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고 친절하게, 글쓰기

오랜 시간 내 글의 유일한 독자는 나였다. 나는 내가 쓴 글을 읽을 유일한 독자였다. 글을 쓰는 데 있어 관건은 내가 어떤 얘기를 하고 싶은가였다. 물론 지금도 내 글의 유일한 독자는 바로 나다. 내가 만족할 수 있는가는 매우 중요하다. 지금까지 한 번도 만족한 적 없지만…ㅠㅠ
아무려나 유일한 독자를 나로 삼으며 쓴 글은 다른 사람과 소통할 수 있는 글이 아니었다. 누군가는 ‘자폐적 글쓰기’라고 했는데 딱 맞는 표현이다. 다른 독자를 염두에 두지 않으니 극소수의 아는 사람만 읽을 수 있고 그 외 사람은 읽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쉽게 쓰라는 말, 친절하게 쓰라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하지만 오랫 동안 나는 내 글의 색깔이란 걸 유지하고 싶었다. 착각이었다. ‘자폐’적으로 쓰는 것이 글의 색깔은 아니다. 글의 색깔을 유지하는 것과 쉽고 친절하게 쓰는 건 별개다.
언제부턴가 쉬운 글쓰기를 좀 더 확실하게 지향했다. 아니, 더 정확하게 말해 단 한 번도 쉬운 글, 독자에게 친절한 글쓰기를 지향하지 않은 적 없다. 내가 애호하는 몇몇 저자는 다들 쉽고 또 친절한 글쓰기를 한다는 점에서 나의 지향점도 그러했다. 그래서 결코 쉽게 쓴 글이 아닌데도 쉬운 글이라고 믿었다. 이것이 문제였다. 그런 깨달음과 함께 의도적으로 쉬운 글을 지향하고 있다. 쉽게, 더 친절하게. 물론 지금도 성공적이진 않다.
쉽고 친절한 글쓰기로 조금씩 변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계기는 독자를 상상하기 시작하면서였다. 이 글의 독자는 누구인가? 결국 관심 있는 사람만 읽겠지만 그럼에도 내가 쓰고 있는 글을 읽었으면 하는 독자는 누구인가? 혹은 이 글이 실릴 잡지의 주요 독자는 어떤 사람인가? 이 지점을 염두에 두기 시작했다. 이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지금도 잘 못한다. 특정 독자를 염두에 두고 글을 쓴다고 하는데도 여전히 헤맨다. 내가 가정하는 독자를 매우 추상적으로 상상하며 과대평가하거나 과소평가하는 문제도 있다. 그럼에도 독자를 상상하기 시작하면서 용어를 사용하거나 설명하는 방식이 달라지는 걸 확연히 깨닫는다.
상반기에 마무리한 몇 편의 원고를 예로 들자. 많은 글에서 ‘이원 젠더’란 용어를 사용했다. 내가 쓴 글에 빠질 수 없는 용어다. 내가 늘 문제 삼는 용어다. 이 용어를 쓰며 어떤 글에선 이 용어의 뜻을 설명하지 않았다. 설명할 필요가 없었다. 적어도 그 글이 실릴 매체의 독자라면 이원젠더란 용어의 뜻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용어를 설명하는데 두어 문장을 할애하고, 그리하여 내가 정말 하고 싶은 얘기를 두어 문장 못 하는 선택을 할 이유가 없었다. 그냥 넘어가면 된다. 하지만 다른 어떤 원고는 달랐다. 그 원고를 읽을 소수 독자는 이원 젠더란 용어가 낯설 사람이었다. 아니, 정확하게 어떤 사람이 읽을지 가늠할 수 없었고, 그렇다면 젠더 이슈 자체를 낯설어 하는 사람이라고 가정해야 했다. 핵심은 이것. 이원 젠더가 아니라 젠더라는 개념 자체가 낯선 독자라면 이 용어와 관련한 간결한 설명을 ‘이원 젠더’란 용어가 등장할 때 함께 제공해야 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엄격하게 설명하면 ‘이원 젠더’만으로 논문 한 편이 나온다. 하지만 이런 자세한 설명은 필요하지 않다. 매우 간결한 설명이면 충분했다. ‘이 세상 모든 사람을 여성 아니면 남성으로 인식하고 이를 자연질서 삼는 사회 제도’ 정도? 이원 젠더는 이것 이상이지만 그 이상을 설명하는 건 무리였다. 이원 젠더 자체를 논하는 글이라면 더 정교하게 설명해야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대충 이 정도? 이 글에서 사용하는 이원 젠더라는 용어가 무엇을 뜻하는지 가늠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했다.
예전엔 몇몇 주요 용어에 설명을 제공하는 일을 꺼려했다. ‘어떻게 이 정도도 모를 수 있어’라는 오만함 혹은 건방진 태도의 반영이다. 그래서 편집자가 설명이 들어가면 좋겠다고 제안했을 때 바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몇 번 협상을 하고서야 겨우 반영했다. 하지만 나 역시 내가 치열하게 고민하지 않는 이슈의 글을 읽을 때, 모든 용어를 익숙해하며 읽지 않는다. 어떤 용어는 좀 더 친절하게 설명해주면 좋겠는데..라고 구시렁거리며 읽는다. 그러니 쉽고 친절하게 글을 쓰는 건 바로 나 자신을 위한 것이다.
아무려나 ‘이원 젠더’를 친절하게 설명한 구절이 들어간 글이 출판될지는 나도 모르고 아무도 모른다. 중요한 건 이런 식의 고민을 조금씩 하고 있다는 것. 이것이 중요하다. 내가 하고 싶은 얘기를 충분히 하면서 더 쉽고 친절하게 글을 쓸 수 있기를.

