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잡담: 이름 없는 독, 사랑의 범죄

01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 [이름 없는 독]을 읽었다. 미미 여사 작품은 어느 하나 실망할 작품이 없다. 모든 작품이 기본은 한다. 그리고 한 번 잡으면 놓을 수가 없다. 그럼에도 이 작품을 다 읽는데 시간이 좀 걸렸다. 읽다가 내 트라우마(라기엔 거창하지만)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난 핸드폰 혹은 전화 연락을 무척 싫어하는데, 이유는 단순히 전화로 연락하는 걸 내켜하지 않기 때문만은 아니다. 오래 전에 누군가에게 ‘공격’이라고 말할 정도의 전화를 받은 적 있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전화하고 두어 시간 동안 백여 통의 문자를 날리고… 이후 전화는 내게 노이로제다.

미야베 미유키 소설에 내가 겪은 것과 비슷한 상황이 나왔다. 끊임없이 주인공에게 전화를 거는 장면. 그 장면을 읽는 순간, 다음 문장을 읽기 어려웠다. 과거 경험이 겹치면서 불안했다. 책을 읽을 수 없었다. 그래서 좀 진정시키면 책을 읽고, 다시 불안하면 덮기를 반복했다.
나의 불안과 별개로 소설은 권력을 고민할 계기를 준다. 최근 어느 강의에서 권김현영 선생님은 남성성을 폭력과 권위에 순종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폭력과 권위에 순종하며, ‘나’ 역시 그런 권력에 근접할 수 있을 것이란 욕망. 이 설명은 권력 혹은 권력 지향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리라. 소설의 내용이 그러하다. 소설 속 ‘가해자’는 자신의 취약함을 은폐하기 위해 타인에게 제 취약함과 불안을 투사하고, 이를 통해 권력을 성취/쟁취한다. 권력은 타인 혹은 자기 자신의 생사여탈권을 좌우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실천하는 방식이랄까… (물론 이렇게 단순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미미 여사 작품은 역시 좋다.
02
D. A. F. 사드의 소설 [사랑의 범죄]를 읽었다. 사디즘의 그 사드다. 지금은 짧게 메모를 남기는 것으로 족하리라.
18-19세기 종교와 섹슈얼리티의 관계를 어림할 수 있다는 점이 이 소설의 매력이다. 소설을 통해 당대의 도덕과 종교가 개인의 삶과 어떤 관계를 맺었는지를 상상할 수 있다. 소설 내용도 그러하지만(도덕과 성의 관계를 논하는 대화가 많다, 그래서 좀 지겹다;; ) 형식도 그러하다. 작가의 자기 검열, 에두르는 표현이 더 흥미롭다. 나중에 본격 분석하면 재밌을 듯.
젠더 이분법이란 틀로 접근할 때, 비규범적 섹슈얼리티 실천을 ‘남성’ 주인공이 주도한다는 부분은 좀 묘하다. 이 부분은 단순히 남성이 여성을 지배한다는 식으로 간단하게 접근할 수도 없고, 간과할 수도 없다. 이 부분은 나중에 더 꼼꼼하게 읽고 다시 접근해야 할 듯.
사드란 명성에 비하면 내용은 평이하다. 범죄로 부를 법한 ‘사랑’이 21세기를 살고 있는 나의 입장에선 ‘뭐, 이런 내용을 가지고 검열한담…’이랄까.
저자의 훈계는 비꼼과 코미디 같다.
혹시 누구 [소돔, 120일] 빌려 주실 분 계신가요? 흐흐. ;;

