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내가 사는 피부

페드로 알모도바르 감독의 영화 [내가 사는 피부].

이 영화를 두 번 봤습니다.

처음 봤을 땐 이 영화와 관련한 글을 써야 겠다는 고민을 했습니다. 제 주요 관심을 상당히 깊숙하게 건드리고 있거든요. 하지만 뭘 어떤 말을 해야 할지 가늠할 수 없었습니다.

두 번째 봤을 땐, 제가 한동안 이 영화와 관련한 어떤 글도 쓸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저… 이 영화를 본 분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했는지 궁금할 따름입니다.

[고양이] 고양이 춤, 고양이에게 생색내기, 아미캣

01
[고양이 춤]을 봤다.
내가 비록 냥덕은 아니지만 고양이를 아주 조금 좋아하는 건전한 인간이라 극장을 찾았다.(풉) 헤벌쭉 웃을 수 있는 다큐를 기대했다. 고양이가 나오는데 어찌 헤벌쭉하지 않을 수 있으랴. 하지만 훌쩍훌쩍 울었다. 예상하지 못 한 일이었다. 극장을 나와서 깨달았는데 혼자 운 것은 아니겠지만 소리 내면서 운 건 나 뿐이었다. oTL
다큐 자체는 무척 잘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 신선했다. 영상, 사진, 애니의 적절한 조합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이 다큐는 다음과 같은 사람이 보면 좋다.
ㄱ. 냥덕. 혹은 냥덕에 못 미치나 고양이 얘기만 나오면 하악하악하는 사람들. 집사. 길냥이 맘.
ㄴ. 도시라는 공간을 고민하는 사람. 고양이의 입장에서 이 도시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알 수 있다.
ㄷ. 자연이란 개념을 고민하는 사람. 근대 이분법인 자연-문명과 같은 구분이 너무 자명한 듯하지만 사실 이 경계는 매우 모호하다. 자연공간하면 아마존의 밀림이나 어디 먼 시골을 떠올리는 경우가 많지만 도시의 가로수 역시 자연이다. 도시 혹은 문명과 자연의 관계를 고민할 수 있는 좋은 작품이다.
ㄹ. 그외 모든 사람. 요즘 한창 바쁜 시기라 어제 좀 무리했다. 극장을 나서며 12월에 다시 찾고 싶었다. 그러니 많은 사람이 봐서 12월에도 극장에서 상영하길 바란다. 그러니 내가 12월에 다시 볼 수 있게 많은 사람이 극장을 찾으면 좋겠다.(뻔뻔함의 극치라니! 크.)
02
융과 노랑둥이에게.
내가 생색을 내려고 이런 말 하는 거 아냐. 오해는 하지 말고 들어.
많은 걸 바라는 것도 아니고 내가 밥 주러 나갈 때 그저 얼굴이나 한 번 보여주면 안 되겠니? 내게 달려와서 발라당 묘기를 부려달라거나 문 앞에서 느긋하게 기다리고 있길 바라는 게 아냐. 그런 건 바라지도 않아. 그냥 내가 밥 주려고 보일러실 문을 여는 소리가 들리면 그 소리 듣고 와달라는 것 뿐이야. 우리가 비록 밥으로 맺어진 어정쩡한 인연이지만 그래도 매일 얼굴 한 번은 봐야지 않겠어?
전에 살던 동네에서 밥 줄 땐, 시간 맞춰 여러 아이가 후다닥 달려왔다고. 때론 건물 안으로 들어오려고 해서 얼마나 곤혹스러웠는지 몰라. 어떤 아이는 내게 지긋한 눈빛으로 고양이키스도 해줬고. 그냥 그랬다고.
전에 살던 동네의 냥이처럼 해주길 바라는 건 아냐. 그냥 하루에 한 번 정도 얼굴은 보고 지내야지 않겠니? 멀리 사는 것도 아닌데 일주일에 얼굴 한두 번 보면 많이 보는 거라니, 좀 그렇지 않아? 내가 생색내거나 본전 생각나서 이러는 건 아냐. 유세 좀 떨려고 이러는 건 맞지만.
쿨하지 못 해 좀 그렇지만 우리 얼굴 좀 보자고.
… oTL..
03
바람에게.
아, 그러니까 내가 너로 인해 지금 이 계절에 보일러를 틀고 있다는 것 좀 알아주렴. 이건 분명하게 생색 내는 거다. 훗.
04
아미캣을 주문했다. 일단 구매대행으로. 며칠 전 아미캣이 국내에 안 들어올 수도 있다고 썼다. 비공개댓글로 모 님이 결석을 위한 별도의 제품(?) 링크를 알려주셨다. 해당 사이트로 가서 찾아보니 구매대행하려면 연락 달라는 문구가 있어 전화를 했다. 입금해주면 가능하다고 해서 일단 주문을 했다. 구매대행이라 4kg과 10kg만 가능한데 10kg를 권했고 단가도 10kg가 싼 편이라 10kg를 주문했다.
아울러 해당 사이트에선 12월이나 1월 경에 재입고 될 것이란 공지가 나왔다. 처음 전화한 곳과 구매대행을 주문한 곳의 수입처가 다른 것일까? 아님 사이트마다 수입을 따로 하는 것일까? 기다려보면 알겠지. 아무려나 난 그 공지와 별도로 10kg이 도착하면 유통기한을 확인한 다음 12월 중으로 한 번 더 주문할 계획이다. 이거 어디 불안해서 살겠나.
참, 구매대행한 사이트에선 이윤 남기지 않고 그냥 구매대행만 한다고 하는데… 이윤 좀 남겨도 괜찮은데.. 괜히 미안해서 그곳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좀 구매해볼까 했더니 끄응… 내가 살법한 상품이 별로 없다. 끄응.. 나중에 아미캣을 판매하면 그곳에서 주문해야겠다.

