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십대
십대청소녀-‘불량’-구금시설 관련 논문들
이런저런 일로 영어논문을 찾아서 읽고 있습니다. 학교에 속한 학생은 아니지만 어쨌거나 학생이라고 자처하는 입장에서 영어논문을 읽는다는 게 뭐 그리 대수겠어요. 영어건 한국어건, 논문인건 단행본이건 뭐건 읽는 건 지극히 당연한 일이죠. 뭐든 읽지 않고 있다면 그걸 부끄럽게 여기고 고백해야겠죠. 그러니 읽는다는 일은 특별할 것 없습니다. 다만 저로선 워낙 새로운, 이제까지 공부하지 않은 영역을 읽고 있어서 이런저런 고민이 많달까요? 제가 구금시설, 비행/일탈/불량, 십대와 같은 주제어로 논문을 찾고, 읽을 줄은 상상도 못 했으니까요. 뭐, 워낙 잡식성에 온갖 것에 관심이 있으니 언젠가는 한번 읽었겠죠. 하지만 이렇게 찾아서 읽을 줄은 몰랐어요. 그것도 집중해서 여러 편을… 하하;;
찾아 읽은 논문 중엔 상당히 좋은 논문도 많고 제목에 낚였다는 느낌이 드는 논문도 많습니다. 낚였다는 느낌이 드는 논문의 대다수는 양적연구를 수행한 논문입니다. 설문지를 몇 백 명에서 몇 천 명에게 돌려 그 내용을 통계로 분석한 논문들. 고백하자면 학교를 다닐 때, 통계분석(양방) 논문을 읽는 적이 거의 없습니다. 2년 동안 5편이 될까 말까 합니다. 그보다 적을 수도 있고요. 전 통계분석 논문은 재미가 없어서 안 읽는 편입니다. 이미 다 아는 사실을 반복하는 경향이 있으니까요. 이를테면, 한국에서 트랜스젠더의 생활을 조사한 후, 트랜스젠더가 한국사회에서 살아가는 건 정말 힘들다란 결론을 내린다면? 읽는 시간이 아까워요. 조사한 사람에겐 의미가 있으려나요? 정책이나 제도를 바꾸기 위한 자료로선 의미가 있습니다. 어쨌거나 통계자료를 통해 어떤 ‘구체적인 사실’을 제시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논문이라면 힘들다는 통념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구조적인 맥락 등을 같이 분석해야겠죠. 언론사의 여론조사에서도 제시할 수 있는 내용을 학술지 논문을 제시한다는 건 좀… 양식이 없거나 양심이 없거나…
Cochran, Bryan N., Angela J. Stewart, Joshua A. Ginzler, and Ana Mari Cauce. “Challenges Faced by Homeless Sexual Minorities: Comparison of Gay, Lesbian, Bisexual, and Transgender Homeless Adolescents With Their Heterosexual Counterpart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2.5 (2002): 773-777.
Cochran 등이 쓴 논문 “노숙 성적소수자에 의해 직면하는 도전: 이성애 노숙 청소년과 게이, 레즈비언, 바이 그리고 트랜스젠더 노숙 청소년의 비교”를 읽었습니다. 일단 제목만으론 혹합니다. 검색하다가 이 제목에 끌려 내용도 검토하지 않고 출력부터 했습니다. 하지만 결론은? 이성애 노숙청소년보다 LGBT 노숙청소년이 더 어렵다, 성적지향 및 동성애혐모/호모포비아 문화와 십대란 점이 겹쳐있다…가 끝입니다. LGBT 십대의 가출을 호모포비아 문화와 연결해서 고민해야 한다는 문장에 감동 받을 정도입니다. 겨우 이 문장에… 물론 잡지의 성격에 따라, 분과학문에 따라 논문을 쓰는 방식에 차이는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이건 좀… 암튼 제목 하나는 잘 뽑았습니다. ㅡ_ㅡ;;
(조만간에 읽을 논문 중에 더 매력적인 제목도 있는데, 그건 어떨까요? ;; )
Widom, Cathy Spatz, and Joseph B. Kuhns. “Childhood Victimization and Subsequent Risk for Promiscuity, Prostitution, and Teenage Pregnancy: A Prospective Stud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6.11 (1996): 1607-1612.
