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정체성정치학
정체성 정치학? 당사자주의?
01
며칠 전 어느 포럼 혹은 토론회 자리에서 꽤나 재밌는(?) 일이 있었다. 사실 그 일로 적잖은 사람이 상처 받았을 듯한데…
어떤 사람이 성적소수자의 어려움을 말했고, 그로 인해 논의가 촉발됐다. 근데 그는 성적소수자의 어려움을 논하려는 이에게 당신이 성적소수자냐고, 성적지향이 뭐냐고 대놓고 물었고, 곧 이건 아웃팅이죠,라며 냉소했다. 매우 당혹스러운 상황이었고 적잖은 사람이 그의 말에 화를 냈지만 누구도 대놓고 표현하지 않았다. 그는 성적소수자 이슈는 성적소수자만 말할 수 있다는 식의 태도였고, 그렇잖아도 민감하다고 불리는 이슈 중 하나인 성적소주자 이슈는 그 자리에서 더 이상 토론하기 힘든 이슈가 되었다.
그렇다고 그 자리에 LGBT나 퀴어 등으로 자신을 설명하는 이가 없었느냐면 그렇지도 않았다. 상당히 많았음에도 그는 마치 자신만이 성적소수자인냥 말했다. 할 말이 너무 많았고, 행사가 끝날 즈음에야 간단하게 나의 의견을 말하기도 했는데…
그 자리에서 말은 안 했지만, 난 그가 일 년 뒤에도 그렇게 말할까 궁금했다. 모두는 아니지만 적잖은 사람이 당사자주의에 경도될 때가 있으니(나 역시 그랬고), 지금이 그런 시기라고 믿고 싶다. 진화론적 변화는 아니지만, 어쨌거나 당사자주의의 문제를 인식하고 태도가 변할 거라는 기대.
02
그 자리에서 든 많은 고민 중엔 누군가가 당사자주의를 고집하고, 발언을 하는 사람에게 당사자이길 요구할 때, 소위 말하는 당사자가 말하는 것이 어떤 의미일까,였다. 너무 강하게 당사자주의를 요구할 때, 그 당사자 범주에 속하는 이는 말하기 싫어진다. 하지만 주변에선 당사자에 해당하는 이가 말하길 기대한다. 나 역시 마찬가지다. LGBT/퀴어 이슈가 아닌 다른 이슈에선 해당 운동에 속하는 이가 말해주길 바란다.
그럼에도 그 자리에서 내가 말하는 게 참 부담스러웠고, 망설여졌다. 그가 요구한 당사자주의에 말리는 것만 같아서.
03
요즘 고민 중 하나는, ‘어떤 범주의 이슈는 해당 범주에 속하는 이들만 말할 수 있다면(예를 들어, 트랜스젠더 이슈는 트랜스젠더만 말할 수 있다고 한다면) 도대체 운동을 왜 할까?’다. 당사자가 말하면 비당사자는 얌전히 듣고만 있길 바란다면, 당사자의 말에 누구도 반론할 수 없는 권위를 부여한다면 운동이 왜 필요할까? 이런 상태는 운동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냥 혼자 떠드는 것과 같으니까. 그냥 웹에 블로그나 트위터 계정 만들어서 혼자 열심히 떠드는 것과 다르지 않다. 아직 정리되지 않은 단상이지만.. 이번의 논란이 내게 당사자주의와 운동/활동을 다시 고민하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