투덜투덜: 자신에게

좋은 작품을 만들기 위해선 많이 만들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이를테면 작정하고 끝내주는 작품을 그리겠다며 일 년에 한 편을 목표로 하는 것보다 닥치고 많이 그리면 그 중 끝내주는 작품이 나온다는 얘기. 다작하는 사람에게서 뛰어난 작품이 나온다는 얘기.

이런 얘기 다 좋은데… 원고봇으로 지내다보니 조금 지치는 것도 사실이다. (끝내주는 글을 쓴 것도 아니고. ㅠㅠ) 아니, 지친다기보다는 동력이 좀 떨어지는 감이 있다. 석 달 동안 여섯 편의 원고. 어떤 글은 좀 가볍게 준비할 수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그게 아니다. 어느 글 하나 부담감 없이 진행한 것 없다. 지금까지 쓴 글 모두 그 과정이 재밌었다. 그럼에도 이젠 글을 쓰는 힘이 조금은 딸린다는 느낌이다.
… 고작 이 정도에? 근성이 부족하다. 지구력이 부족한가?
수요일에 마무리 짓고 나면 두 개의 원고를 더 마무리해야 한다. 둘 중 하나는 할지 말지를 내가 결정하면 되고 다른 하나는 도의상 해야 한다. 뭐, 도의상 해야 하는 일은 부담이 적을 듯한데, 할지 말지 고민인 글은 부담이 상당해서 갈등이다. 어떻게 할까?
그나저나 글쓰는 근육은 어떻게 생기나? 내겐 아직 없는 것 같은데… 하긴 글쓰는 근육이 없으니 이런 글을 쓰는 거겠지. 글쓰는 근육 만들려고 이러는 거겠지. 글쓰는 근육… 좀 단단한 글쓰기 근육을 만들면 좋겠다. 아, 그러기 위해선 글을 많이 읽어야 하는데 난 공부를 안 하지.. ㅠㅠㅠ
암튼 원고봇 일정도 슬슬 끝나간다..는 거짓말. 7월부터 새로운 일정이 날 기다린다. 으하하하하하… ㅠㅠㅠ

잡담: 글쓰기 관련 이것저것

그 많았던 상반기 원고 일정이 하나씩 마무리 되고 있습니다. 아직 다 끝난 건 아니고 기말페이퍼가 남았지만요.. 몰랐는데 상반기에만 총 8편의 원고를 쓰는 거였더라고요.. (…) 하나씩 둘씩 출판되고 있고 공개되고 있으니 삶의 흔적은 확실하게 남기네요.. 하지만..
그래서 하반기엔 확실하게 쉴 계획이었습니다. 이미 두 편의 원고 일정이 있고 다른 원고 일정도 큼직한 게 두어 개 있고 백과사전도 본격적으로 해야 하니까요.. 그리고 이렇게 본격적으로 움직이기 전에 7월 한 달은 확실하게 쉬려고 했는데요… 또 다른 원고 일정이 생길 듯합니다.. 아아.. 이젠 그만… 니키 설리반 소개 원고도 내년 상반기로 넘겼는데 이젠 정말 그만.. 2학기엔 반드시 두 과목을 들어야 하니 이젠 정말 그만입니다. 엉엉.
그래도 글을 쓰는 시간은 즐거워요. 약간 중독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글을 써도 생활이 안 된다는 게 문제라면 문제입니다. 글은 계속 쓰고 있는데 대부분이 생계에 도움이 안 되는 글이랄까요.. 아하하. ㅠㅠㅠ 일전에 D가 글을 쓰며 생활하고 싶다고 블로그에 적었는데.. 차마 댓글로 못 적은 말.. 그거 아무나 안 되더라고요.. ㅠㅠㅠ 물론 저야 아직 무명이니까 그런 거겠지만요.. 글만 써서 연봉 1000만 원을 버는 일은 정말 아무나 안 되는 일이겠죠? 저도 그런 삶을 꿈꿉니다. 생계형 알바를 하지 않고, 글과 강의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다면 그렇게 살텐데요.. 아니, 생계형 알바 시간을 좀 줄일 수 있을 텐데요..
그렇다고 해도 하반기 원고 일정은 이제 정말 그만입니다. 엉엉.
(꿍쳐둔 소재와 주제는 많지만 그건 천천히 풀어야죠.)
그나저나 이런 원고 일정이었다면, 6월 20일 마감인 공모에 응모할 계획을 세울 걸 그랬어요. 상금도 쏠쏠한데… 지금이라도 안 늦었나? 어차피 작년에 쓴 기말페이퍼를 수정할 계획이니까, 초고는 있는 것과 같은데.. 흠.. 하지만 대대적으로 뜯어고쳐야 해서.. 흑. 응모한다고 해서 당선된다는 보장도 없고요. 흑흑. 일단 기말페이퍼부터 좀 끝내고 고민해야겠어요. 흠.. 에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