위덤과 쿤스의 논문 “아동 피해와 그것이 난교, 성매매, 그리고 십대 임신에 끼치는 위험”을 읽었습니다. Promiscuity를 사전에선 난교라고 설명하고 있어서 이렇게 옮겼지만 정확한 번역은 아닙니다. 아니, 동의할 수 있는 번역이 아닙니다. Promiscuity는 일부일처가 아닌, 배타적인 관계가 아닌 성관계를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논문을 읽다보면 1년 동안 10명과 성관계를 맺은 경험을 promiscuity란 용어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논문의 전제 자체에 문제가 있습니다.
내용은 어린 시절의 아동폭력 피해 경험이 promiscuity, 성매매, 그리고 십대임신에 끼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여타의 논문이 통상적인 통계 자료를 비교하며, 아동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이들은 promiscuity, 성매매, 십대임신 경향이 상당히 높고, 피해 경험이 없는 이들은 경향이 낮다는 식의 결론을 내립니다. 하지만 이런 비교는 두 집단의 다른 사회적 조건을 간과합니다. 만약 피해 경험이 있는 집단은 빈곤층이 상당수고 피해 경험이 없는 집단은 상류층이 상당수라면? 빈곤층에 피해 경험이 많고, 상류층에 피해 경험이 적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계급, 젠더, 인종, 성적지향, 젠더정체성 등에 따라 전혀 다른 결론이 나올 수 있다는 점이 고려해야 하는데 간과한다는 거죠. 그래서 이 논문은 아동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집단과 피해 경험이 없는 집단을 나눌 때 비슷한 환경에 있는 이들을 선별합니다. 그래서 가급적 다른 조건은 비슷하게 세팅하고, 아동폭력 피해 경험 여부만을 변수로 만들려고 애씁니다. (물론 이런 세팅이 완벽할 수 없는 건 저자들도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데이터 통계를 분석하니, promiscuity와 십대임신은 아동폭력 피해 경험과 상관관계가 없고, 성매매만 아동폭력 피해 경험과 관련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이 결론은 기존의 많은 논문들이 제시하는 결론은 다르고요.
이 논문은 데이터 통계분석이 중심이지만 조사분석을 위한 세팅의 방식에 따라 상당히 흥미로운 논문이 될 수 있음을 잘 보여줍니다. 물론 구조적인 분석 등은 거의 없다는 점에서 통념을 반복하긴 합니다. 하지만 세팅만으로도 이렇게 다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읽는 재미가 있습니다.
(관련 공부를 하시는 분들은 이미 이런 기법을 잘 알고 계시겠죠? ^^;; )
Brown, Lyn Mikel, Meda Chesney-Lind and Nan Stein. “Patriarchy Matters: Toward a Gendered Theory of Teen Violence and Victimization.” Violence Against Women. 13.12 (2007): 1249-1273.
브라운, 체스니-린드, 스틴(슈타인?)의 논문을 읽었습니다. 논문 제목을 번역하기가 좀 난감한데요. 이 논문의 가장 마지막 문장에 제목의 단서가 나옵니다. “… the reality that living in a patriarchy matters.” 대충 옮기면, 가부장제에서의 삶이 물질로 만드는 실재…? 가부장제라는 사회구조에서 여러 억압 구조들이 교차하며 만들어지는 삶을 문제 삼자는 내용인데, 이걸 한글로 옮기려니… 저 처럼 내공 없고, 실력 없는 인간으로선 불가능한 일입니다. 크크크. ㅠ_ㅠ 억지로 옮기면 “가부장제 문제: 십대 폭력과 피해의 젠더화된 이론을 향하여” 정도입니다.
