그때… 크.
하지만 탈고하는 과정에서 없앨 수도 있음. 😛
크크.

02
참고문헌을 하나 읽으면서 써야 하는 두 편의 글의 목차를 정리했다. -_-;;
글 한 편을 쓰면서 또 다른 글의 주제와 목차를 잡았다. ;;;;;;;;;;;;;;;;;;
결국 세 편의 글을 어찌어쩌 기획하고 있다.

03
기본 골격만 잡는다는 기분으로 쓴 원고. 사흘 동안 200자 원고지 120 분량을 썼다. 뭐, 그 동안 밍기적거리며 미뤘으니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두 번 할 짓은 아니다. 근데 두 번 더 해야 한다. 크크크. ;;

암튼 골격만 잡은 거니, 보탤 거 보태고 뺄 거 빼면, 대충 비슷한 분량이 나오겠다. 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