[영화] 나넬 모차르트

극장에 가고 싶을 때가 있지요. 상영시간표를 확인하다 <나넬 모차르트>란 제목을 발견했습니다. 아니, ‘모차르트’란 제목에 낚였습니다. 소개구절을 확인하니 더 흥미롭네요. 볼프강 모차르트의 누나, 나넬 모차르트를 조명한 작품이라고 합니다. 뛰어난 실력을 갖춘 나넬 모차르트지만 이제는 기억하는 사람이 거의 없는 한 사람의 일생.
가장 먼저 떠오른 것은 버지니아 울프였습니다. 울프는 <자기만의 방>에서 만약 셰익스피어에게 여동생이 있었다면 그이는 어떻게 살았을까 하는 질문을 던집니다. 결론은 비극이죠. 재능은 있지만 여성이란 이유로 글재주를 발휘할 수도 없어 그냥 가난하게 죽는다는 얘기(정확한 것은 아니라 살짝 긴가민가…;;; ). 나넬 모차르트는 바로 이런 이야기를 영화화한 것일까요? 이런 기대로 극장에 갔습니다.
극장에 가는 길, 문득 걱정이었습니다. 내가 기대한 내용이 아니면 어떡하지? 아니, 아니. 내가 기대한 내용과 다른 부분이 없으면 어떡하지? 에이, 설마. 2010년에 제작한 작품인데 설마 뻔한 내용이겠어요. 뭔가 기대하지 않은 다른 무엇인가가 있겠지.
영화가 끝났습니다. 네, 예상한 내용 그대로입니다. 버지니아 울프가 했던 얘기에서 거의 안 벗어납니다. 재능이 있어서 프랑스 황태자와 대음악가가 인정할 수준이지만 여성이란 이유로 작곡법, 글쓰는 법 등을 (제대로)못 배웁니다. 음악학교에 수업을 들으려 하지만 남장을 하지 않으면 건물에 들어가지도 못 합니다. 아울러 자신의 재능 및 욕망과 사회가 여성에게 강요하는 것 사이에서 갈등합니다. 영화 말미에선 작곡을 포기하고 결혼하고, 볼프강 사후엔 볼프강의 작품을 관리하며 살아갑니다.
뭐, 이런 시나리오를 쓸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겐 너무 진부하지만 이 정도 내용만으로도 의미가 있으니까요. 대사를 통해 노골적으로 영화 주제를 얘기하는 장면은 닭살이지만 뭐, 괜찮아요.
그런데 시나리오를 쓰다 말았는지, 편집을 하다 말았는지 내용이 계속 끊깁니다. -_-;; 예를 들어, 나넬이 병을 앓는 장면이 나옵니다. 정신을 잃은 상태에서 침대에 누워 지내죠. 의사가 왕진을 와서 검사를 한 다음 소다수와 우유를 먹이지 말라는 말을 합니다. 그 다음 장면은 마차를 타고 어딘가로 이동합니다. 응? 의사가 왕진했으면 그 다음은 최소한 낫는 장면이라도 보여줄 법한데 그런 장면 없습니다. 왕진 후 바로 마차 여행. 그 장면부터 나넬이 아무 말도 하지 않아 저는 목소리를 잃은 줄 알았습니다. 아닙니다. 그냥 완치. 으잉??? 영화 전개가 이런 식입니다. 항상 뜬금없고 갑작스러워요.
