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깅용 글 하나를 써뒀는데 수정하기 귀찮아서 통과. 결론은 간단한데 [In The Plex 인 더 플렉스: 0과 1로 세상을 바꾼 구글 그 모든 이야기](스티븐 레비)란 책, 아카이브에 관심 있는 분, 다른 인식론으로 세계를 해석하며 살고 있는 분, IT 기술과 개인 몸의 변화에 관심 있는 분 등이 읽으면 유용할 법하다. 물론 교정교열은 문제가 많다.//
[태그:] 아카이브
문서와 기록물, 구글웨이브, 구글버즈, 그리고 공사구분 단상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을 준비하며 생전 처음 접하는 일들이 많았다. 도서관에서 일을 한 적도 없고, 논문을 읽으며 자료를 정리하는 수준이었기에 아카이브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지식과 경험은 전무했다. 그나마 다행이라면, 자료를 찾고 정리하는데 능숙하신 분, 기록학(?)을 전공하신 분이 있어 수월했달까? 그 과정에서 배운 것도 많다. 이를테면 흔히 사용하는 표현인 ‘자료’를 아카이브에선 ‘기록물’로 표현한다. 기록물은 문서, 단행본, 메모지, 포스터, 깃발, 옷 등을 모두 포괄한다고 했다(정확하지 않을 수도;; ). 기록물, 기록물… 쉽지 않은 표현이지만 자주 사용하다보니 몸에 익었다. 그 다음부턴 아카이브와 관련 없는 곳에서도 기록물이란 표현을 사용하곤 했다.
하지만 아카이브 분류 기준을 받아 들이는 건 쉽지 않았다. ‘문서’라는 형태 분류 방법이 그랬다. 메모지에 간단하게 적은 글, 회의록, 논문 별쇄본, PDF 형식의 논문을 출력한 것, 게시판 글을 출력한 것 등, 이 모든 것이 문서라는 형태 분류에 속한다고 했을 때, 심리적 저항감이 상당했다. 이 모든 걸 별개의 형태로 분류해야 한다고 믿었기에, 이 모든 것이 동일한 형태라는 기준을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았다.
시간이 흘러 이런 분류 기준을 몸에 익힌 지금, 나는 문서라는 형태 분류 방법에 고개를 주억거리곤 한다. 그래, 따지고 보면 메모지에 쓴 글, 회의록, 논문별쇄본, 게시판 글을 출력한 것들을 별개로 나눌 이유는 또 무엇이란 말인가.
이렇게 문서라는 형태 분류 방법에 적응하고, 명확한 이유 없이 수긍할 즈음, 구글 웨이브(Google Wave)란 서비스가 나왔다. 2009년에 이메일 서비스를 만든다면 어떤 형태일까를 상상하며 만들었다는 서비스. 2009년 초, 처음 이 서비스를 예고했을 때만 해도 적잖은 사람들이 기대했다. 내겐 완전 새로운 형태의 문서작업서비스였기에 기대가 상당했고 그래서 소식을 듣고 바로 서비스를 신청했다. 하지만 9월 말 공개된 서비스를 사람들이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불만이 커졌다. 많은 이들이 “구글웨이브에 접속해선 그냥 멍하니 보기만 한다”고 반응할 정도로. 뭔가 새로운 것 같은데 뭘 해야 할지를 모르겠다는 반응.
구글웨이브는 기존의 소통 형태와 달랐다. 이메일이면 이메일, 메신저면 메신저, 쪽지면 쪽지, docs 문서작업이면 문서작업, 협업도구면 협업도구… 이 모든 걸 별개의 형태, 별개의 성질로 사용했던 사용자들에게 구글웨이브는 당혹감 그 자체였다. 구글웨이브는 이 모든 것을 포함했기에 마치 어떤 것도 아닌 듯했다. 그래서 뭘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몰랐다. 나라고 다르지 않았다. 뭔가 새롭고 신기해서 혼자놀이를 여러 번 했지만, 뭔가 애매했다. 나의 경우, 가장 불편했던 건 지메일과 구글웨이브가 별개란 점이었다. 구글웨이브는 이메일 형식의 주소를 지니지만(runtoruin@googlewave.com), 외부에서 구글웨이브로 메일을 보낼 수는 없었다. 지메일에서조차 구글웨이브로 문서를 보낼 수가 없었다. 이건 마치 두 개의 메일을 사용하는 것과 같고, 쓸데 없이 아이디만 선점하는 격이었다. 이를테면 다음, 네이버, 파란 등에 자신이 즐겨 사용하는 아이디를 확보하기 위해 일단 가입부터 하는 것처럼.