체스니-린드는 관련 주제어로 검색하기 전까진 전혀 모르던 사람인데요. 이번에 이런저런 논문을 찾고, 읽는 과정에서 청소녀-일탈/불량-구금시설 관련해서 상당히 유명한 인물이더군요. 마찬가지로 브라운과 스틴도 유명인들이고요. 제게 좀 더 익숙한 이들로 비유하자면, 게일 러빈, 주디스 버틀러, 스잔 스트라이커가 공동으로 논문을 쓴 격? 아니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이 협력해서 신제품을 출시한 격? 혹은 네이버, 다음, 네이트가 협력해서 새로운 포털을 만든 격? 흐흐. 뭐, 대충 이 정도의 느낌을 주는 공저자들이 모인 논문입니다. 물론 이런 기획에 따른 문제도 많을 테고, 제가 아직 모르는 분야라, 이런 비유가 문제가 많긴 하겠지만요. 그나마 다행인 건, 적어도 체스니-린드의 경우 꽤나 괜찮은 논의를 펼치는 저자란 점이죠. 다른 논문을 읽고 호감을 느껴서 이 논문도 읽기로 했으니까요. 🙂
체스니-린드는 단독저서보다 공저가 많은 듯한데요. 다른 공저 논문에선 여성의 폭력이 좀 더 관계적이란 식의 표현, 덜 폭력적이란 식의 표현이 기존의 여성성을 반복하고, 강화할 수 있음을 지적해서 인상적이었죠. 현상적으로 그렇다 아니다를 떠나서, ‘더 관계적이다’, ‘남자/소년에 비해 덜 폭력적이다’란 표현 자체를 다시 생각해야 한다는 지적은 고개를 끄덕이지 않을 수 없으니까요.
브라운 등이 함께 쓴 이번 논문 “Patriarchy Matters”는 이런 인식의 연장선에 있다고 해야 할까요? 십대여성 혹은 청소녀의 범죄 및 구금과 관련한 논문에서 공통으로 지적하고 있는 사항은 1990년대 들어 여성범죄율, 청소녀 범죄율이 상당히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건 미국 논문과 한국 논문에서 공통으로 동의하고 있는 부분이고요. 경찰청, 교정시설 등에서 제시하는 통계 역시 이것이 사실이라고 증명합니다. 십대여성의 체포율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으니까요. 그런데 재밌는 건, 1990년대 들어서면 ‘여성’과 ‘남성’에 관계 없이, 폭력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란 점입니다. 폭력은 줄어들고 있는데, 범죄율은 증가한다? 브라운 등이 쓴 이 논문은 바로 이 지점에서 논의를 출발합니다. 페미니즘/여성주의/젠더관점에서 접근하건 안 하건 상관없이, 거의 대부분의 논문들이 여성의 범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언급하지만 폭력은 감소하고 있음을 간과한다는 점에서, 이 논문의 의의는 상당합니다. 저자들은, 폭력이 감소하는데 체포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건 다른 무언가가 변한 것이라고 지적하며, 그것은 여성을 통제하는 방식이 변한 점과 관련 있다고 주장합니다.
거칠게 요약하면 두 가지. 과거엔 젠더 차이를 강조하며 여성을 통제했다면 지금은 젠더 동등을 강조하며 여성을 통제하고 있으며, 과거엔 여성 섹슈얼리티를 통제했다면 지금은 여성 폭력을 통제하고 있다는 거죠.
전자의 경우, 과거엔 여성과 남성은 다르기에 여성의 가사노동은 당연하단 식으로 여성을 통제했죠. 하지만 지금은 여성과 남성은 동등하니, 젠더 범주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식으로 여성의 행동을 통제합니다. 즉, 현대사회는 더 이성 성차별이 없다는 식의 접근이죠. 그래서 성폭력, 젠더 권력 관계가 작동하는 폭력을 그냥 개인 간의 폭력으로 대한다는 거죠.