재밌는 부분도 있습니다. 전 볼프강의 천재 이미지만 소비했는데요. 이 영화는 볼프강을 그냥 10대 꼬마로 묘사합니다. 물론 천재인 건 여전하지만 침대에서 방방 뛰어노는 그런 꼬맹이로 묘사하죠. 나넬의 음악 실력에 초점을 맞추는 장면도 좋습니다. 볼프강을 천재라고 얘기하지만 영화에서 주로 다루는 음악 실력은 나넬입니다. 뭐, 영화 주인공이 나넬 모차르트라 당연한 걸까요? 하지만 나넬 모차르트를 조명할 일이 없었기에 좋았습니다.
피상적으로 이 영화의 주제는 “셰익스피어에게 여동생이 있었다면…”이지만, 실질적 주제는 연대 같습니다. 나넬 모차르트가 음악을 할 수 있었던 배경엔 어머니, 안나-마리아 모차르트가 있기 때문입니다. 아버지 레오폴드 모차르트는 나넬이 여성이란 이유로, 작곡, 글쓰기, 바이올린 연주를 모두 금지합니다(그런 시대였죠, 여성이 콘트라베이스를 연주하면 음란하다고 했다나 어쨌다나 -_-; ). 그런데도 나넬은 하프시코드를 연주하고 노래를 부르며 음악순회공연에 동행합니다. 레오폴드는 이것마저 금할 수도 있었죠. 그런데도 이는 허용합니다. 간접적이지만 이 과정에 안나-마리아의 힘과 지지를 느낄 수 있습니다. 안나-마리아는 나넬이 음식 조리를 싫어하고 음악에 재능이 있음을 알고 음악만 하도록 지지합니다. 나넬에게 음악 재능이 있음을 자랑스러워하고요. 안나-마리아의 지지가 없었다면 나넬의 음악 생활은 거의 불가능했죠(나넬이 혼자서 생활하며 음악으로 먹고 살려고 가출할 때도 안나-마리아가 지지하죠). 후반부에 가면 안나-마리아의 태도가 미묘하게 바뀌지만, 나넬이 음악을 하는데 안나-마리아의 지지는 매우 중요합니다. 물론 나넬이 작곡가로 데뷔하는데 황태자의 호의가 큰 역할을 하긴 합니다. 그건 특정 계기 혹은 시기에 한정한 일일 뿐 나넬 삶에서의 단단한 토대는 아니죠. 이 여성연대가 이 영화의 실질 주제가 아닐는지…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 레오폴드가 볼프강에게 작곡법을 가르쳐 주고 있습니다. 볼프강은 열심히 듣다가 갑자기 방문을 열죠. 문 뒤엔 나넬이 작곡 수업을 훔쳐 듣고 있었습니다. 놀란 나넬은 얼른 다른 곳으로 갑니다. 전 이 장면이 가장 인상적이었습니다. 그 다음은 자작곡 악보를 태우는 장면입니다. 복잡한 몸으로 이 장면을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