또 다른 문제는 구글웨이브 사용자가 너무 적었다는 점이었다. 지메일 사용자가 많은 건 아니지만(사실 매우 적지만), 그 중 상당수가 수다를 떨거나 부담없이 쪽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사이가 아니라, 철저하게 일로 만난 경우였다. 그 적은 지메일 사용자 중 구글웨이브 사용자는 더욱 적었다.
그럼에도 나는 구글웨이브를 꽤나 유용하게 사용하고 있다. 무엇보다 w와 웹진을 준비하고 있는 지금, 구글웨이브는 소식을 주고 받고, 회의를 하고, 문서를 작성하고, 자료를 공유하는데 있어 더 없이 편한 도구다. 작년 봄, 본격적으로 웹진을 준비하며 소통과 자료 공유를 위해 별도의 공용 메일을 만들었고 구글서비스인 구글독스(Google Docs)를 사용했지만, 웨이브를 사용하기 시작한 이후 공용메일로 소통하는 일은 드물었다. 웨이브를 작성해서 w와 공유하고, 댓글을 달고, 서로의 글을 고치고 등등. (아울러 서로의 오탈자를 실시간으로 확인도 하고.. 흐흐 )
이 과정에서, 구글웨이브를 만든 사람은 아카이브에서의 문서 개념을 알고 있고 이를 응용한 건 아닐까 하는 상상을 했다. 메모지, 회의록, 논문별쇄본 등이 모두 문서듯, 이메일, 채팅, 회의록, 발제문, 쪽지, 협업도구 등은 모두 소통을 위한 도구다. 웹에서 소통하는 방법이 워낙 별개의 것으로 사용하는데 익숙해서 그렇지(메일은 메일서비스, 메신저는 네이트온, 일상생활은 미니홈피나 블로그와 같은 식으로) 이들이 반드시 별개의 형태를 갖출 이유는 없다. 구글웨이브는, 아카이브의 문서 개념처럼, 웹에서 생산한 자료를 웨이브라고 불렀을 뿐이었다.
웨이브는 문서라는 걸 깨닫자, 그제야 웨이브라는 서비스를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웨이브가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한 도구라고 했고, 이 고민은 여전히 유효하다. 하지만 웨이브가 너무 무거운 서비스란 점은 치명적인 단점이다. 웨이브를 사용하는 사람이 적은 점이나 어려움이 아니라, 동시성을 중시하다보니 서비스가 너무 무겁다는 점이 내게 있어 가장 큰 단점이다.)
이렇게 웨이브를 유용하게 사용할 즈음, 그리고 사람들이 웨이브를 잊어갈 즈음 구글에서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했다. 바로 구글 버즈(Google Buzz). 웨이브에 비하면 평이 대체로 좋은 듯하다. 적어도 사람들이 웨이브에 가졌던 불편함, 불만을 반영하여 개선한 제품인 듯 하니까. 지메일에 속하는 서비스로 만들어 별로의 가입이나 적용이 필요 없다는 점에선 확실히 편하다. 트위터나 미투데이와 같은 서비스가 지메일의 부가 기능으로 들어왔달까? 실제 사용하니 확실히 편하고 가볍다. 이메일과 연동하여 버즈가 오면 바로 이메일로 알려주고, 트위터에 글을 쓰면 버즈로 이메일처럼 공유할 수도 있다. 웨이브의 실시간과 협업기능을 뺀 버전이랄까? 아이디 확보 차원에서 며칠 전 트위터를 개설했는데(@runtoruin), 버즈에서 트위터로 글을 보낼 수 있게 되면(나중에 이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하며, 임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엉뚱한 경로로 트위터를 자주 사용할 거 같기도 하다. 즉, 버즈는 좀 더 활발하게 사용할 듯하다. 물론 지메일을 사용하지 않는 분들은 그 글을 읽을 수 없겠지만. 🙂
+
구글웨이브가 공개되었을 때, 많은 이들이 웨이브의 공유기능과 (구글웨이브 내부에서의) 개방성으로 인해 이메일 사용자가 웨이브로 넘어가는 일은 없을 거라고 했다. 기존의 이메일 형식, 매우 사적이고 때로 형식적인 소통 도구인 이메일에 익숙한 나의 경우, 웨이브를 곧잘 활용하면서도 쉽게 이메일에서 웨이브로 넘어가긴 힘들었다. 모든 사람들이 구글웨이브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란 점이 크긴 하지만, 반드시 이런 이유만은 아니었다. 이메일이 나와 상대방만 볼 수 있다는, 메일을 주고 받는 사람들만의 소통 방식이란 느낌이라면, 웨이브는 마치 모든 사람에게 드러나는 것만 같았다. 일종의 블로그나 트위터처럼. 이 저항감이 쉽게 웨이브를 다른 의사소통수단으로 대체할 수 없게 했다. 만약 그렇지만 않았다면, 그리고 구글웨이브 사용자가 아니어도 다른 이메일 서비스 사용자와 소통할 수만 있었다면 좀 더 쉽게 지메일에서 웨이브로 넘어갔을 지도 모른다.