후자의 경우, 과거엔 여성이 섹슈얼리티를 표현하면 그것을 처단하는 식으로 여성을 통제했죠. 마녀란 이름으로 부르거나, 무성적인 존재로 여기며 여성의 성적 표현을 억압하여 여성을 통제했다는 거죠. 하지만 지금은 특정 행동을 폭력으로 명명하고 그것을 못 하게 하는 방식으로 여성성을 통제한달까요? 이를테면 작년 말, “루저의 난”으로 불렸던 키와 관련한 논쟁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그 여성을 법원에 고소할 정도로 엄청난 테러가 있었는데요. 특정 발언을 폭력으로 명명하고, 그것에 테러를 가해 여성성을 통제하는 거죠. 그러니 이젠, 성적이냐 아니냐가 아니라 그것이 폭력이냐 아니냐로 명명하는 방식이 바뀌었고, 전통적 젠더 역할에 위배될 때 그것을 폭력으로 명명하고 처단하는 식이죠. 여성이 미니스커트를 입은 것을 “내가 미니스커트 입은 모습에 불쾌함을 느꼈으니, 성희롱이고 (성)폭력이다”란 식으로 반응하는 것이 단적인 예가 되겠죠. 폭력이란 명명이 상당히 포괄적인 표현이듯, 여성의 행동을 폭력으로 명명할 때 젠더표현부터 섹슈얼리티 실천까지 거의 모든 행동을 통제할 수 있습니다.
이 논문의 결론은 다소 뻔합니다. 젠더가 인종이나 계급, 성적지향 등과 별개일 수 없으니 여러 범주를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거죠. 하지만 논의 과정에서 충분한 사례와 분석을 제공하고 있어서 공허한 결론은 아닙니다. 어쨌거나 진부한 결론이긴 하지만, 논의를 차근차근 따라 읽노라면 꽤나 감동적입니다. 무엇보다, 누군가에겐 익숙하겠지만 다른 누군가에겐 막연하게 짐작만 하고 있던 부분을 잘 정리하고 있으니 유용하기도 하고요. 흐흐. 여성성 통제와 관련해서 참고문헌을 찾고 계시다면 읽으셔도 괜찮을 듯합니다. 치명적인 문제는 영어논문…ㅠ_ㅠ (그렇다고 제가 이 논문을 한국어로 옮길 의향은 없습니다. 그 시간이면 트랜스젠더 관련 논문을 옮길 수도 있으니까요. 흐흐. 그렇다고 트랜스젠더 관련 논문을 한국어로 옮기는 것도 아니지만요… 음하하;;; )
Teen Prostitution
십대여성의 성매매/’원조교재’ 관련 영어 논문을 찾다가 “Teen Prostitution“(십대 성매매)이란 발표문을 봤습니다. 발표문 내용은 게이 공동체에 속하는 성매매/성판매 십대들과 인터뷰가 주를 이룹니다. 딱히 어떤 해법이나 다른 가능성을 제시하는 건 아니고 그냥 고민이 많다는 식의 결론만 내리네요. 그나저나 1997년에 쓴 발표문인데도, 웹과 관련한 내용이 등장합니다. 홈페이지에 성노동자/성판매자의 사진이나 소개글을 올리면 전화로 연락해서 만나는 일이 있다는내용입니다. 그 와중에 종종, 성구매가 목적이 아니라 혐오폭력을 목적으로 전화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새로울 건 없는 내용이죠. 발표문 자체엔 새로운 내용이 없지만 그래도 혹시나 LGBT 공동체에서의 성매매 혹은 유사 이슈에 관심 있으면 한번 읽어보셔도 나쁘진 않겠어요.
인터뷰 내용 중에 한 명은 바이섹슈얼/양성애자인데요. 부모님과 나눈 대화를 소개한 부분은 간결하면서도 씁쓸합니다. 예상할 수 있는 내용이고요.
“크리스마스 이브 날, 부모님께 나는 바이섹슈얼이라고 말했어. 부모는 내게 집에서 썩 나가거라고 답했지.”
성적지향/성정체성-가출-부모나 가족과의 관계-성매매/’원조교제’의 연결고리를 알려주는 대화기도 합니다. 아, 이 일화를 알려준 이의 인칭대명사는 “he”입니다.
