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움의 시간

01

젠더가 나의 전공이지만.. ‘젠더란 무엇인가’란 질문에 깔끔한 답변을 단박에 낼 수 있었던 시기는 학부시절 여성학 과목을 처음 들었던 그 학기 뿐이었다. 2004년 봄이었나.. 그땐 섹스와 젠더, 섹슈얼리티를 자신만만하게 설명할 수 있었다. 지금은 젠더 만큼 어려운 것도 없다. 누군가 갑자기 묻는다면 나는 분명 얼버무리면서, 더듬거리면서 말을 못 할 것 같다.
아마 앞으로도 꽤나 오랫동안 ‘젠더’가 무엇인지 모르리라. 그런데도 젠더가 전공이라며 관련 지식을 팔아가며 먹고 살겠지. 웃긴 일이다.
02
퀴어에 오렴되지 않아 순수하고 깨끗했던 그 시절(푸훗) 열심히 팬질했던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몇 분 있다. 그 분의 강의를 듣고 글을 읽으며 공부하는 법, 사유하는 법을 배웠다. 물론 그 가르침에도 난 여전히 공부할 줄 모르고, 사유할 줄 모른다. 암튼… 그 선생님들의 언어에 열광했고, 그 언어를 내것인양 열심히 따라했다. 그 언어면 많은 것을, 아니 내 삶의 일부는 설명할 수 있을 줄 알았다.
그로부터 몇 년의 시간이 흘러 젠더 개념이 어려워질 수록, 그 선생님들의 강의를 들으며 슬픔을 느낀다. 완벽한 것만 같던 언어에서, 쾌락을 주었던 언어에서, 매우 큰 힘을 주었던 언어에서 빈틈을 봤기 때문이다. 강의를 듣거나 글을 읽으며, 빈틈이 너무도 선명하고 때론 불편해서 난감할 때도 많다.
이 빈틈. 빈틈을 매우는 것이, 혹은 다른 설명 방식이나 언어를 찾는 것이 내가 할 일이지만, 슬픈 건 어쩔 수 없다. 물론 그 분들이 앎을 탐하는 그 열정은 여전하지만… 그래도…
03
좋아하는 이론가의 글을 찾아 읽으면서, 지도교수가 공부하는 방식/태도를 보면서, 멈추지 않은 그 자세가 부럽다. 존경한다는 말이 더 적합할 수도 있겠지만 난 부러움과 질투를 느낀다. 나도 그들처럼 그런 태도를 가질 수 있을까? 지금도 혹은 벌써부터 게으르고 태만한 나를 보노라면 ‘난 글렀다’란 말이 절로 나온다.
04
한편.
작년 말이나 올 초에 출간되어야 할 책이 있다. 자음과모음 하이브리드 총서로 나올 예정인 “성의 정치, 성의 권리”. 근데 출판사에서 연락이 없다. 작년 여름, 10월 즈음까지 수정한 원고를 보내주면 될 것 같다는 연락이 왔는데, 그 이후로 연락이 없다. 총서를 포기한 것일까 아님 어떤 일이 생긴 것일까?
선인세를 이미 받았으니 책이 안 나와도 내가 손해는 아니지만.. 흐흐. 저자가 잠수를 타는 것도 아니고 출판사에서 잠수를 타다니… 물론 난 아직 원고를 다 안 고쳤다. ;;; 그래서 더 걱정이다. 미칠 듯이 바쁜 시기에 갑자기 수정한 원고를 달라고 하면 어떡하나 해서…
이런 태도를 보노라면, 나란 인간, 누가 관리를 해야만 움직이는 인간. ;ㅅ;
05
이 글을 쓰면서 깨달았는데, 페미니즘과 퀴어이론 공부를 시작한 것이 8년 전 일이구나.. 그런데 나 왜 이렇게 무식한 것이냐. 어디가서 학생이라고 말하기가 정말 부끄러운 수준이다.

[논문] 저항의 맥락화: Lila Abu-Lughod “The Romance Of Resistance”

관련 글: 저항의 낭만화(한나님의 글)

※카테고리는 그다지 신경쓰지 마세요;;;;;

저자: Lila Abu-Lughod
제목: The Romance of Resistance (여기)
출처: American Ethnologist, Vol. 17, No. 1. (Feb., 1990), pp. 41-55

종종, “아, 나 그거 알아”라는 식으로 반응하는 경우가 있다. 어디서 들어본 것, 혹은 언젠가 어느 수업 시간에 배운 것만 같은 것일 경우, 이런 식으로 반응하면서 아는 척 하려는 루인과 만난다. 공부를 하면서 가장 무섭다고 느끼는 건 익숙해지는 것이다. 학년 구분 없는 수업시간에 4학년이 1학년 보다 유리한 점은 4학년이 1학년 보다 더 많이 안다거나 책을 더 많이 읽어서가 아니라, 답안을 작성하는 방법, 공부를 하는 방법 등이 익숙할 가능성 때문이다. 전공수업일 경우엔 그 전공에서 주로 사용하는 언어들에, 1학년 보다는 4학년이 더 익숙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는 없다. 무서운 건 이 지점이다. 알아가는 과정이 아니라, 그저 자주 듣다보니 자주 접하다 보니 그것이 정확하게 어떤 맥락인지 모른체 “아, 나 그거 알아”라는 식으로 반응하는 것. 그렇게 익숙하기만 할 뿐인데 마치 안다고 믿게 되는 것이 무서운 일이다.