이런 웨이브에 반해 버즈는 일단 이메일의 개인영역을 유지하면서도 지메일 사용자에 한정해서 좀 더 공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다. 나의 버즈를 팔로잉(following, 구독 혹은 이웃이라고 표현하는 게 쉬울까요?)하는 사람에겐 매우 간단하게 나의 소식을 전할 수 있달까? 이메일이 일일이 메일주소를 찾아서 메일을 보내야 한다면, 버즈는 그냥 글만 쓰고 “public”으로 설정해서 공개하면 그만이다. 그럼 버즈를 팔로잉하는 사람들은 모두 볼 수 있다. 어떻게 보면 좀 더 손쉬운 단체메일인가? 흐흐. 뭐랄까 공개와 비공개 혹은 제한적 공개의 경계가 매우 모호하달까?
… 사실 웹으로 글쓰기, 사생활의 공개 경계 등과 관련한 얘기를 덧붙이고 싶었으나 고민이 부족하여 여기서 대충 얼버무리기… ;;; 암튼 웹을 일상으로 경험하는 이들에게, 웹을 필수품으로 살아가는 시대에, 공개와 비공개의 구분, 공과 사의 구분은 더 이상 유용하지 않은지도 모른다. 심리적인 저항감은 매우 강하지만, 웹에서 비공개인 글은 존재할 수 없는(하지만 존재하는 것처럼 착각할 수는 있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 페미니즘에서 공사이분법을 비판하듯, 웹 시대에도 공사구분을 새롭게 파악해야 하지 않을까 싶기도 하고. 그리고 아마도 나처럼 웹을 일상으로 살면서도 여전히 아날로그에 익숙한 사람은, 그리고 원치 않는 공개를 걱정하는 사람은 웹에 안 쓰고 아날로그 형식으로만 쓰는 것이 아니라, 기록으로 남기지 않고 기억에만 남기는 것이 아니라, 기억 자체를 비공개로 바꿔 기억할 수 없게 하지 않을까?
++추가
관련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 글 두 편 링크
http://npool.ktpage.net/192
http://health20.kr/1464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 오픈!!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이 홈페이지를 오픈했습니다. 이제 본격 시작입니다 … 만;;;
암튼 홍보전단지에 적힌 내용을 살짝 옮기자면
아카이브의 사전적 의미는 “특정 자료를 모아 둔 정보 창고”입니다.
아카이브가 도서관이나 박물관과 다른 점은 모든 책, 역사적 유물만을 모아 전시하거나 열람하게 하는 것이 목표가 아니라, 특정한 목적의식을 갖고 관련된 기록물들을 모은다는 점입니다.
이런 이유로 최근 사진 아카이브, 소리 아카이브, 민속 아카이브 등이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처음 아카이브는 ‘저장 창고’의 의미였을지 모르지만, 퀴어 아카이브는 단순한 기록보관소가 아니라 누구를 위해서, 무엇을 위해서 모으고,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를 고민하며 역동적으로 살아 움직이는 유기체입니다. 한국의 퀴어들의 자긍심과 즐거움을 위해 움직입니다. 우리의 역사를 찾고, 담고 그리고 느끼는 공간으로서의 아카이브가 될 것입니다.
퀴어락은 3개년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2009년은 도서, 문서 및 영상물 DB구축, 홈페이지 오픈, 2010년에는 사진 및 박물류로 범위를 확장하고 기증 등 자료 수집에 주력할 것입니다. 2011년에는 음원, 웹아카이빙, 기존 기록물의 디지타이징을 비롯 퀴어락 구축 과정을 담은 백서를 발간하여 아카이브 구축에서 활용까지의 모든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KSCRC는 이런 본격적인 아카이브 개발을 위해 2002년부터 기초다지기를 해왔고,
드디어 2009년 12월 21일 공식 오픈과 함께 문을 활짝 열고 여러분과 함께 합니다.
*퀴어락은?
한국퀴어아카이브(Korea Queer Archive)의 애칭!! 이는 Queer+Archive를 조합한 ‘Queerarch’를 발음대로 읽은 것이기도 하지만, 한자의 ‘즐거울 樂’이란 의미를 담아 퀴어의 즐거움이 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합니다.
홈페이지 주소는 www.queerarchive.org 입니다.
많은 방문과 활용 바랍니다!!
그리고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습니다. 내용 기록에서 오탈자를 비롯한 잘못된 부분도 적잖을 것입니다. 발견하시는대로 알려주시면 매우매우매우 감사!!!
(메일 kscrcqueer@naver.com으로 보내주시면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