많은 이들이 성매매에 참여하는 이유로 돈을 얘기합니다. 이건 현대 사회에서의 생존구조를 알려주는 말입니다. 자본주의가 사라지면 성매매가 사라진다는 의미로만 이해하거나, 물질만능주의의 폐해란 식으로만 말하는 건 초점을 잘못 맞추는 거겠죠. 적잖은 논문에서 이 부분을 분석하지 않고 있는 건 아쉽죠.
이 발표문에서 그나마 인상적인 부분은 인터뷰에 응한 십대들의 힘입니다. 모든 인터뷰 인용자료는 글쓴이의 검열을 거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인용구절을 곧이 곧대로 받아들일 순 없겠죠. 하지만 저자의 글투는 매우 조심스러운데 반해 인터뷰 인용구절엔 힘이 넘칩니다. 이런 종류의 많은 인터뷰 인용 구절이 피해자 만들기, 무력한 약자 만들기에 경도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일까요? 따옴표에 등장하는 인터뷰 내용에서 넘치는 힘을 읽을 수 있는 건 분명 기분 좋은 일입니다. 문장에 담긴 어떤 ‘사실’을 분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만큼이나 문장에 실려 있는 힘, 늬앙스를 읽는 작업도 중요합니다. 저는 잘 못하는 부분이지만, 문장에서 말하는 이의 힘과 태도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는 작업이 많아진다면 또 다른 어떤 논의가 가능하지 않을까요?
영어논문을 읽을 때마다 느끼는 거지만, 한국과 여타 지역의 확연한 차이 중 하나는 에이즈(HIV/AIDS) 이슈입니다. 외국의 경우 에이즈 이슈가 상당히 중요하게 다뤄져서 십대 성매매 이슈라고 해서 에이즈 이슈가 빠지는 경우는 거의 없더군요. 한국에선 아직 이 이슈를 중요하게 다루지 않는 듯합니다. 한국에선 학교제도, 교육제도가 더 중요하려나요.
또 하나 가장 큰 차이는 성적지향/성정체성/성별정체성 이슈입니다. 영어권 논의에서 동성애/양성애/이성애, 트랜스젠더/비트랜스젠더 이슈는 기본 분석 범주로 등장합니다. 깊이 있게 다루진 않아도 언급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는 잘 없더군요. 반면 한국에선? 언급하지 않습니다. 기본 분석 범주가 아니라 특수 사례로 언급이나 하면 다행일 정도입니다(물론 이렇게 언급할 바엔 아예 언급하지 않는 게 더 좋지만). 사실 한국에서 발간한 구금시설 및 폭력 관련 논문에서 젠더와 섹슈얼리티를 분석 범주로 고민하기 시작한 것 자체가 길어야 5년 정도란 점을 감안하면 놀랍지도 않지만요. 저도 작년에야 이 이슈에서 논의가 매우 부족하단 걸 깨달았죠. 물론 논의가 부족한 건 트랜스젠더 이슈도 만만찮지만요. ㅠ_ㅠ
자료를 찾으며 흥미로운 건, 원조교제의 영어식 표현은 일본어를 영어표기로 바꾼 Enjo Kosai(혹은 compensated dating)입니다. 그리고 enjo kosai로 검색하면 일본, 한국, 홍콩 등 동북아시아 지역의 자료만 나옵니다. 지역에 따라 사용하는 용어가 다름을 알 수 있는 부분이죠. 미국이나 캐나다에선 prostitution(성매매)을 사용하는 듯합니다. 십대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일 수도 있고, 구매자를 대하는 태도의 차이일 수도 있습니다. 성구매와 (원조)교제의 뉘앙스는 달라도 너무 다르니까요. 하지만 prostitution을 대하는 태도의 차이일까요? 미국 등 영어권 국가에서 prostitution의 뉘앙스를 제가 모르니 쉽게 단정할 부분은 아니고요.
참 두서 없는 글입니다. 뭔가를 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끄적였으니, 글이라고 할 수는 없겠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