영화 <고백>, 소설 <모방범> 그리고 남성성

영화 <고백>을 봤습니다. 다 본 후 이런 저런 고민을 하다, 문득 미야베 미유키의 소설 <모방범>과 닮았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소설 구조, 범죄 형식, 범인의 스타일 등 <모방범> 영향을 많이 받았단 느낌입니다. 둘 중 어느 작품이 더 좋으냐라는 단순한 질문을 하신다면, 비등합니다. 하나는 소설이고, 하나는 영화니 비교가 안 되고요. 하지만 캐릭터 설정에선 <모방범>이 더 좋아요. 캐릭터 설정에서 미미 여사는 등장인물의 다양한 면을 설명합니다. 등장인물이 생동감 있죠. 영화 <고백>의 등장인물에겐 반전이 중심입니다. 그것도 인물의 반전이 아니라 사건의 반전이요. 인물의 성격은 다소 단조로워요. 그래서 미미 여사의 등장인물은 등장인물이 소설을 끌어가는 느낌이라면, <고백>의 등장인물은 장기판의 말과 같은 느낌입니다.뭐, 그래도 <고백>이란 영화 자체의 매력이 상당합니다. 제가 좋아하는 어떤 코드가 여럿 있고요.
<모방범>과 <고백>을 읽으며 가해자의 성격이 흥미로웠습니다. 더 정확하게는 두 소설에서 나타나는 일본 남성의 남성성과 어머니란 존재를 고민했습니다. <모방범>의 두 가해자 중 한 명은 자신의 어머니를 혐오합니다. 자신의 어머니가 자신이 아니라 죽은 누나만을 찾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 혐오는 어머니에게 인정 받고 싶은 욕망의 변주입니다. 뻔한 이야기죠. 또 다른 가해자 역시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그는 사람들에게 인정 받기 위해 자신의 어머니를 죽이고, 또 여러 여성을 죽입니다. <고백>의 가해자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가해자는 자신을 떠난 어머니에게 주목 받고 싶어서, 인정 받고 싶어서 안달입니다. 살아 있는 동물을 죽이고선 이를 전시하는 식이죠. 혹은 이런 저런 발명품을 만들기도 합니다. 그러며 어머니-여성에게 인정 받고 싶어합니다. 자신이 천재라고 믿는 가해자가 하나 같이 자신의 어머니-여성에게 인정 받기 위해 애걸복걸하는 모습이죠. 여성혐오와 여성에게 인정 받고 싶고 칭찬 받고 싶어하는 욕망은 결국 같은 얼굴입니다. 이 얼굴은 참으로 찌질하고요. 이것이 어쩌면 지금 일본에서 나타나고 있는 남성성의 한 양상인 걸까 하는 고민을 잠시 했습니다.
물론 이런 찌질함은 일본만의 특징은 아니겠지요. 한국에선 더 익숙한 모습입니다. 이를테면 병역의무에 목숨거는 모습이죠. 군대 경험을 자랑스럽게 혹은 성역으로 얘기하는 모습을 접할 때마다, ‘얼마나 내세울 것이 없으면…’이란 느낌이 너무 강하게 들어요. 다른 말로, 한국 사회에서 남성 간의 계급 차이를 무마하는데 군대는 참으로 강력한 도구입니다. 계급으로 자신의 남성성을 증명할 수 없을 때, 선택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하고 적법한 방법은 군대 뿐이란 거겠죠. (+변방의 독립 블로그는 이런 글을 써도 아무 문제 없습니다. 케케. -_-;; )
각설하고, 소설 <모방범>과 영화 <고백>은 여러 모로 흥미로워요. 물론 <모방범>을 두 번 읽을 일은 없을 겁니다. 1,600쪽에 달하는 책을 다시 읽을 엄두가 안 난달까요. 크크. ;;; 하지만 한 번은 읽어도 좋아요. 정말 재밌거든요.

잡담: 진학, 휴식기, 유근피

01
요즘 진로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으응? 진로라기보다는 진학이네요. 간단하게 말해서 대학원 진학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공부라는 것이, 반드시 학교에서만 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어디서나 할 수 있는 것이 공부지요. 요즘 학생이란 신분으로 공부하고 싶은 바람을 품고 있습니다. 학생이란 신분으로 할 수 있는 공부와 학생 아닌 신분으로 공부하는 것이 좀 다르니까요. 학생 아닌 신분으로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도 좋지요. 하지만 저처럼 의지력이 약하고 누군가 강제하지 않으면 당최 무언가를 하지 않는 인간에게, 학교와 학생이란 제도는 유용합니다. 더욱이 좀 더 체계적으로, 혹은 좀 더 규범적 형식으로 공부하고 싶은 바람이 있달까요. 제가 얼마나 무지/무식하고 제멋대로인지를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싶기도 하고요.
학교와 학과는 대충 정한 상태입니다. 지도교수에게 말했고, 제게 도움이 될 거란 답을 줬고요. 문제는 하나 뿐이에요. 등록금… 덜덜덜. 근데 빚을 내서라도 진학을 할 계획입니다. ㅠㅠㅠ
02
휴식기입니다.
특별히 저에게 휴식 혹은 휴가를 줄 이유는 없습니다. 뭔가 열심히 한 것이 있어야 휴가를 주죠. 그럼에도 휴가를 준 이유는, 미야베 미유키의 [모방범]을 속편하게 읽기 위해서입니다. 세 권 합해, 1,600 쪽에 달하는 분량의 소설을 휴가라는 기분 전환 없인 읽을 엄두가 안 나더라고요. 다 읽을 때까지 휴식기. 흐.
미미 여사의 책은 정말 재밌어요. ㅠㅠ [낙원]까지 읽는 시간을 휴식기로 바꾸고 싶지만, 할 일이 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엉엉.
03
혹시 유근피를 달여 드시는 분 있나요?
오늘 우연히 유근피가 비염에 무척 좋다는 글을 읽고 검색하니, 거의 종교더라고요. 평소 비염으로 고생하는 저로선 단박에 혹했습니다. 검색하는 동안, 당장이라도 시장에 가서 유근피를 살 기세였달까요. 크크. 하지만 직접 달여야 한다는 것이 난관! 유근피를 한약 달이는 곳에 가서 대신 달여달라고 하면 욕 먹을까요? 아, 아니, 그 전에 너무 비쌀까요? 귀차니즘이냐 자금의 압박이냐 그것이 문제로고.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