일테면, 젠더라는 단어가 그렇다. 여성학 수업을 몇 번 듣고 나면 혹은 여성학과 관련한 책을 몇 권 읽고 나면 젠더라는 단어는 너무도 익숙해서 그저 일상어처럼 사용하기 쉽다. 루인 역시 너무도 자주 그러하고. 하지만 젠더란 무엇인가? 젠더의 어떤 맥락을 알고 있다는 걸까?
젠더라는 단어는 너무도 자주 사용하지만 여전히 잘 모르는 언어이다. 대학원에서 공부를 하고 싶다는 바람을 품었던 이유엔 “젠더”라는 단어를 도무지 이해할 수 없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트랜스/젠더가 루인의 전공이라고 말하지만 사실 여전히 젠더가 무엇인지는 모르겠다. 여성학기초 과목을 들으면 젠더를 아주 간단하게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된 성으로서 여성성이나 남성성을 의미한다”라고 설명하지만, 당시 기말 답안지엔 이 문장을 A4 한 페이지 정도의 분량으로 적기도 했지만, 지금에 와선 이토록 단순한 설명에 조금은 부끄럽기도 하다.

요즘의 고민은,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이다.

위에 링크한 한나님의 글을 읽으며, 뒤통수를 맞는 듯한 느낌이었다. 행위성을 안다고 착각했지만, 그동안 무얼 안다고 믿었던 걸까. 그래서 이 글을 읽고 싶었고, 얼추 일주일 전 즈음에 이 논문을 읽었다. 그러며 남은 화두는 “저항은 권력을 징후한다”라는 말.

뒤통수를 맞은 것만 같은 느낌은, 이 말에서 비롯한다. 그동안 행위성 혹은 저항을 한 개인이 그 사람의 맥락에서 어떻게 협상하는가를 읽으면서, 그것이 “기존의 가치체계에 대한 전복”이란 의미가 아님은 분명히 하고 있었지만, 그것이 권력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권력의 작동을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으로 고민하지 않고 있음을 깨달았다. 그리고 저항 혹은 행위성을 통해 권력의 징후를 읽어 내지 않았다면/않고 있다면, 도대체 무얼 안다고 믿는 걸까, 스스로에게 묻지 않을 수 없(었)다.

물론 “저항은 권력을 징후한다”한다는 말 혹은 어떤 앎이 없는 상태에서도 그렇게 작업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자신이 어떤 위치 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자신의 이론적 위치를 모르는 상태에서 작업하는 건 언제든 자신을 투명한 위치로 간주할 위험성이 있고, 자신이 무슨 문제를 범하고 있는지 깨닫지 못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저항은 권력을 징후한다는 말은 무겁게 다가왔다. 어떤 행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라는 질문은 이것에서 비롯한다. 처음으로 치마를 입고 밖으로 나갔을 때, 들었던 그 복잡한 감정-혹시나 공포범죄를 경험하지나 않을까 하는 불안과 이런 불안이 싫음과 도대체 왜 이런 감정을 느끼는가 라는 질문은 정확하게 이런 감정이 발생하는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과 옷이라는 것, 옷을 입는다는 것의 의미와

저자의 또 다른 지적은 저항이란 언제나 맥락적이라는 지점이다. 즉, 모든 저항의 행위가 모든 문화적인 가치를 전복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어떤 지점에선 저항일 수 있지만 그것은 정확하게 다른 지점에선 권력을 지지하는 방식일 수 있다는 점이다. 트랜스젠더는 성별이분법을 강화한다는 말과 성별이분법을 초월한다는 말은 모두 같은 의미이다. 하리수가 등장했을 때, 하리수를 향한 비난 중 하나는 하리수는 이성애 성별이분법을 더욱더 강화한다는 점이었다. 이런 식의 비난이 가능했던 이유는, 주민등록번호 1번/3번을 할당 받으면 평생 1번/3번에게 요구하는 방식으로 살아야 하고, 주민등록번호 2번/4번을 할당 받으면 평생 2번/4번에게 요구하는 방식으로 살아야 하고, 이런 것이 너무도 당연하다고 여기는 인식에서 하리수는 그렇지 않다고 얘기했다. 성별 혹은 젠더가 (어떤 의미에서) 임의적이라는 말은 기존의 성별이분법에 저항하는 것으로 느껴졌지만, 방송을 통해 하리수는 이른바 “여성”이라는 그 어떤 이미지를 “여성보다 더 여성답게” 재현했고 그래서 기존의 성별이분법을 더 강화한다는 비난을 들어야 했다. 하지만 이런 하리수의 행동은 동시에 이른바 “여성성”(혹은 “남성성”)이라는 젠더가 몸에 부착해 있는 본질적인 속성이 아님을 얘기하는 것으로 읽을 수도 있다. 이처럼 저항은 언제나 양가적이다. (Abu-Lughod는 이걸 훨씬 멋지게 설명하고 있다. ㅠ_ㅠ)

그러니 저항 혹은 행위성은 맥락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
버틀러Butler가 현상학을 비판하는 지점 역시 이 지점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버틀러의 글 혹은 이론은 현상학과 많은 부분을 공유하고 있음에도 버틀러는 종종 현상학을 비판하는데, 현상학은 담론이 작동하는 측면을 놓칠 수 있다는 점에서다. (이 말이 현상학으론 담론의 작동을 얘기할 수 없다는 의미는 아니다.) 이런 버틀러의 현상학에 대한 비판은 Abu-Lughod가 저항을 낭만적인 것으로 간주하지 말고 권력을 징후하는 것으로 읽을 필요가 있다는 제안과 상당히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